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의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수도권 전철 1호선
Remove ads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 電鐵 一號線)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연천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간략 정보 기본 정보, 운행 국가 ...
Remove ads
100-3
연천
100-2
전곡
100-1
청산
100
소요산
101
동두천
102
보산
103
동두천중앙
104
지행
105
봉양
106
덕정(서정대학교)
107
회천중앙
108
덕계
109
양주
110
녹양
111
가능(을지대병원)
112
의정부
113
회룡
114
망월사(신한대 제1캠퍼스)
115
도봉산
116
도봉
117
방학(도봉구청)
118
창동
119
녹천
120
월계
121
광운대경춘선
122
석계
123
신이문
124
외대앞
125
회기경의·중앙선경춘선
126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경의·중앙선경춘선한국고속철도
127
제기동(한국건강관리협회)
128
신설동우이신설선
129
동묘앞
130
동대문
131
종로5가(삼양그룹)
132
종로3가(탑골공원)
133
종각
134
시청
135
서울역경의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한국고속철도
136
남영
137
용산
138
노량진(노량진수산시장)
139
대방(성애병원)신림선
140
신길
141
영등포
한국고속철도
142
신도림
143
구로
구일(동양미래대학)
144
개봉
145
P144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
오류동
146
P145
독산
온수(성공회대입구)
147
P146
금천구청
역곡(가톨릭대)
148
서해선소사(서울신학대)
149
P147
석수
부천(부천대학교)
150
P146-1
광명
한국고속철도
중동
151
P148
관악(안양예술공원)
송내
152
P149
안양
부개
153
P150
명학(성결대학교)
부평(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154
P151
금정
백운
155
P152
군포(지샘병원)
동암
156
P153
당정(한세대학)
간석
157
P154
의왕(한국교통대학교)
인천 2호선주안(인천사랑병원)
158
P155
성균관대
도화
159
P156
화서(스타필드 수원)
제물포(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160
P157
수원수인·분당선 한국고속철도
도원
161
P158
세류
동인천
162
P159
병점
수인·분당선인천
163
P159-1
서동탄
P160
세마
P161
오산대
P162
오산
P163
진위
P164
송탄
P165
서정리
P166
평택지제(한경국립대)
 SRT 
P167
평택
P168
성환(남서울대학)
P169
직산
P170
부성
P171
두정
P172
천안
P173
봉명
P174
쌍용(나사렛대)
P175
아산(선문대학)한국고속철도  SRT 
P176
탕정
P177
배방
P178
온양온천
P179
신창(순천향대학)

1호선 열차의 운행 또는 운영과 관계 없는 접속 노선은 역명 옆에 기호로만 표시했음.
1: 인천~연천/소요산/동두천 완행 (전역정차)
2: 신창/천안~광운대 완행 (전역정차)
3: 경인선(동인천)급행 및 특급 용산~동인천
4: 경원선급행 동두천~광운대 - (전역정차) - 인천
5: 경부선급행 청량리/서울~천안/신창 (신창(순천향대학)~천안 간 전역정차)
6: 영등포 - 광명 셔틀
7: 의정부~서동탄

적색: 한국철도공사 관할
주요 시종착역
경인선 특급 정차역
특정 시간대에만 운행·정차
끊긴 선: 차량기지 입출고선
차량기지
지하 구간
청색: 서울교통공사 관할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한다.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의 여러 노선에 걸쳐 운행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란 명칭은 이들 노선에서 운행된 열차에 대한 통합된 명칭이다. 안내 등에 사용된 노선 색은 남색이다.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거리를 운행하는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전 구간이 좌측통행이다.

Thumb
1차분 (현재는 폐차)
Thumb
2차분

1974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의 주도로 서울역 - 청량리 구간의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개통함과 동시에 철도청 소유의 철도 노선인 경원선, 경부선경인선에도 통근형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곧이어 둘은 서로 직결 운행을 하게 되어, 수원시인천시(현재의 인천광역시)에서도 수도권 전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기준으로 하여,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영등포역 등을 비롯한 서울의 부도심과 부평역, 동인천역인천광역시의 도심과 부도심, 그리고 안양역, 수원역, 서동탄역, 평택역 등의 근교 지역을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까지 연결하여, 현재 수도권 전철에서 제일 긴 구간[내용주 1]을 운행한다. 또 대한민국에서 통근 전철 구간과 도시 철도 구간이 직결 운행하는 최초의 운행 계통이다.

