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표준 티베트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표준 티베트어(Standard Tibetan)는 라싸의 중앙 티베트어 방언을 기준으로 정해진 티베트어의 표준어이다.


음운
요약
관점
다음은 티베트 라싸에서 발음되는 음성체계를 요약한 것으로, 티베트어 중 가장 영향력 있는 것이다.
홀소리
투르나드르(Tournadre)와 상다 도르제(Sangda Dorje)는 표준 티베트어에서 8개 모음을 설정하였다.
모음 3개가 추가되어 상당히 다르게 설명되기도 한다. [ʌ] 혹은 [ə]는 /a/의 이음(異音, allophone)이다. [ɔ]는 /o/의 이음이다. [ɛ̈]는 비원순음(unrounded)에 중앙에 모이는(centralized) 중전모음(mid front vowel)으로, /e/의 이음이다. 이들 음성은 폐음절(closed syllables)에서 발생한다. 티베트어는 이중자음(geminated consonant)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음절이 그 뒤에 오는 것과 같은 음으로 끝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첫번째는 개음절(open syllable)로 발음되지만 폐음절에서 항상 나오는 모음을 갖는다. 예를 들어 'zhabs' (발)은 [ɕʌp]로 발음되고, 'pad' (산스크리트어로 연꽃을 뜻하는 'padma'의 차용어)은 [pɛʔ]으로 발음되지만, 합성어 'zhabs pad'은 [ɕʌpɛʔ]으로 발음된다. 이 과정은 그렇지 않을 경우 이음으로도 되는 소리를 포함하는 최소 대립쌍을 야기할 수 있다.
단음 [ɛ̈] (폐음절에서는 /e/에서 나옴)과 단음 [ɛ](i 움라우트(i-mutation)를 통한 /a/에서 유래)이 구분되는지 아니면 기본적으로 같은 것인 지에 따라 소스는 다양하다.
음소 모음 길이는 표준 티베트어에서 존재하지만, 제한된 환경에서 발생한다. 고전 티베트어 접미어의 동화는 보통 ‘i (འི་)로, 한 단어의 마지막에서 장음을 만든다. 특징은 음성 전사에서 생략되기도 한다. 표준 발음에서 모음의 장음화는, 한 음절의 끝에서 발생할 때 음성 [r]과 [l]로 자주 바뀐다.
모음 /i/, /y/, /e/, /ø/, /ɛ/는 각각 비음화 형태가 있다. /ĩ/, /ỹ/, /ẽ/, /ø̃/, /ɛ̃/는 각각 역사적으로 /in/, /en/ 등에서 나왔다. 일부 흔치 않은 경우, 모음 /a/, /u/, /o/ 역시 비음화될 수 있다.
닿소리
/p, t, c, k/는 저조에서 /b, d, ɟ, ɡ/로 발음되며, /pʰ, tʰ, cʰ, kʰ/는 저조에서 가벼운 유기음으로 소리 난다. 그러나 라싸의 상류 계층 방언에서는 저조에서도 유성음으로 발음하지 않는다.
성조
표준 티베트어인 라사 방언은 2개의 성조, 즉 고조(高調, high tone)와 저조(低調, low tone)가 있다. 단음절 단어에서, 각 성조는 2개의 별개의 음조(contour)와 함께 발음된다. 고조는 평조(平調, flat contour)와 하조(下調, falling contour)로 발음될 수 있다. 저조는 평조나 상하조(rising-falling contour)로 발음될 수 있다. 상하조로 읽히면 다시 떨어지기 전에 중간 수준으로 올라간다. 두 성조로만 구분하는 것이 안전한데, 음조만으로도 구분되는 최소대립쌍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m]이나 [ŋ]으로 끝나는 단어들에서만 이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kham (티베트어 : ཁམ་, '평화')는 고평조(high flat tone)의 '캄'[kʰám]으로 발음된다. 반면, Khams (티베트어 : ཁམས་, '캄(Kham) 지구'(지명))은 고하조(high falling tone)의 '캄'[kʰâm]이라 발음된다.
복음절 단어에서, 성조는 제1음절을 제외하고는 중요하지 않다. 이는 음운적 분류체계 관점에서, 티베트어는 무변성조어(true tone language)가 아니라 한 단어의 모든 음절이 각각 성조가 있는 고저 강세 언어(pitch-accent language)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Remove ads
문법
통사론과 어순
티베트어는 능격 언어이다. 문법성분은 주요어 마지막 어순(head-final word order)을 광범위하게 가지고 있다.
- 수식-피수식 : 수식어 형용사는 보통 피수식어 명사 뒤에 온다. 형용사가 앞에 올 때는 수식어 피수식어가 속격 관사로 이어진다.
- 목적어와 부사는 동사 앞에 온다. 계사(繫辭, copular)가 있는 구절에서도 형용사는 계사 앞에 온다.
- 속격으로 마킹된 명사는 그것이 꾸며주는 명사 앞에 온다.
- 지시사와 수사는 꾸며주는 명사 뒤에 온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