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통영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통영시의 행정 구역2011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통영시는 1개의 읍에, 6개의 면이 있고, 17개의 법정동에 167통이 있다. 인구는 57,515세대, 140,346명의 가지고 있으며[1], 면적은 238.85km2이다.[2]

지도

Thumb
통영시 행정구역 지도

행정 구역

자세한 정보 이름, 한자 ...
Remove ads

연혁

고려시대

  • 995년 산남도(山南道)의 고주자사(固州刺使, 固城縣이 승격됨)에 속함.
  • 1018년 거제현에 속함.
  • 1275년1308년 남해현에 병합되었다가 다시 복귀됨.

조선시대

  • 1604년 삼도수군통제영을 거제현 두룡포(현 통영시)로 옮겨와 설치함.
  • 1617년 두룡포가 고성현에 이속되어 춘원면이라 개칭함.
  • 1869년 춘원면의 호적관계 분규로 이듬해에 고성부치를 통영성 내로 옮김.
  • 1872년 고성군 춘원면으로 복귀함.
  • 1895년 통제영을 폐함.
  • 1896년 고성지방대를 설치함(1907년 폐대)
  • 1900년 진남군을 설치함(통제영터 전역과 고성군의 도선면,광이면,광삼면, 거제군의 한산도, 가좌도)
  • 1909년 용남군으로 개칭함.

일제시대

  • 1914년 4월 1일 용남군과 거제군을 통합하여 통영군을 설치하였다.
15면 - 통영면, 산양면, 광도면, 도산면, 원량면, 한산면, 이운면, 거제면, 동부면, 둔덕면, 사등면, 연초면, 일운면, 장목면, 하청면
  • 1917년 통영면의 시가지를 제외한 동부 10개 리를 용남면으로 분면하고, 서부 당동리, 인평리, 평림리 등 3개 리를 산양면에 편입하였다.
  • 1931년 4월 1일 통영면이 통영읍으로 승격하였다.
  • 1935년 10월 1일 이운면이 장승포읍으로 승격하였다.
  • 1939년 4월 1일 산양면 미수리, 봉평리, 도남리, 당동리, 인평리, 평림리를 통영읍에 편입하였다.

대한민국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55년 6월 29일 원량면이 사량면과 욕지면으로 분리하였다.
  • 1955년 9월 1일 통영읍 일원이 충무시로 승격하여 통영군과 분리되었다.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67년 5월 29일 광도면에 안정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73년 7월 1일 용남면 무전리를 충무시에 편입하였다.
  • 1985년 12월 18일 북신동을 북신동과 무전동으로 분동하였고, 인평1동과 인평2동을 인평동으로 합동하였다.
  • 1995년 1월 1일 충무시와 통영군을 통합하여 통영시를 설치하였다.
  • 1995년 3월 1일 산양면을 산양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5년 5월 1일 중앙동과 문화동을 문화동으로, 평림1동과 평림2동을 평림동으로, 도남1동과 도남2동을 도남동으로 합동하였다.
  • 1998년 1월 1일 서호동과 구 평림2동 및 명정동을 명정동으로, 항남동과 문화동 및 태평동을 중앙동으로, 동호동과 정량동을 정량동으로, 인평동과 구 평림1동을 인평동으로, 당동과 도천동을 도천동으로 합동하였다.
  • 1999년 8월 16일 광도면 안정출장소를 폐지하였다.
  • 2010년 12월 31일 도천동과 인평동을 도천동으로, 미수1동과 미수2동을 미수동으로, 봉평동과 도남동을 봉평동으로 합동하였다.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