초창기에는 간단하게 수도권 전철(首都圈 電鐵) 혹은 국철(國鐵, Korea Nat'l Railroad)로 불렸으며 남색을 안내에 사용하였다. 1978년 12월 9일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이 전철화되면서 용산 - 성북(현 광운대역) 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하였다. 1988년 10월 25일금정 - 원곡(현 안산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되어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청량리안산행이었으나 이후 구로안산노량진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 이름을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바꾸고 여객 안내에서 더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구별하지 않고, 그 후로는 노선을 구별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거의 같은 노선 취급을 받으나,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여객 안내를 제외하고는 아직도 노선별로 명칭을 다르게 쓰는 경우가 있다. 2003년 4월 30일에는 경부선 수원역에서 병점역까지 전철 연장 개통과 함께 1호선 전동차의 안산선 직결 운행은 중단되었으며 2005년 12월 16일회기역에서 덕소역까지 중앙선 전철이 별개로 개통되어 용산~덕소 간 상호 직결 운행개시, 이로서 경원선 용산 - 성북(현 광운대역) 구간의 운행은 중단되었다.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역에서 천안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 2006년 12월 15일에는 경원선 의정부북부역에서 소요산역까지 연장 개통되었으며, 2008년 12월 15일장항선 복선전철 구간에 포함되는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 연장 개통되으며, 북쪽 구간으로 동두천역 ~ 연천역 구간을 2023년 12월 16일 단선으로 연장 개통되었다. 연천역으로 노선이 연장되면서 수도권 전철 최초로 수복지구에 진입하는 노선이 되었다.

Remove ads

연혁

Thumb
1980년대 수도권 전철 노선도
Remove ads

운영

요약
관점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제외한 철도 노선들의 소유 기관은 대한민국 정부이며, 국가철도공단의 관리를 받아 운행 계통의 영업 및 운영 권한은 한국철도공사가 소유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도 일부 관리에 참여하나, 제약이 많이 수반된다. 그 예로 운영 계획 및 차량 시간표는 대부분 한국철도공사에서 수립·관리하며, 운행 차량 비율은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보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이 10배 이상 많고, 또한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내용주 2] 보다는 한국철도공사의 소속 차량[내용주 3]의 운행 거리가 많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한국철도공사가 점유하고 있다.

열차의 운행 횟수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는 약 96회,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는 약 454회이다.[2]

경유 노선 목록

완행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의 운행 구간은 양주역 - 인천역 · 광운대역 - 서동탄역이다.

경인·경원선 계통

Thumb
소요산역에서 대기하는 전동차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경부·장항선 계통

Thumb
금정역을 출발하는 전동차
Thumb
1차분
Thumb
2차분

영등포-광명간 셔틀 전철

Thumb
광명역에서 대기중인 영등포행 열차

한강 이남 지역에서 KTX 광명역으로 접근하기 쉽도록 운행되고 있다. 2006년 12월 15일 개통 당시에는 10량 1편성으로 구성되었고, 배차 간격은 약 30분으로 용산 - 광명 간 모든 역에 정차하는 운행 계통이었다. 이용 승객 저조로 2008년 12월 1일부터 영등포 - 광명으로 구간을 단축운행하고 전동차 편성도 4량으로 감축하였다. 영등포 - 구로 구간에서는 경인 급행 선로를, 구로 - 금천구청 구간에서는 기존 경부 2선을, 금천구청역에서는 경부고속선을 따라 운행한다. 또한 하행 셔틀 전철은 공무수행 중인 대통령 전용열차를 제외하면 최우선 순위로 운행하는데 이는 고속철도 열차 접속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급행

크게 다음 3개의 계통으로 나뉘며 모두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 · 운영한다.

