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퉁쯔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퉁쯔단 (중국어: 童子蛋, 병음: tóngzǐdàn, 한자음: 동자단)은 중국 저장성 둥양시의 전통 음식이다. 달걀을 주로 10세 이하 어린 소년의 오줌을 이용하여 삶은 것이다.

역사

어떠한 이유로 꼭 남자아이의 오줌이여야 하는지는 잘 알려져있지 않으며, 둥양시에서 수백년간 행해온 전통이다.[1] 하지만 이 지역에서는 오랜 세월간 오줌이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믿었으며 과거에는 직접 섭취하는 요로법 또한 발달했다.[1][2][3] 과거 중국 소농들에게는 달걀이 사실상 유일하게 쉽게 구할 수 있는 단백질원이었다. 농민들은 땅에서 대부분 벼를 재배했으며, 작은 땅을 이용해 가금류나 돼지를 키우기도 했다.[4] 이로써 일반 농민들도 달걀을 쉽게 구할 수 있었고, 오줌이 몸에 좋다는 믿음과 함께 퉁쯔단 소비가 늘어나게 되었다.

조리

우선 달걀을 남자아이 오줌에 담근다. 이후 달걀을 오줌채로 삶는다. 삶은 후 달걀 껍데기를 살짝 깨고 새 오줌에 담근다. 그러면 달걀이 껍데기 금 사이로 들어온 오줌에 의해 염지되면서 서서히 졸아든다. 이 과정은 보통 하루 전체가 소모된다.[2][3] 여러 약초를 담가 삶는 방법도 있다. 조리가 끝난 퉁쯔단은 흰자는 금색 색조를 띄고 노른자는 녹색이다.[5] 퉁쯔단은 유래와 염지 방법이 피단과 비슷하지만, 피단은 오줌을 사용하지 않고 더 널리 퍼져있다.[6]

오늘날

퉁쯔단은 오늘날 둥양시에서 금기시되다기보다는 전통 문화로 받아들여진다.[2] 퉁쯔단 행상인들은 주변 소학교에 가 특히 10세 이하 남자아이 소변을 모은다. 둥양시 주민들은 퉁쯔단을 사먹는 것 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친인척 남자아이의 소변을 이용해 직접 만들어 먹기도 한다.[3] 오늘날 의학계에서는 오줌을 마시는 행위에는 건강상 이익이 거의 없다고 하지만, 아직도 퉁쯔단을 소비하는 둥양시 시민이 많다. 2012년 기준으로 퉁쯔단은 1.5위안에 팔리며, 일반적인 삶은 달걀 가격의 2배이다.[3]

건강상 영향과 전통의료

요로법은 중국 민간요법과 중의학의 큰 틀을 차지한다. 중의학에서 오줌을 끓이고 말려 결정화시킨 것은 인중백(중국어: 人中白, 병음: rénzhōngbái)이라고 부르며, 염증 반응 완화와 입과 피부의 진균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7] 또한 중의학에서는 오줌에 담근 달걀을 먹으면 부족한 음기를 보충하고, 열을 낮추며, 혈액순환이 잘 된다고 한다.[2] 둥양시 주민들은 퉁쯔단이 더위를 먹는 것 또한 예방해준다고 주장한다.[3] 하지만 현대 의학게에서는 요로법을 사실상 믿지 않으며, 오줌은 사람 신체에서 배출된 배설물이며 건강에 도움이 되는 물질은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