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에 폴 세레노는 플라테오사우루스류를 플라테오사우루스와 마소스폰딜루스 및 그로부터 진화한 공룡들의 조상으로 규정했다.[1] 2004년에 Peter Galton과 Paul Upchurch는 플라테오사우루스류를 원시 용각류에 속하는, 플라테오사우루스와 징샤노사우루스 및 그로부터 진화한 공룡들의 조상으로 규정했다.[2]
21세기의 연구에서 원시 용각류는 별도로 분류되지 않고 플라테오사우루스과의 동물이명(synonym)으로 정의된다.[3]
계통 분류
아래의 분지도는 Cecilia Apaldetti 외의 2011년 연구를 따랐다.[3]
플라테오사우루스류 |
플라테오사우루스과 (Plateosauridae) |
|
우나이사우루스 (Unaysaurus) |
|
|
|
플라테오사우루스 엔겔하르드티 (Plateosaurus engelhardti) |
|
|
|
플라테오사우루스 그라킬리스 (Plateosaurus gracilis) |
|
|
플라테오사우루스 인겐스 (Plateosaurus ingens) |
|
|
|
|
|
|
|
장각류 (Massopoda) |
리오자사우루스과 (Riojasauridae) |
|
에우크네메사우루스 (Eucnemesaurus) |
|
|
리오자사우루스 (Riojasaurus) |
|
|
|
|
|
|
이그나부사우루스 (Ignavusaurus) |
|
|
사라사우루스 (Sarahsaurus) |
|
|
|
|
마소스폰딜루스과 (Massospondylidae) |
|
|
|
|
|
마소스폰딜루스 (Massospondylus) |
|
|
|
아데오팝포사우루스 (Adeopapposaurus) |
|
|
레예사우루스 (Leyesaurus) |
|
|
|
|
|
|
|
|
|
윤나노사우루스 (Yunnanosaurus) |
|
|
|
징샤노사우루스 (Jingshanosaurus) |
|
|
|
세이타드 (Seitaad) |
|
안키사우루스류 (Anchisauria) |
|
안키사우루스 (Anchisaurus) |
|
|
|
아르도닉스 (Aardonyx) |
|
|
용각하목 (Sauropoda) |
|
|
|
|
|
|
|
|
|
|
|
|
|
|
|
|
|
|
|
아래의 분지도는 Fernando E. Novas 외의 2011년 연구를 따랐다.[4]
플라테오사우루스류 |
플라테오사우루스과 (Plateosauridae) |
|
자클라팔리사우루스 (Jaklapallisaurus) |
|
|
우나이사우루스 (Unaysaurus) |
|
|
플라테오사우루스 엔겔하르드티 (Plateosaurus engelhardti) |
|
|
플라테오사우루스 그라킬리스 (Plateosaurus gracilis) |
|
|
플라테오사우루스 인겐스 (Plateosaurus ingens) |
|
|
|
장각류 (Massopoda) |
리오자사우루스과 (Riojasauridae) |
|
에우크네메사우루스 (Eucnemesaurus) |
|
|
리오자사우루스 (Riojasaurus) |
|
|
|
|
마소스폰딜루스과 (Massospondylidae) |
|
마소스폰딜루스 (Massospondylus) |
|
|
프라다니아 (Pradhania) |
|
|
|
콜로라디사우루스 (Coloradisaurus) |
|
|
|
루펭고사우루스 (Lufengosaurus) |
|
|
그라킬리사우루스 (Glacialisaurus) |
|
|
|
|
|
|
|
안키사우루스류 (Anchisauria) |
|
윤나노사우루스 (Yunnanosaurus) |
|
|
징샤노사우루스 (Jingshanosaurus) |
|
|
안키사우루스 (Anchisaurus)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