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폭군의 셰프

2025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시리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폭군의 셰프》는 2025년 8월 23일부터 2025년 9월 28일까지 방영한 tvN 토일 드라마이다. 가장 권위 있는 프랑스 요리 대회에서 우승한 날 뜻하지 않게 조선시대로 타임슬립한 셰프가 최고의 미식가이자 최악의 폭군으로 평가받는 왕을 만나 벌어지는 서바이벌 판타지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이다.

간략 정보 장르, 방송 국가 ...
Remove ads

기획 의도

이 드라마는 폭군이자 절대 미각을 겸비한 왕 ‘연희군’과 미래에서 온 셰프 ‘연지영’이 만나 요리의 맛에 진심을 느끼고 요리의 완성을 위해 목숨을 거는 왕과 요리사의 사랑, 그리고 시대와 세대를 초월한 ‘요리정치’에 관한 이야기이다.

대체 왕의 사랑과 정치가 요리와 무슨 상관이냐고? 시대를 막론하고 요리는 정치와 함께 성장해 왔다. 언젠가 사랑을 위해 순정을 바치는 것이 당연했던 것처럼. 왕은 백성을 배불리 먹이기 위해 정치를 했고, 신하는 왕을 배불리 먹이기 위해 헌신했고, 부모는 자식을 배불리 먹이기 위해 일을 했고, 자식은 부모를 배불리 먹이기 위해 열심히 살았다.

이토록 사랑하는 자들은 사랑하는 이들을 배불리 먹이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살았고, 그것은 결국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먹는’ 것이라는 사실을 일깨운다. 아마도 먹이기 위한 행위와 먹는 것 사이 그 어딘가쯤 정치가 있을 것이다.

결국 요리(料理)란, 헤아리고 다스린다는 그 뜻처럼, 사람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헤아릴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사랑이자, 사람과 사람의 사이를 잇는 가장 강력한 정치 수단이었다.

이 드라마는 그러한 ‘요리’에 주목하고자 한다. 각기 다른 색과 맛을 지닌 그들의 사연과 사랑 이야기. 그리고 그들이 만나 벌이는 요리정치의 세계.

정성이 담긴 요리를 먹으면 사람은 건강해진다. 그것이 민심과 멀어진 채로 폭정을 일삼으며 살아가던 연희군을 변화시킨 연지영의 요리 신념이다.[1]

Remove ads

제작진

제작사

극본

연출

등장 인물

주요 인물

  • 임윤아 : 연지영 역 - 긍정적이면서도 단호한 성격의 한국인 프랑스 요리사로, 파리 미슐랭 3스타 레스토랑의 헤드셰프이다. 프랑스 최대 요리 경연대회에서 우승한 날, 그녀는 뜻밖에도 조선 시대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된다.
  • 이채민 : 이헌 (연희군) 역 - 최고의 미식가이자 최악의 폭군으로 평가받는 조선의 왕. 인주대왕대비 한씨의 친손자이며, 폐비당하고 죽은 연씨의 아들.[2]
  • 강한나 : 강목주 역 - 숙원, 이헌의 후궁. 제산대군의 심복. 천하절색의 미인으로 이헌의 총애를 받아 후궁의 자리에 오른 여인이다.
  • 최귀화 : 제산대군 역 - 사옹원 제조, 이헌의 숙부. 이헌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를 기회를 끊임없이 노린다.

수라간 사람들

  • 윤서아 : 서길금 역 - 냄새를 잘 맡는 소녀, 절대 후각의 소유자.
  • 김광규 : 엄봉식 역 - 선임 숙수, 종7품 선부.
  • 홍진기 : 맹만수 역 - 선임 숙수, 종8품 조부.
  • 주광현 : 심막진 역 - 보조 숙수, 임부. 불 다루는 일을 담당하는 정9품 임부.
  • 김현목 : 민개덕 역 - 보조 숙수, 반공. 밥 짓는 일을 담당하는 반공.
  • 정규수 : 윤춘식 역 - 설리, 수라간 관리내관. 수라간의 모든 살림을 책임지는 사옹원 소속 설리.

