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서하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서하어(西夏語) 또는 탕구트어(Tangut)는 티베트계 탕구트족이 세운 서하에서 사용하던 언어로, 중국티베트어족 계열의 언어이다. 서하의 멸망과 더불어 현재는 사어가 되었다.
서하어는 탕구트족이 오늘날의 중국 북서부에 세운 서하(西夏, 1038~1227)에서 공용어로 쓰였는데, 서하 문자라 하는 고유의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서하는 1227년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2] 서하어는 1502년 쓰인 것으로 비정되는 서하문석당(西夏文石幢)을 마지막으로 기록이 끊긴다.[3]
Remove ads
연구
서하어에 대한 현대적 연구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시작되었는데, 당시 학자들은 서하의 주화(鑄貨), 감숙성 무위(武威)시에서 발견된 중국어-서하어 이중 언어 비문, 법화경의 서하어 사본 등을 자료로 분석했다.
현존하는 서하어 자료의 대부분은 1909년 러시아의 여행가 표트르 코즐로프(1863~1935)가 카라 코토(Khara-Khoto)에서 발굴한 것이다. 이후 니콜라이 넵스키(1892~1937)가 최초의 탕구트어 사전을 출판하였다. 카라 코토 문서들은 1937년 NKVD에 의해 넵스키가 체포되면서 사라졌다가 1991년 10월에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동양 문헌 연구소로 반환되었다.[4]
여전히 탕구트어에 대한 이해는 완벽하지 않으며 형태론(Ksenia Kepping, The Morphology of the Tangut Language, Moscow: Nauka, 1985)과 문법(Tatsuo Nishida, Seika go no kenkyū, etc.)에 관해 일부 측면은 이해되고 있으나 통사 구조 등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Remove ads
표기 체계
《송사》에 따르면 서하 문자는 1036년 서하의 권신이던 야리인영(野利仁榮)이 창제하였다. 중국 고전을 활발하게 옮긴 작업으로 인해 비교적 현존 자료가 넉넉한 편으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 특성상 단음절, 성조어로서의 언어적 특징도 문자에 반영되었다.
분류
2010년대 이후로 다수의 서하 연구자들은 탕구트어가 언어학적으로 창어군(Qiangic) 또는 걜롱어군(rGyalrong)에 속한다고 추정하고 있다.[5][6]
같이 보기
- 서하학
- 여진어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