용산 - 동인천

  • 경인선이 부평역까지 복복선으로 준공된 1999년 1월 29일부터 용산-부평 간을 운행하던 급행이 시초이다.[3] 주안역, 동인천역까지 차례로 복복선이 확충될 때마다 급행도 그에 따라 연장되었다. 소요 시간은 47분이며, 배차 간격은 5~25분 간격이다.
  • 2010년 9월 1일부터 동인천역에서 출발하여 주안역, 부평역, 부천역 및 구로~노량진역만을 정차하여 용산역까지 평일 아침시간대 2회 운행하는 경인선 급행A 전동차를 운행하다가[4] 2012년 11월 1일에 폐지되었다.
  • 2010년 1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막차 시간에 경원선으로부터 직통 운행하는 인천 급행 열차를 동인천 급행 정차역에 맞추어 1회 운행하였다. #소요산 - 인천 심야급행 문단을 참고하기 바란다.
  • 2016년 2월 1일부터 개봉역, 제물포역을 정차하기 시작했다.
  • 2017년 7월 7일부터, 이전의 A급행과 유사하게 주안, 부평, 송내, 부천, 구로, 신도림, 노량진역만을 정차하여 동인천역과 용산역을 잇는, 특급이라 불리는 급행이 신설되며, 상·하행 각 9회가 운행된다. 소요시간은 약 40분.[5]
  • 2022년 6월 20일부터 특별 급행이 영등포역, 역곡역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면서 정차역이 11개로 늘어났다.

청량리 - 천안·신창

Thumb
천안역에서 출발하는 전동열차

용산 - 천안 급행을 모태로 하고 있으며, 2012년 11월부터 평일에 한하여 용산-병점 간 운행편성이 추가되었으며[6], 2016년 12월 9일부터 평일에 한하여 일부 열차가 신창역까지 연장되었다. 2019년 12월 30일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하게 되었고 운행 횟수가 증가하였다.[7] 금정역과 성균관대역, 그리고 서울역 급행의 폐지를 보완하기 위해 일부 시간대에 금천구청역과 의왕역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

전 구간 완행과 운행 선로를 공유하며, 개편 이전에는 용산 - 안양과 수원 - 두정 구간에서 경부2선, 안양 - 수원 구간에서 경부1선을 이용하여 용산 - 구로 구간에서는 경인선 급행과, 안양 - 수원 구간에서는 일반열차와, 나머지 구간에서는 완행과 운행 선로를 공유하였다.

서울역 - 천안·신창

  • 이 열차의 시초는 1982년 9월 25일부터 운행한 서울-수원 출퇴근 직통열차로, 서울역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는 중에 중간정차는 안양역에만 정차하였다. 개통 초창기에는 수원→서울 편도로 출근 시간 3회 운행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20일에 서울→수원 노선 또한 퇴근 시간 3회로 운행을 개시하였다.[8] 이후 시흥역, 군포역, 부곡역1999년에 여객열차 영업을 중단하면서 이 역들에 대신 직통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성균관대역에도 급행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안양역 민자역사 공사 기간동안 관악역에 대신 임시 정차한 이력이 있다. 2003년 11월 서울역 신축에 따라 1·4호선 승강장과 급행 승강장을 승차권 재구입 없이 오갈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는 서울역에서 승차권 재구입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영등포역 하차로 완행을 이용할 것을 유도하였다.
  • 평일 출근 시간대에 서울행 3회[내용주 5]와 신창행 1회, 평일 퇴근 시간대에 신창행 2회가 운행하며, 2010년 4월 1일부터 2011년 10월 4일까지 일요일공휴일에도 운행을 확대한 이력이 있었다. 영등포역은 모든 상행 열차만 정차하며, 지상 서울역 2번 승강장과 천안역 8번 승강장에서 출발했다. 이때 신창발 차량은 한국철도공사의 지상 서울역 승강장으로 진입하며, 서울역발 차량 역시 지상 서울역 승강장에서 출발하였다. 지상 승강장은 지하 서울역과는 전철 무료 환승통로로 연결되어 있어 완행 전동차나 수도권 전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와도 문제 없이 환승할 수 있었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신창 급행, 서울 급행으로 표시된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자체적으로 ‘B급행’이라고 부르며, 노선도 상의 색상에서 따온 ‘초록 급행’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했었다. 서울 - 수원 구간에서 경부선 새마을호·무궁화호 열차의 선로인 경부1선을 공유했었다.
  • 2019년 12월 30일에 용산-천안, 신창 급행이 청량리로 연장됨에 따라 폐지되었으나, 이로 인한 불편이 제기되어 2020년 1월 8일 병점 출발 서울 행 2회가 임시로 운행을 시작하였고,[9] 같은 달 28일 천안 출발 서울 행으로 전환과 동시에 저녁 시간 서울 출발 천안 행이 1회 추가되었다.
  • 2021년 7월 현재 천안 출발 서울 행 1회, 신창 출발 서울 행 1회, 서울 출발 천안 행 1회가 운행 중이다.
  • 신창 - (각역정차) - 천안 - 두정 - 성환 - 평택 - 서정리 - 오산 - 병점 - 수원 - 성균관대 - 의왕 - 군포 - 안양 - 금천구청 - (영등포) - 서울역

