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펄롱
영미 단위계에서 사용하는 길이 단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펄롱(Furlong)은 제국 단위계와 미국 단위계에서 사용되는 거리 단위로 1 마일의 8분의 1에 해당하며, 660 피트, 220 야드, 40 로드, 10 체인, 약 201 미터와 같다. 현재는 주로 경마에서 사용되는데, 많은 국가에서 경주 길이의 표준 측정 단위이며, 농업에서는 농지 길이와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일부 주에서 측량 목적으로 오래된 정의를 사용하여 펄롱 길이가 백만 분의 2, 즉 약 0.4 밀리미터 (1⁄64 인치)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대부분의 응용 분야에서 실질적인 결과를 초래할 정도로 크지 않다.
국제 야드의 정의를 정확히 0.9144 미터로 사용하면, 1 펄롱은 201.168 미터이며, 5 펄롱은 약 1 킬로미터와 같다(정확히는 1.00584 km).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펄롱이라는 이름은 고대 영어 단어인 furh (밭고랑)와 lang (긴)에서 유래했다.[1] 적어도 초기 앵글로색슨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이 단어는 원래 경작된 개방 농지 (중세 공동 농지로, 구획으로 나뉘어 있었음)의 1 에이커에 있는 밭고랑의 길이를 의미했다. 펄롱(밭고랑 길이)은 소 한 켤레가 쉬지 않고 쟁기질할 수 있는 거리였다. 이는 정확히 40 로드 또는 10 체인으로 표준화되었다. 긴 밭고랑 체계는 무거운 쟁기를 끄는 소 한 켤레를 돌리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생겨났다. 이는 짧은 밭고랑의 배수 이점을 상쇄하고, 밭고랑이 가능한 한 길게 만들어지도록 했다. 에이커는 길이가 1 펄롱이고 폭이 1 체인 (66 피트 또는 22 야드)인 면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펄롱은 한때 에이커 길이라고도 불렸지만,[2] 현대에는 1 에이커의 면적이 어떤 형태든 될 수 있다. 펄롱 또는 숏이라는 용어는 또한 개방 농지 내의 인접한 구획의 집합을 설명하는 데도 사용되었다.[3]
초기 앵글로색슨족 사이에서 로드는 기본적인 토지 측정 단위였다. 1 펄롱은 40 로드였고, 1 에이커는 4 로드 × 40 로드, 즉 4 로드 × 1 펄롱으로 160 제곱 로드였으며, 1 제곱 펄롱에는 10 에이커가 있었다. 당시 색슨족은 북독일 피트를 사용했는데, 이는 1959년 국제 협정의 피트보다 약 10% 더 길었다. 13세기 후반에 영국이 더 짧은 피트로 변경했을 때, 로드와 펄롱은 변경되지 않았다. 재산 경계가 이미 로드와 펄롱으로 정의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변경된 것은 로드 또는 펄롱의 피트 및 야드 수와 에이커의 제곱 피트 및 제곱 야드 수뿐이었다. 로드의 정의는 15 옛 피트에서 16+1⁄2 새 피트로, 또는 5 옛 야드에서 5+1⁄2 새 야드로 변경되었다. 펄롱은 600 옛 피트에서 660 새 피트로, 또는 200 옛 야드에서 220 새 야드로 변경되었다. 에이커는 36,000 옛 제곱 피트에서 43,560 새 제곱 피트로, 또는 4,000 옛 제곱 야드에서 4,840 새 제곱 야드로 변경되었다.[4]
펄롱은 역사적으로 로마 스타디온(스타디움)과 동등하게 여겨졌으며,[5] 이는 다시 그리스 도량형에서 유래했다.
로마 도량형에서는 스타디움당 625 피트, 1 마일당 8 스타디아, 1½ 마일당 1 리그였다. 1 리그는 사람이 1 시간 동안 걸을 수 있는 거리로 여겨졌고, 마일(천을 의미하는 mille에서 유래)은 1,000 파수(걸음, 5 피트 또는 이중 보폭)로 구성되었다.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중세 유럽은 로마 도량형을 계속 사용했지만 사람들은 이를 다양화하여 무역, 세금 등에서 심각한 복잡성을 야기했다.[독자연구?] 1300년경 왕실 칙령에 따라 영국은 긴 측정 목록을 표준화했다. 당시 중요한 거리 및 길이 단위로는 피트, 야드, 로드 (또는 폴), 펄롱, 마일이 있었다. 로드는 5+1⁄2 야드 또는 16+1⁄2 피트로 정의되었고, 마일은 8 펄롱이었으므로, 펄롱의 정의는 40 로드, 마일의 정의는 5,280 피트(8 펄롱/마일 × 40 로드/펄롱 × 16+1⁄2 피트/로드)가 되었다. 1620년대에 측정 체인의 발명은 중간 길이 단위인 22 야드의 체인을 도입하게 했으며, 이는 4 로드와 같고 펄롱의 10분의 1에 해당한다.
