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카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하카어
Remove ads

객가어(중국어 정체자: 客家話, 간체자: 客家话, 하카어 백화자: Hak-kâ-fa, 병음: Kèjiāhuà), 음역 하카어(Hakka)는 객가인들이 사용하는 중국어의 방언으로, 주로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장시성 남부에서 쓰이지만, 해외의 중국인, 화교도 많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간략 정보 사용 국가, 사용 지역 ...
Thumb

하카인은 여러 이민족의 지배를 피해 광둥성으로 남하하였고, 그 당시 중국어의 특징이 잘 보전되어 있다. 그래서 하카어의 한자 발음은 한국어나 일본어 한자 발음과 유사한 면이 있다. 객가어 사용자들이 여러군데 분포해있기 때문에, 주위 언어, 방언에서 영향을 받은 차용어가 많아 지역별로 약간 차이가 있다.

Remove ads

음운

어음의 특징은 많은 지역에서 성모 s와 sh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s로 발음한다. 또 옛 입성운미(入聲韻尾) -b[-p], -d[-t], -g[-k]를 보존하고 있으며, 북경어의 성조는 4개인 데 반해 객가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성모

메이현 방언을 기준으로 기술한다.

자세한 정보 입술소리, 치음 ...

경구개 파열음, 마찰음, 비음은 k, g, h, ng가 i 앞에 있을 때만 나타난다.

모음

자세한 정보 수반, 전설 ...

운모

  • 받침으로는 m, n, ng, b, d, g가 있다. 이 가운데 b, d, g는 불파음이다.
  • ii, m, n, ng는 성절자음이 될 수 있다.
Remove ads

하위 방언

투광둥어

쓰촨성, 충칭시 일대의 객가어는 투광둥어(중국어 간체자: 土广东话, 정체자: 土廣東話)로 불린다. 투광둥어 구사자는 청나라 초기 호광전사천이 일던 때 광둥성 일대에서 이민 온 사람들이며, 이들은 투광둥인(중국어 간체자: 土广东人, 정체자: 土廣東人)이라고 불린다.[3]

단어

자세한 정보 객가어 한자, 발음 ...
자세한 정보 객가어 한자, 발음 ...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