동두천 - 인천 급행

동인천역용산역에서 발착하는 급행과는 별개로, 인천역동두천역에서 발차하는 급행이다. 2018년 6월 29일까지 평일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되었으나 2018년 7월 2일부터 평일 운행 횟수가 10회 확대되었다. 급행 운행으로 단축되는 시간은 약 11분 정도이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2008년 12월 15일 시각표 개정 전까지는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모두 운행하였으며, 가능역에 임시정차하였고, 인천-가능 구간의 각 역에 정차하였다. 2018년 7월 2일부터 지행역에도 정차한다.

폐지된 운행 계통

경원선 용산-왕십리-성북

1978년 12월 9일부터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이 복선 전철화된 이후 경원선 용산 - 왕십리 - 성북 사이를 운행하는 계통이었다. 일부 열차는 선로 용량 관계로 용산 - 왕십리 - 지상 청량리만 운행하기도 하였다. 창동에서 출발하여 성북과 왕십리를 거쳐 용산까지 운행하는 열차도 있었으나 창동역 출발 열차만 있었고, 일요일 및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과 토요일에 한해 아침 시간대에 편도 1회씩만 운행하였다. 이 운행 계통은 2005년 12월 16일중앙선 회기 ~ 덕소 구간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개통되면서 1호선의 운행 계통에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이는 용산-덕소선으로 현재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전신이다.

2000년 당시 ‘지하철 안내체계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수도권 전철 1 · 3 · 4호선이 운행 기관과 상관 없이 노선 안내명과 노선색이 통일되었다. 이 때 왕십리 경유 경원선 운행 계통은 명시적이지는 않았으나 1호선의 일부분처럼 간주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운행 계통도 1호선의 다른 구간과 동일하게 남색()이 상징색이었다.[10][11] 또한 1호선 본선 계통과 겹치는 역에는 이 운행 계통을 위한 역 번호가 따로 부여되지 않았다. 그리고 노선도에서 환승역 기호를 본선 계통과 분기·합류하는 역인 용산과 회기에만 표시하였다. 이 점은 경인선 계통과 경부선 계통이 만나는 구로역과 동일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차량도 공유하였기 때문에 차내에 부착하는 개별 노선도에 이 구간도 함께 그려졌다.

그러다가 2005년 12월 16일수도권 전철 중앙선 회기~덕소 구간이 개통하면서 이와 동시에 용산-회기 구간은 노선 자체 회사 방식으로 변경되어 1호선의 운행 계통에서 완전히 별개로 분리, 용산~왕십리~덕소 구간을 운행하게 되었다[12]이와 동시에 새로운 상징색이 부여되었고, 각 역의 번호가 변경되었다. 다만 노선 분리 초기에는 아직 1호선과 열차를 공유하였던 관계로 차내에 부착하는 개별 노선도에는 두 노선이 함께 그려졌었다.