1675년의 한 설명에 따르면, "측량 기구인 거리 측정기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체인이며, 영국 측정의 일반적인 길이는 4 폴인데, 이는 영국 마일과 에이커에 무관하게 해당하며, 길이가 10 체인인 것이 1 펄롱을 만들고, 10 단일 제곱 체인이 1 에이커를 만들므로, 1 제곱 마일은 640 제곱 에이커를 포함한다."[6]
펄롱의 공식적인 사용은 1985년 도량형법에 따라 영국에서 폐지되었는데, 이 법은 또한 다른 많은 전통적인 측정 단위의 공식적인 사용도 폐지했다.
Remove ads
사용
미얀마에서는 현재 고속도로 표지판에 거리를 나타내기 위해 마일과 함께 펄롱이 사용된다. 양곤-만달레이 고속도로의 마일표지판은 마일과 펄롱을 사용한다.

세계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펄롱의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캐나다와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영어권 국가에서 경마는 예외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호주에서의 경마 거리는 1972년에 미터법으로 전환되었으며,[7] 이 용어는 속어로만 남아있다. 영국,[8] 아일랜드, 캐나다, 미국에서는 경주 거리가 여전히 마일과 펄롱으로 표시된다. 또한 내로보트가 항해하는 영국 운하의 거리도 일반적으로 마일과 펄롱으로 표현된다.
미국 시카고의 도로 번호 체계에선 1마일당 800개의 주소 단위를 할당하는데, 이는 시의 마일당 8블록 시스템과 일치한다. 이는 일반적인 시카고 지역(남북 또는 동서 방향으로, 둘 다인 경우는 거의 없음)의 각 블록 길이가 약 1 펄롱임을 의미한다. 멜버른의 호들 그리드 내 시가지 블록도 길이가 1 펄롱이다. 솔트레이크시티의 블록은 시내 중심부에서 각 블록이 정사각형 펄롱이다.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블록 모양은 불규칙해지지만, 번호 시스템(마일당 800 단위)은 솔트레이크군 전체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 로건 중심부와 피닉스의 많은 지역의 블록도 마찬가지로 정사각형 펄롱 크기이다(마일당 8개, 이는 고속도로 출구 시리즈: 19th Ave, 27th, 35th, 43rd, 51st, 59th ...를 설명한다).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많은 지역은 원래 10 펄롱 격자로 측량되었으며, 주요 도로는 격자선을 따라 배치되었다. 이제 도로 표지판에 거리가 킬로미터로 표시되면서, 이러한 주요 도로는 거의 정확히 2 킬로미터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토론토를 통과하는 고속도로의 출구는 일반적으로 2 킬로미터 간격이다.[9][10]
메인주 뱅고르의 뱅고르 시립 숲은 산책길의 거리 단위가 마일과 펄롱으로 표시되어 있다.
Remove ads
길이의 정의
펄롱의 정확한 길이는 영어권 국가마다 약간씩 다르다. 캐나다[12]와 영국[13]은 펄롱을 정확히 0.9144 미터인 국제 야드를 기준으로 정의하므로, 1 펄롱은 201.168 미터이다. 호주[14]는 펄롱을 공식적으로 정의하지 않지만, 국제 야드를 기준으로 체인과 링크를 정의한다.
미국은 이전에 펄롱, 체인, 로드, 링크를 정확히 1200⁄3937 미터인 미국 측량 피트를 기준으로 정의했으므로,[15] 펄롱 길이는 약 201.1684 미터였다. 구 미국 값과 "국제" 값 사이의 약 백만 분의 2의 차이는 대부분의 실용적인 측정에는 중요하지 않았다.
2019년 10월, 미국 국립지리측량국과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는 2022년 말부터 미국 측량 피트를 폐지할 공동 의사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 관습 단위의 펄롱은 국제 1959년 피트를 기준으로 정의되어, 미국에서도 펄롱의 길이는 정확히 201.168 미터가 된다.[16][17]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