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포천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포천군
Remove ads

포천군(抱川郡)은 경기도 포천시의 이전 행정구역이었다. 2003년 10월 19일 포천읍을 폐지하고 포천시로 승격하였다.

역사

  • 백제 때 마홀군(馬忽郡)이라 불리었다.
  • 신라 진흥왕 견성군(堅城郡)이라 불리었다.
  • 신라 경덕왕 다시 청성(靑城)이라 불리었다.
  • 고려 초 포주(抱州)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지금의 포천이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때 포천은 포천현이었다.
  • 대동지지(1866년)에 의하면, 방면으로 읍내(邑內)면, 가산(加山)면, 내동(內洞)면, 동촌(東村)면, 청량(淸涼)면, 소흘산(所吃山), 서면(西面), 내북(內北)면, 외북(外北), 수암소(垂岩所)가 있었다. 1914년 통폐합 자료와 비교할 때 소흘산면은 내소면과 외소면으로 나뉘어 있고 수암소면은 외북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수암소는 옛 (所)의 하나인데, 오늘날의 고일리(수루바위) 일대에 있었다고 전한다.[1]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한성부 포천군(抱川郡)으로 개편하였다.
  • 1896년 8월 4일 경기도 포천군으로 개편하였다.
  • 1906년 9월 24일, 양주군에서 산내면과 청송면을 편입하였다.[2]
  • 1914년 4월 1일, 포천군과 영평군을 통합하여 영천군(永川郡)으로 개칭하고 군청을 기존 포천군 청사 소재지에 두었다.[3][4]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2면 - 군내면, 가산면, 내촌면, 소흘면, 서면, 신북면, 청산면, 영중면, 창수면, 영북면, 일동면, 이동면
  • 1914년 9월 27일, 영천군을 포천군(抱川郡)으로 개칭하였다.[5]
  • 1938년 1월 1일, 서면(西面)을 포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45년 11월 4일, 미군정 관할의 이동면을 일동면에, 청산면을 창수면에, 영중면을 신북면에 합면하였다.[6] (남: 8면)
  • 한국 전쟁으로 해방 당시 군역 모두를 수복하였다.
  •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를 편입하였다.[7] (12면)
자세한 정보 신 행정구역 ...
  • 1963년, 내촌면 화현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79년 5월 1일, 포천면을 포천읍으로 승격하였다.[8] (1읍 11면)
  • 1983년 2월 15일, 연천군 관인면을 포천군에 편입하였고, 포천군 청산면 삼정리·갈월리·금동리·덕둔리를 신북면으로 편입하였고, 포천군 청산면(청산면 중 삼정리·갈월리·금동리·덕둔리를 제외한다)을 연천군으로 편입하였고, 내촌면 화현리·지현리·명덕리를 관할로 화현면을 신설하였다.[9] (1읍 12면)
  • 1996년 2월, 소흘면을 소흘읍으로 승격하였다. (2읍 11면)
  • 2003년 10월 19일, 포천군 일원을 관할로 하여 도농복합형태의 포천시가 설치되었다.[10] 포천읍을 폐지하고, 포천동, 선단동을 설치하였다. (1읍 11면 2행정동)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