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프리아모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트로이아의 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프리아모스(고대 그리스어: Πρίαμος, el)는 그리스 신화에서 트로이 전쟁 당시 트로이의 전설적이고 마지막[1] 왕이었다. 라오메돈의 아들이자 헥토르, 파리스, 카산드라 등의 아버지였다.
Remove ads
어원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이름의 어원을 루위어 𒉺𒊑𒀀𒈬𒀀 (Pa-ri-a-mu-a-, "특별히 용감한")에서 찾는다.[2][3] 이러한 이름은 키주와트나의 자즐리파 출신 남성의 이름으로 기록된 바가 있고, 유사한 형태가 카파도키아의 카이사레아 근처에서 그리스어 파라모아스로 표기된 적도 있다.[4] 프리아모스를 윌루사 근처에서 활동했던 전사 피야마-라두와 동일시하는 견해도있으나[5] 히타이트 기록에 그가 윌루사에 대항하여 아히야와의 동맹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가능성은 매우 낮게 여겨진다.
대중적인 민간 어원에서는 이 이름을 '사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동사 priamai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이것은 프리아모스의 누이인 헤시오네가 헤라클레스에게 베일로 그의 자유를 되찾아 '샀다'는 이야기로 이어진다.[6] 이 이야기는 비블리오테카와 기원후 1세기와 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다른 영향력 있는 신화서적에 기록되어 있다.[7] 그러나 이 자료들은 프리아모스 또는 파리야-무와스라는 이름의 첫 기록보다 훨씬 늦게 작성되었으므로 더 문제가 많다.
Remove ads
묘사
연대기 작가 요한네스 말랄라스는 자신의 연대기 기록에서 프리아모스를 "당대에 키가 크고, 덩치가 크며, 선량하고, 붉은빛이 돌고, 눈이 밝고, 코가 길며, 눈썹이 맞닿아 있고, 눈빛이 날카로우며, 회색 머리카락에 절제된 성격"이라고 묘사했다.[8] 한편, 다레스 프리기누스의 기록에서는 ". . .잘생긴 얼굴과 상냥한 목소리를 가졌다. 그는 덩치가 크고 거무스름했다"고 묘사되었다.[9]
결혼과 자녀
프리아모스는 프리기아인의 왕 디마스의 딸인 헤카베를 정실로 두었고, 그 외의 다른 많은 아내들과 첩들로부터 오십 명의 아들과 수많은 딸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이 자녀들 중에는 헥토르, 파리스, 헬레노스, 카산드라, 데이포보스, 트로일로스, 라오디케, 폴릭세네, 크레우사, 폴리도로스와 같은 유명한 신화 속 인물들이 있다. 프리아모스는 80세쯤에 아킬레우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살해당했다.

생애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3권에서 프리아모스는 헬레네에게 자신이 한때 프리기아의 미그돈 왕을 도와 아마조네스와의 전투에 참전했다고 말한다.
아킬레우스는 헥토르르 죽이고 그 시체를 돌려주지 않으며 모독하였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24권에 따르면, 제우스는 신 헤르메스를 보내 헥토르의 아버지이자 트로이의 왕인 프리아모스 왕을 그리스 진영으로 안내한다. 프리아모스는 아들 없는 아비에게 자비를 베풀어 헥토르의 시신을 돌려달라고 아킬레우스에게 눈물로 간청한다. 아킬레우스는 아버지 펠레우스를 떠올린다. 프리아모스는 아킬레우스에게 "나는 이 세상의 누구도 겪어보지 못한 고통을 겪었다. 내 아들을 죽인 자의 손에 입을 맞추었다"고 호소한다.[10] 아킬레우스는 마음을 돌려 헥토르의 시신을 트로이인들에게 돌려준다. 양측은 임시 휴전에 동의하고, 아킬레우스는 프리아모스에게 장례 경기를 포함한 헥토르의 적절한 장례식을 치를 수 있도록 허락한다. 그는 최소 9일 동안 그리스인들이 전투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지만, 평화의 열두 번째 날에는 그리스인들이 다시 모두 일어설 것이고 위대한 전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약속한다.
프리아모스는 트로이의 약탈 중에 아킬레우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피로스라고도 알려짐)에게 살해당한다. 그의 죽음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2권에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베르길리우스의 묘사에 따르면, 네오프톨레모스는 먼저 제우스의 제단에서 피난처를 찾는 프리아모스의 아들 폴리테스를 아버지 앞에서 살해한다. 프리아모스는 네오프톨레모스를 꾸짖으며 창을 던지지만, 방패에 가로막힌다. 네오프톨레모스는 프리아모스를 제단으로 끌고 가서 그도 살해한다. 프리아모스의 죽음은 일부 그리스 꽃병에 다른 방식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버전에서는 네오프톨레모스가 프리아모스의 갓난 손자인 아스티아낙스의 시신으로 프리아모스를 때려 죽인다.[11]
Remove ads
갤러리
- 요한 안드레아스 헤를라인의 프리아모스의 죽음
- 빈첸초 카무치니의 프리아모스의 죽음
- 헥토르의 시신을 위해 아킬레우스에게 간청하는 프리아모스 (1775)
- 알렉산드르 안드레예비치 이바노프의 프리아모스가 아킬레우스에게 헥토르의 시신을 돌려달라고 요청함
- 제롬-마르탱 랑글루아의 아킬레우스의 발 아래 프리아모스
- 외젠 카리에르의 아킬레우스의 발 아래 프리아모스 (1876)
- 쥘 조제프 르페브르의 프리아모스의 죽음
- 피에르나르시스 게랭의 프리아모스의 죽음
- 장-밥티스트 레뇨의 프리아모스의 죽음
- 조반니 마리아 벤초니의 헥토르의 유골이 담긴 황금 항아리를 들고 있는 프리아모스
- 조반니 마리아 벤초니의 헥토르의 시신을 되찾는 프리아모스
- 주세페 지로메티의 헥토르의 시신을 위해 아킬레우스에게 간청하는 프리아모스
- 리처드 쿡의 스카이아 문에서의 헬레네와 프리아모스
- 조셉 벤커의 아킬레우스의 발 아래 프리아모스
- 테오발 샤르트랑의 아킬레우스에게 헥토르의 시신을 요구하는 프리아모스
- 프랑수아-마리 피르맹-지라르의 프리아모스의 죽음 (1861)
- 알렉상드르-루이 르루아의 프리아모스의 죽음 (1861)
- 헨리 푸셀리의 헥토르의 시신을 애원하는 프리아모스
- 프란츠 클레인의 트로이 약탈: 피로스가 프리아모스를 죽임
- 루카스 포르스터만 2세의 트로이 밖에서 대화하는 아킬레우스와 프리아모스
Remove ads
내용주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