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플라반-3-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플라반-3-올
Remove ads

플라반-3-올(flavan-3-ol) 또는 플라반올(flavanols)은 플라보노이드의 하위 그룹이다. 이들은 2-페닐-3,4-다이하이드로-2H-크로멘-3-올 골격을 가진 플라반의 파생물이다. 플라반-3-올은 구조적으로 다양하며,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프로안토시아니딘, 테아플라빈, 테아루비긴과 같은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들은 식물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부분의 식물에 존재한다.[1]

Thumb
플라반-3-올의 화학 구조

화학 구조

요약
관점

단일 분자(단량체) 카테킨 또는 이성질체 에피카테킨(다이어그램 참조)은 플라반-3-올에 4개의 하이드록실을 추가하여 연결된 중합체(프로안토시아니딘)와 고차 중합체(안토시아니딘)의 구성 단위를 만든다.[2]

플라반-3-올은 두 개의 카이랄 탄소를 가지고 있어 각 화합물에 대해 4개의 부분입체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이들은 퀘르세틴루틴 (글리코사이드)과 같은 노란색의 케톤 함유 플라보노이드인 플라보놀과 구별된다. 바이오플라보노이드라는 용어의 초기 사용은 케톤이 없는 것이 특징인 플라반올을 포함하기 위해 부정확하게 적용되었다. 카테킨 단량체, 이량체 및 삼량체(올리고머)는 무색이다. 고차 중합체인 안토시아니딘은 점차 짙은 붉은색을 띠며 탄닌이 된다.[2]

카테킨에피카테킨에피머이며, (–)-에피카테킨과 (+)-카테킨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광학 이성질체이다. 카테킨은 카테큐 식물 추출물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여기서 이름을 얻었다. 카테킨을 분해점 이상으로 가열하면 피로카테콜이 방출되는데, 이는 이들 화합물의 이름의 공통된 기원을 설명한다.

에피갈로카테킨갈로카테킨에피카테킨카테킨에 비해 각각 추가적인 페놀성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며, 피로갈롤피로카테콜의 차이와 유사하다.

카테킨 갈레이트는 카테킨의 갈산 에스터이며,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가 그 예이다. 이는 차에서 가장 풍부한 카테킨이다. 프로안토시아니딘테아루비긴은 올리고머 플라반-3-올이다.

다른 많은 플라보노이드와 달리 플라반-3-올은 일반적으로 식물에서 글리코사이드로 존재하지 않는다.[3]

Thumb
(에피)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및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의 구조.

(–)-에피카테킨의 생합성

플라보노이드는 신나모일-CoA 시작 단위에서 파생된 생성물이며, 3분자의 말로닐-CoA를 사용하여 사슬이 확장된다. 반응은 유형 III PKS 효소에 의해 촉매된다. 이 효소는 코엔자임 A 에스터를 사용하며, 사슬 확장, 축합 및 고리화와 같은 필요한 일련의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단일 활성 부위를 가지고 있다. 4-하이드록시신나모일-CoA가 3분자의 말로닐-CoA와 사슬 확장되면 처음에는 폴리케타이드(그림 1)가 생성되며, 이는 접힐 수 있다. 이를 통해 클라이젠 축합과 유사한 반응이 일어나 방향족 고리가 생성된다.[4][5] 형광 수명 이미징 현미경은 식물 세포에서 플라반올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

Thumb
그림 1
그림 1: 식물에서 티로신 (아미노산)(Tyr) 또는 페닐알라닌(Phe)으로부터 플라반-3-올 (–)-에피카테킨 생합성의 개략도. 효소는 파란색으로 표시되며 다음과 같이 약칭된다.
  • E1: 페닐알라닌 암모니아 분해효소
  • E2: 티로신 암모니아 분해효소
  • E3: 신남산 4-하이드록실레이스
  • E4: 4-쿠마레이트-CoA 연결효소
  • E5: 칼콘 합성효소 (나린제닌-칼콘 합성효소)
  • E6: 칼콘 아이소머레이스
  • E7: 플라보노이드 3'-하이드록실레이스
  • E8: 플라바논 3-하이드록실레이스
  • E9: 다이하이드로플라반올 4-환원효소
  • E10: 안토시아니딘 합성효소 (류코안토시아니딘 다이옥시제나아제)
  • E11: 안토시아니딘 환원효소

아글리콘

자세한 정보 이미지, 이름 ...
Remove ads

식이 공급원

Thumb
일반적으로 섭취되는 식품의 플라반-3-올 함량 범위.[7]

플라반-3-올은 차나무에서 유래한 차 (음료)뿐만 아니라 일부 코코아 가루(카카오 씨앗으로 만들어짐)에도 풍부하지만, 함량은 특히 초콜릿의 가공 과정에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8][9] 플라반-3-올은 또한 과일, 특히 이과, 베리 (과일), 채소포도주를 통해 인간 식단에 존재한다.[10] 식품 내 함량은 가변적이며 재배품종, 식품 가공, 식사 준비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11]

생체 이용률 및 대사

플라반-3-올의 생물학적 가용능식품 매트릭스, 화합물의 유형 및 입체화학적 배열에 따라 달라진다.[3] 단량체 플라반-3-올은 쉽게 흡수되지만, 올리고머 형태는 흡수되지 않는다.[3][12] 인간의 플라반-3-올 대사에 대한 대부분의 데이터는 단량체 화합물, 특히 에피카테킨에 대해 이용 가능하다. 이 화합물들은 빈창자에서 흡수 및 대사되며,[13] 주로 O-메틸화 및 글루쿠론화에 의해 대사되고,[14] 그 다음 에 의해 추가적으로 대사된다. 대장의 인체 미생물총 또한 플라반-3-올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은 5-(3′/4′-다이하이드록시페닐)-γ-발레로락톤 및 마뇨산과 같은 더 작은 화합물로 이화된다.[15][16] 온전한 (에피)카테킨 부분을 가진 플라반-3-올만이 5-(3′/4′-다이하이드록시페닐)-γ-발레로락톤(갤러리 이미지)으로 대사될 수 있다.[17]

가능한 부작용

녹차 추출물의 카테킨은 간독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헬스 캐나다와 EFSA는 주의를 권고하며,[18] 하루 800mg을 초과하여 섭취하지 말 것을 권장한다.[19]

연구

연구에 따르면 플라반-3-올은 2019년 기준으로 미미한 효과만 입증되었지만, 혈관 기능, 혈압혈액 지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20][21] 2015년에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는 200mg의 플라반올을 함유한 코코아 가루에 대해 "혈관 탄력성과 정상적인 혈류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고 명시한 건강 강조 표시를 승인했다.[22][23] 2022년 기준으로, 식품 기반 증거는 하루 400~600mg의 플라반-3-올 섭취가 심혈관 바이오마커에 작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24]

갤러리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