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경강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소속 통근형 전동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는 경강선(성남~여주) 운행용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현재 총 4량 12개 편성(48량)이 운행하고 있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7년 1월) |
Remove ads
Remove ads
기술적 사양
제어기기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동해선 광역전철용) 및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서해선 광역전철용)에서 사용된 우진산전, 도시바제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사용한다.
실내 설비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중 31195~31203편성,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중 35173~35178편성,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동해선 광역전철용)과 실내 설비가 동일하다. 전 편성의 객실에 CCTV가 설치되어 있다.
승무 설비
기존 차량들의 전면부보다 운전실 창을 넓히고, 형태를 약간 바꾸어 시야를 개선했으며, 1인 승무에 대응하도록 CCTV 모니터 및 이탈리아 안살도 STS사의 ATP 속도계가 장착되어 있다.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되었다.
편성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로 구성되어 있다.
Remove ads
배속
- 37101~37112편성: 부발차량사업소, 4량
도입 역사
1세대
1차분 (37101~37112편성, 2015년 9월~2016년 4월)
2차분 (37113~37122편성, 2028년)
월곶판교선 개통 및 직결 운행으로 차량 증비용으로 도입될 차량이다.
현재 운행구간
- ●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 - 여주
현황
1세대분
2세대분
Remove ads
사진
- 09편성 반입 당시의 모습(전두부만 무도색, 의왕역)
- 371904호 전동차 내부
같이 보기
위키미디어 공용에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