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폴리네시아조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폴리네시아조어(PPn)는 오늘날의 모든 폴리네시아어군 언어들이 유래한 가설상의 조상 언어로,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후손 언어이다. 역사언어학자들은 인도유럽조어나 우랄조어와 같은 식으로 비교 방법론을 사용해 폴리네시아조어 역시 재구했다. 비교 방법론은 또한 폴리네시아조어를 사용한 사람들이 통가와 사모아 근방에 살았다는 고고학과 민족학의 증거를 지지한다.[1]
음운론
폴리네시아조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 13개, 모음 5개로 매우 단순하다. *q는 성문 파열음 ʔ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자음
모음
폴리네시아조어는 장단 구별이 없는 /a/ /e/ /i/ /o/ /u/ 다섯 개의 단순모음이 있었다. 많은 후손 언어에서 연속한 모음들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 되었고, 일부 언어에서는 음소의 지위까지 얻게 되었다.[2]
음운 대응
Remove ads
어휘
아래는 각 언어의 정서법으로 표기된 예시 어휘 대응표이다.[3] <ʻ>는 모두 성문 파열음 /ʔ/을 나타낸다. 모든 'ng'과 사모아어의 'g'는 단일 음소 /ŋ/을 나타낸다. 'r'은 모두 유성 치경 탄음 /ɾ/을 나타내며, 전동음 /r/가 아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