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통진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통진군(通津郡)은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옛 행정구역이다. 현재의 김포시 통진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마산동, 구래동 일대로 김포평야 대부분을 포괄한다.
유래
통진군은 옛 신라시대 분진현을 중심으로 술성현과 동성현을 합쳐 형성된 통진현에서 유래되었다.
역사
《대동여지도》
- 백제의 초기영토였다가 광개토왕~장수왕의 남하정책으로 일시 고구려땅이 되었다.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 행정제도 개편으로 분진현, 동성현, 수성현으로 개칭된 후 모두 장제군(長堤郡)의 영현이 되었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에 분진현은 통진현으로, 이후 수성현은 수안현(守安縣)으로 개명했다.
- 1391년 공양왕 3년에 통진현이 근처의 수안현과 동성현을 합병하고 감무가 설치되었다.
- 1414년 조선 태종 14년부터 현감을 두고 통진현이 되었다.
- 1694년 숙종20년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어 통진도호부가 되었다.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인천부 통진군으로 개편하였다.[4]
- 1896년 8월 4일 경기도 통진군으로 개편하였다.[5]
- 1912년 7월 17일: 질전면(迭田面)을 월여곶면(月餘串面)에 합면해 월전면으로 하고, 하은면(霞隱面)을 봉성면(奉城面)에 합면해 하성면으로 하였다. 이외에 면 구역과 동리 명칭 변경이 있었다.[6](12면 → 10면)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