이헌의 사람들

  • 오의식 : 임송재 역 - 도승지, 이헌의 누이 휘숙옹주의 부마. 인주대왕대비 한씨의 손녀 사위. 권모술수에 능한 모략가이자 지략가. 임서홍의 아들.
  • 박영운 : 신수혁 역 - 우림위장, 타고난 무사 기질로 불같은 성정의 이헌의 곁을 묵묵히 지킨다. 신승선의 아들
  • 이주안 : 공길 역 - 비밀이 많은 이헌의 광대, 사당패의 꼭두쇠이자, 처용무로 이헌의 마음을 빼앗은 광대.
  • 장광 : 창선 역 - 상선, 선대왕 시절부터 왕을 2대째 모시고 있는 내관. 입이 무겁고 지혜롭다.
  • 박준면 : 최말임 역 - 대전 상궁, 창선과 함께 이헌을 오래 보필한 지밀상궁. 예의 바르고 위엄이 있다. 지영을 좋아하고, 지영의 요리는 더욱 좋아한다.
  • 이은재 : 폐비 연씨 역 - 이헌의 생모, 이헌이 어린 시절, 모종의 이유로 폐서인이 된 후에 죽음을 맞이한다.

내명부 사람들

조정 대신들

그 외 인물

Remove ads

시청률

자세한 정보 2025년, 회차 ...

참고 사항

  • 서이숙, 신은정, 손종학은 MBC 월화 드라마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이후 8년 만에 다시 한번 더 재회하게 되는 작품의 계기가 되었다.
  • 김현목, 이채민은 MBC 금토 드라마 《바니와 오빠들》 이후로 3개월 만에 재회하는 작품이다.
  • 김광규, 홍진기는 SBS 월화 드라마 홍천기 이후로 4년 만에 재회하는 작품이다.
  • 한국 2020년대 대체역사 웹소설 최초의 실사화 작품이다. 이는 기존의 웹소설 영상화가 사극 로맨스물에만 치중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다만, 드라마에서는 실존 인물의 이름이 모두 가상의 이름으로 설정되어 원작이 지닌 대체역사 장르의 특성이 다소 퇴색되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 캐치테이블에서 드라마 속 음식을 사전에 먹을 수 있는 무료 이벤트를 열기도 했다.[5]
  • 드라마 속 음식 총괄 자문은 신종철과 이정민, 퓨전 요리 부분에 대한 자문은 오세득, 최강록이 맡았다. 5성급 호텔의 신종철 총괄 셰프는 극 중 등장하는 메뉴 개발 및 요리와 교육 등 전반적인 부분에서 총괄을 맡있고, 전통음식연구소 이정민 대표가 궁중요리와 전통 음식에 대한 자문을 진행했다. 오세득 셰프와 최강록 셰프는 메뉴 개발 어드바이저로 참여해 극 중 등장하는 퓨전 요리를 완성했다.[6]
  • 드라마 설정을 보면 역사적 재현도는 일반적인 트랜디 가상 역사극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여성 왕족들이 입는 당의 어깨와 배에 용포를 넣는 것은 조선 후기도 아니고 '대한제국 풍'이다.[7] 또한, 8화 속 땅콩은 명나라가 아니라 청국 강희제 시대 이후에 중국에 전파된 작물[8]인데, 드라마에서는 명나라 숙수 아비수가 이 재료와 라유(붉은 기름)을 사용함으로써 '계정'이라는 요리를 만들었다. 이에 대해 연지영이 "계정이라는 요리는 청나라 때 나온 음식인데 설마 아비수가 계정의 창시자?"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또한 가장 총애 받는 후궁인 강목주에게 꼬박꼬박 마마라고 부르는 것이나 대군을 '자가'가 아닌 '대군 마마'로 부르는 것처럼 역사적 재현에 예민한 시청자들에게 거슬릴 만한 부분이 몇 가지 있기는 하나 가상 역사라는 장르적 특성과 사극 제작에서 현실적 한계[9]로 보아 넘어갈 만한 정도이다.[10]
  • 이 작품을 계기로 사극의 형태를 취했더라도 동북공정같은 불쾌한 왜곡이 없으며 애초에 허구임을 강조하고 진짜인 척하지만 않으면 역사적 사실에 크게 구애받거나 비판하지 않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는 아무리 퓨전사극이라도 역사 인식의 저하를 우려하며 사극에 엄격했던 과거의 시청자층의 성향 변동을 체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넷플릭스와 독점 계약으로 아시아와 태평양, 유럽, 아메리카 등 전 세계 50여개 국에서 동시 공개되었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