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구쓰키 도쓰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구쓰키 도쓰나(일본어: 朽木玄綱 くつき とうつな[*])는 탄바국 후쿠치야마번 5대 번주이자, 후쿠치야마번 구쓰키가 6대 당주이다.

간략 정보 시대, 출생 ...
Remove ads

생애

호에이 6년 (1709년) 9월 11일, 미노국 이와무라번 3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리타다의 5남으로 태어났다. 교호 12년 (1727년) 윤1월 2일, 외삼촌인 후쿠치야마번의 4대 번주 구쓰키 다네하루의 양자가 된다. 같은 해 윤1월 15일, 8대 장군 도쿠가와 요시무네를 배알했다. 같은 해 12월 18일, 종5위하 데와노카미에 서임된다. 교호 13년 (1728년) 11월 23일, 다네하루의 은거로 가독을 이었다.

번정에서는 교호 17년 (1732년), 교호 대기근이 원인이 되어 교호의 강소라고 불리는 소동이 일어나 번내는 혼란스러웠다. 이 때문에 쌀값 상승에 의해 자신의 생활을 최저로 해, 지출을 억제하고 있었다. 또, 아케치 미쓰히데 어령법회를 허가하고 있었다 (미타마 마츠리(御霊祭り ())의 개시). 또 후계자 문제에서도 다네하루가 먼저 양자로 삼았던 쓰나사다 (다네하루의 조카, 도쓰나의 사촌동생)의 병이 낫고, 사이가 나쁘던 양아버지도 사망함에 따라, 츠나사다를 옹립하려는 가신 일파와 자신의 아들을 옹립하고 싶은 토우츠나가 대립하였다. 원래 오규 마쓰다이라가에서 양자로 들어온 도쓰나에게는 후견인이 없어 쓰나사다를 양자를 들였지만, 이로 인해 번정에서는 도쓰나의 발언권이 약해졌다.

이처럼 혼란이 계속되는 번정에서 도쓰나의 공적에는 문무의 발전이 있다. 교호 19년 (1734년) 9월 28일, 소샤반에 취임한다. 호레키 8년 (1758년) 4월 7일, 지샤부교 겸임을 명받는다. 호레키 9년 (1759년) 윤7월 16일, 소샤반지샤부교를 사임한다. 메이와 6년 (1769년) 4월 18일, 닛코 제례 부교를 명받는다. 메이와 7년 (1770년) 8월 30일,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가독은 쓰나사다가 이었다.

Remove ads

가족 관계

전임
구쓰키 다네하루
제5대 후쿠치야마번 번주
1728년 - 1770년
후임
구쓰키 쓰나사다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