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플로그룹 C (Y-DNA)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하플로그룹 C (Y-DNA)
Remove ads

하플로그룹 C 또는 하플로그룹 C-M130는 주요 인류 Y-염색체 DNA 하플로그룹 중 하나로, SNP 돌연변이 UEPs M130/RPS4Y711, P184, P255, 그리고 P260의 유무로 결정된다. 하플로그룹 F와 함께 하플로그룹 CF의 처음의 두 분파 중 하나로 지금으로부터 약 53000년 전에 서아시아서 비롯되었다. 아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대륙의 고대 인구에게서 발견된다.

Thumb
하플로그룹 C의 추정 확산경로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의 원주민들이 주로 이 하플로그룹에 분류되며, 남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도 중간 정도의 비율로, 유럽에서도 적은 비율로 찾아진다. 하플로그룹 C는 기저 파라그룹 C* 외에도 하위 계통군으로 하플로그룹 C1하플로그룹 C2가 있다.

역사

하플로그룹 C-M130은 현대 인류의 출아프리카 대이주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인류는 서남아시아에서 동쪽으로 퍼져 나가며 차례로 남아시아, 동아시아, 오세아니아를 식민화했다. 이러한 이동이 정확히 어떻게 일어났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는데, 많은 연구는 시베리아를 통과하는 "북방 이주 경로"를 지지하는 한편 일부 연구에서는 인도와 동남아시아 해안을 따라 중국까지 도달했다는 "남부 이주 경로"를 지지한다.[1] 하플로그룹 C-M130은 SNP 돌연변이 M168이 발생한 직후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SNP 돌연변이 M168는 하플로그룹 CT를 만들었고 여기서 하플로그룹 CF와 하플로그룹 C가 유래했다. 이것은 아마 5~6만년 전에 일어났을 것이다.

하플로그룹 C-M130은 현대 카자흐족몽골족, 러시아 극동 토착민, 호주의 일부 원주민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며, 중간 정도의 빈도를 보이는 한국인만주족, 일부 북아메리카 원주민(나데네인) 등을 비롯하여 이외에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전역에서 서로 다른 빈도로 나타난다. 이것은 중앙아시아나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했거나 가장 오랜 기간 진화의 과정을 거쳤음을 시사한다. 일본의 후기 조몬인구석기 시대신석기 시대 유럽 원주민은 C1a, C1b 및 C1a2를 보유하고 있었다.

Remove ads

분포

하플로그룹 C-M130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시베리아, 동아시아 일부 지역, 오세아니아,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의 특정 집단에 국한되어 있다. 하플로그룹 C는 오래되었기 때문에 수많은 2차 돌연변이가 축적될 시간이 있었고, 지역적으로 중요한 하위 클레이드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2015년 Nag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유럽인과의 접촉 및 본격적인 유럽인 이주 이전에 호주 원주민 남성의 최대 46%가 기저 C*(C-M130*), C1b2b* (C-M347*) 또는 C1b2b1(C-M210)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657명의 현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Y 염색체의 20.0%에 해당하였다. (이 샘플의 56%는 "비원주민" 유래로 분류되었다.) C-M130*는 식민화 이전에 최대 2.7%의 원주민 남성이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43%는 호주 외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C-M347을 가지고 있었다. 호주 원주민의 다른 하플로그룹은 하플로그룹 S-M230M-P256으로, 파푸아인이나 다른 네그리토족들과 유사하다.[2][3] 이외에 인도 아대륙, 스리랑카 및 동남아시아의 남성에서 드물게 C-M130*가 발견되었다.[4]

기저 C1a*는 구석기 시대 유럽(오리냐크기)의 개체 GoyetQ116-1에서 발견되었다.[5]

C1b는 러시아에서 발견된 34,000년 전의 선사시대 유적의 개체 Kostenki 14에서 식별되었다.[6]

하플로그룹 C2 (M217)는 가장 흔하고 널리 분산된 C의 계통군으로, 중앙아시아 또는 동아시아에서 유래하여 북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까지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유라시아는 물론 아메리카에서도 넓은 지역에 걸쳐 다양한 빈도로 검출되지만, 가장 높은 빈도는 몽골과 러시아 극동의 인구에서 나타나며, 이 지역의 모달 하플로타입(Modal haplotype)로 여겨진다.

Remove ads

계통수

Thumb
동아시아에서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 C의 추정 분포도

C* (M130/Page51/RPS4Y711, M216)

  • C1 (F3393)
    • C1a (CTS11043)
      • C1a1 M8
        • C1a1a P121
          • C1a1a1 CTS6678
          • C1a1a2 Z1356
      • C1a2 (전 C6) V20
        • C1a2a V222
        • C1a2b Z29329
    • C1b F1370
      • C1b1 K281
        • C1b1a B66/Z16458
          • C1b1a1 (전 C5) M356
          • C1b1a2 B65
      • C1b2 B477/Z31885
        • C1b2a (전 C2) M38
          • C1b2a1 M208
            • C1b2a1a P33
            • C1b2a1b P54
        • C1b2b (전 C4) M347
          • C1b2b1 M210
  • C2 (전 C3) M217
    • C2a M93
    • C2b L1373, F1396
      • C2b1
        • C2b1a
          • C2b1a1
            • C2b1a1a P39
          • C2b1a2 (전 C3c) M48
    • C2c C-F1067
      • C2c1 F2613/Z1338
        • C2c1a Z1300
          • C2c1a1
            • C2c1a1a
              • C2c1a1a1 M407
  • 기타, 분류되지 않은 하위 계통:
    • C-P343: C1a1 (M8), C1b2a (M38), C1b1a1 (전 C5; M356), C1b2b (전 C4; M347), 그리고 C2 (ex-C3; M217)의 밖이나, 하지만 다른 분기와의 관계는 아직 검사되지 않았다.[7]
    • C-P55: C1b2a (M38)의 밖이나, 다른 분기들과의 관계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8]

(위의 계통수는 ISOGG 2015 계통수, YCC 2008 계통수 그리고 이후 출판된 연구를 기준으로 한다.[4][9])

계보

인류 Y-염색체 DNA (Y-DNA) 하플로그룹 계보

Y-염색체 아담
A
A1b A1a-T
A1a A2-T
A2 A3 BT
B CT
DE CF
D E C F
G H IJK
IJ K
I J LT K(xLT)
I1 I2 J1 J2 L T M NO P S
O N Q R
O1 O2 R1 R2
O1a O1b R1a R1b
O1b1 O1b2

인구에 따른 Y 염색체 하플로그룹 · 역사적 인물들의 하플로그룹 목록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