2000년 지하철 안내체계 개선 사업 이후에도 이 운행 계통이나 용산~왕십리~회기 구간을 가리키는 안내 명칭을 명확히 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운영 기관이나 상황에 따라서 경원선이나 국철 등으로 불렸다.

2005년 12월 16일부터는 용산~왕십리~덕소 구간을 운행하게 되면서 1호선과 별개로 분리되었으나 안내 명칭은 여전히 확정되지 못하였다. 이 노선이 한국철도공사의 영업 거리표상 경원선과 중앙선을 모두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임시로 용산-덕소선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다른 운영 기관에서는 종종 중앙선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후 추가로 역이 개통되면서 운행 계통 내에서 중앙선의 비중이 커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2007년 12월 27일부터 안내 노선명을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안산역 착발

1988년안산선의 개통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에서 용산역, 금정역을 경유하여 안산선으로 직결하는 운행 계통이었다. 1994년 서울 지하철 4호선과천선안산선의 직결 운행으로 운행 구간이 안산-구로안산-영등포로 축소되고, 운행 횟수는 2000년 이후 출근시간에 하루 3회만 운행되었다. 운행 구간은 구로발 안산행이나 안산발 용산행으로 더 축소되었으며, 후자는 용산역 민자역사 착공 이후에 노량진행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다가 결국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 ~ 병점 구간 복복선 전철 연장 개통으로 완전히 폐지되었으며, 현재의 안산선과천선과 함께 온전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운행 구간이 되어 더 이상 1호선 차량이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소요산 - 인천 심야급행

영등포 - 병점 급행

영등포역에서 발차하는 급행으로,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치에 따라 2014년 8월 25일부터 신설한 급행이다.[14] 첫차와 막차 시간대에만 운행되었으며, 급행 운행으로 단축되는 시간은 약 40분 정도이었다. 광명 셔틀에서 운행하던 4량 전동차가 운행하였다. 영등포 - 수원 구간에서 경부선 새마을호·무궁화호 열차의 선로인 경부1선을 공유하였다. 2016년 12월 9일 천안-신창 급행 운행 개시 및 광명 셔틀 열차 증편으로 폐지되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15]

경부선 용산-신창 주말 특급 급행

2013년부터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한 급행으로, 주말 및 공휴일에 하루 1회 왕복 운행했다. 일반 경부선 급행과 똑같지만, 급행 필수 정차 역인 안양역, 병점역, 오산역, 서정리역, 성환역은 통과하였다. 일반 급행보다 단축되는 시간은 약 15분 정도이었다. 2018년 7월 1일 1호선 급행 시간표 개편으로 특급 급행 열차는 일반 용산발 신창행 급행으로 전환되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았다.

Remove ads

차량

향후 계획

경원선 양주 회정역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국가철도공단은 양주 회천지구 조성 사업으로 인한 경원선 역을 덕정역과 덕계역 사이에 신설하여 당초 2023년 착공, 2025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시기가 2년 미뤄져 2025년 착공하여 2027년 개통할 예정이다.

장항선 아산 탕정역, 풍기역

충청남도 아산시2016년 8월 아산·배방역 중간 지점에 먼저 탕정역을 신설하기로 하고,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철도공사와 위·수탁협약에 서명했다. 2016년 연말까지 설계하고 2018년 10월에 착공하였고 탕정역은 2021년 10월 30일에 개통되었으며 풍기역은 2029년에 개통 예정이다.

병점기지선 서동탄역 ~ 동탄역

경기도 화성시는 현재 병점기지선 종착역인 서동탄역동탄신도시까지 연장을 하기 위해서 자체 타당성 조사을 실시했는데 자체 조사 결과 경제성이 높다며 발표했다.

Remove ads

역 목록

경원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 경부선(서울~구로) - 경인선 계통

자세한 정보 노선, 역 번호 ...

경부선(서울~두정) - 천안직결선 (두정~천안) - 장항선(천안~신창) 계통

자세한 정보 노선, 역 번호 ...

경부고속선

자세한 정보 역 번호, 역명 ...

병점기지선

자세한 정보 역 번호, 역명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