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송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송사》(宋史)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중국 북송남송시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원나라 중서우승상(中書右丞相) 토크토아(한자 : 脫脫(탈탈) 또는 托克托(탁극탁) / 몽골어: ᠲᠣᠭᠲᠠᠭᠠᠬᠤ Toγta'a , 1314년~1355년)을 중심으로 7명의 총재관(總裁官)들과 23명의 사관(史官)들이 1343년에 저술을 시작하여 1345년에 완성하였다.[1][2]

자세한 정보 이름, 저자 ...
Remove ads

편찬

요사》 부록의 한 문단인 수삼사조(修三史詔)에 따르면, 지정(至正) 3년 3월 14일(율리우스력 1343년 4월 9일)에 일부 대신들의 간청에 의해서 요사(遼史), 금사(金史), 송사(宋史)를 지칭하는 삼사(三史)를 편찬하기 시작하였다. 그 해 3월 28일(율리우스력 1343년 4월 23일)에 토크토아(脫脫)가 삼사(三史) 편찬의 책임자인 도총재(都總裁)로 임명되면다. 송사 부록의 수사관원(修史官員) 문단에 따르면 토크토아 외에도 편찬에 참여한 관리의 기록이 전해진다.[3][4]

  • 영삼사사(領三史事) : 아로도(阿魯圖), 별아겁부화(別兒怯不花)
  • 도총재(都總裁) : 토크토아(脫脫/탈탈)
  • 총재관(總裁官) : 테무르다스(鐵睦爾達世/철목이달세), 하유일(賀惟一), 장기암(張起巖), 구양현(歐陽玄), 게혜사(揭傒斯), 이호문(李好文), 왕기(王沂), 양종서(楊宗瑞)
  • 사관(史官) : 알옥륜도(斡玉倫徒), 태불화(泰不華), 두병이(杜秉彝), 송경(宋褧), 왕사성(王思誠), 간문부(干文傅), 왕택민(汪澤民), 장근(張瑾), 맥문귀(麥文貴), 공사도(貢師道), 이제(李齊), 여궐(余闕), 유문(劉聞), 가로(賈魯), 풍복가(馮福可), 조중(趙中), 진조인(陳祖仁), 왕의(王儀), 여정(余貞), 담조(譚慥), 장저(張翥), 오당(吳當), 위소(危素)
  • 제조관(提調官) : 납린(納麟), 백언(伯彥), 다스테무르(達世帖睦爾/달세첩목이), 동수간(董守簡), 악주(岳柱), 배주(拜住), 진사겸(陳思謙), 이헌(李獻), 노희현(路希賢), 하집례(何執禮), 새인불화(賽因不花), 알란(斡欒), 공사립(孔思立), 전보엄살리(全普俺撒里), 불안불화(不顏不花), 실례문(實禮門), 백준(白濬), 노증(魯曾), 야선(野仙), 정연(鄭衍), 필련(畢璉), 진중단(陳仲端), 허종선(許從宣)

참고 사료로는 1차 사료인 《송실록(宋實錄)》, 《속자치통감장편(續資治通鑑長編)》등을 참고한 것으로 본다.

지정 5년 10월 5일(율리우스력 1345년 10월 30일)에 요사와 금사를 이어서 송사를 완성하게 되었다. 같은 달인 10월 21일(율리우스력 1345년 11월 15일)에 혜종에게 요사 금사와 함께 송사를 바치게 되었다.[5][6]

Remove ads

구성

  • 송사는 본기(本紀) 47권, 지(志) 162권, 표(表) 32권, 열전(列傳) 255권으로 총합 49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기(本紀)

자세한 정보 ###, 제목 ...

지(志)

자세한 정보 ###, 제목 ...

표(表)

자세한 정보 ###, 부제 ...

열전(列傳)

열전
자세한 정보 ###, 부제 ...

부록(附錄)

자세한 정보 부제, 목록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