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경춘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소속 통근형 전동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는 2010년 12월 21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 차량이다. 총 8량 15개 편성 중 1개 편성은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차출됐고, 현재 총 8량 13개 편성(104량)이 운행하고 있으며, 8량 1개 편성(8량)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 ~ 용문 ~ 지평 구간에 운행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된 차량이다.
Remove ads
Remove ads
기술적 사양
기본 정보
2010년 12월 21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을 대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제어기기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후기형에서 사용된 우진산전, 도시바제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사용한다.
실내 설비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와 거의 내부가 동일하지만, 좌석 색이 초록색이다. 다만 우선석은 기존의 빨간색이 그대로 채용됐지만 문양은 약간 다르며, 손잡이 색이 기존의 레드와인 색(자주색)에서 파란색 계통으로, LCD TV가 출입문 위에서 천장 위로, 바닥의 무늬는 기존 회색-파랑-회색에서 전통무늬가 추가되면서 각자 변경이 이루어졌다. 반입 당시부터 모든 편성의 Tc 차량엔 자전거 전용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다.[2]
승무 설비
기존 차량들의 전면부보다 운전실 창을 넓히고, 형태를 살짝 바꾸어 시야를 개선했으며, 1인 승무에 대응하도록 CCTV 모니터 및 프랑스 알스톰사의 ATP 속도계가 장착되어 있다.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된 상태다.
편성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 그리고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3]
Remove ads
배속
수도권 전철 경춘선에서 운행되며, 현재 16개 편성이 평내차량기지에 배속되어 있다.
현재 운행구간
도입 역사
1차분 (2010년 3월~9월)
2차분 (2024년 8월~10월)
Remove ads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1세대분
2세대분
해당 편성들은 경춘선 노선 색상에 맞는 청록색으로 도색되어 있다.
Remove ads
사진
- 차량 내부
- 자전거 전용 거치대
- 36115편성(현 36114편성)
- 갑종회송 중인 361000호대 전동차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