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함양울산고속도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함양울산고속도로(咸陽蔚山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4호선)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양군을 기점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전체 구간 완공시 길이는 144.61km이고,[1][2] 모두 3개 구간으로 나누어 공사를 진행하여 2020년 12월 11일에 부분 개통을 시작하여 2024년 12월 28일 창녕~밀양 구간이 개통되었고[3], 2026년까지 함양~창녕 구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4][5][6]전체 구간 중에서 밀양 ~ 울산 구간은 2014년 3월 10일에 착공하여 2020년 12월 11일에 개통하였으며, 창녕 ~ 밀양 구간은 2016년 10월 14일에 착공해 2024년, 함양 ~ 창녕 구간은 2018년 2월 23일에 착공해 2026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지난 2009년 12월 기본 설계가 완료되었으며, 2010년 2월 기획재정부와 총 사업비 협의도 완료된 상태이다.[7] 2010년 7월부터 공구별 실시설계 입찰이 진행되어 같은 해 8월에 완료되었다.[8]
Remove ads


북위 35° 31′ 03.0″ 동경 128° 03′ 55.0″
경상남도 서북부 내륙지역과 북동부지역, 울산광역시를 잇는 함양울산고속도로 건설 사업에는 총 5조 2647억 원이 투입된다. 특히, 이 사업은 광역경제권발전 선도프로젝트 사업으로 선정되어 사업추진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9] 지난 2010년 8월에는 부산, 울산, 경남의 시도지사가 함께 모인 자리에서 함양 ~ 울산고속도로 건설 등을 조기확충할 것을 공동 노력한다는 데 합의하기도 하였다.[10]
한편, 지난 2009년에는 이 고속도로가 양산시 원동면 배내골 일대를 지나도록 건설을 추진하기로 한 데 대하여 해당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여 200여명의 지역 주민들과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들이 공청회를 열기도 하였다.[11]
Remove ads
연혁
- 2012년 12월 27일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함양 ~ 울산선)로 지정[12]
- 2014년 3월 10일 :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45.2 km 구간 착공[13]
- 2014년 6월 2일 : 2020년까지 밀양 ~ 울산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4]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종점을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로 명시[15]
- 2016년 3월 22일 : 2020년까지 밀양 분기점 선형 변경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6]
- 2016년 10월 14일: 창녕 분기점 ~ 밀양 분기점 구간 착공
- 2017년 6월 19일 : 2024년까지 함양 ~ 밀양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마산리 ~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99.3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7]
- 2017년 9월 12일 : 2020년까지 스마트톨링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배내골 나들목 영업소 설치 부지 삭제를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신외면 남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45.1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 2018년 2월 23일 : 북함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 착공
- 2020년 12월 11일 :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44.98 km 구간 개통[19]
- 2024년 12월 28일 : 밀양 분기점 ~ 창녕 분기점 구간 개통[20]
Remove ads
구성
요약
관점
- 차로수
- 전 구간 왕복 4차로
- 총 연장
- 144.49km
- 제한속도
-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 구간 과속 단속
터널
천황산터널과 같이 매우 긴 터널이 많아 울주 분기점에서 밀양 분기점까지 29km의 구간 단속이 걸려 있고, 대부분의 터널 내에서 차선 변경이 가능하다.
Remove ads
나들목 · 분기점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 미개통 구간의 교차로 명칭은 가칭으로 추후에 변경될 수도 있다.
- 북함양 분기점 (35호선 통영대전고속도로)
- 거창 분기점 (12호선 광주대구고속도로)
- 남거창 (지방도 제1034호선)
- 합천호 (지방도 제1026호선, 지방도 제1089호선)
- 합천 (국도 제33호선)
- 의령 (국도 제2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주요 통과지
지질
함양울산고속도로 합천~창녕 구간은 경상 분지의 퇴적암 지층 경상 누층군의 분포 지역으로 고속도로 건설 현장 사면에 셰일, 사암, 이암, 역암 등이 나타나며, 수직 절리가 발달해 지표 노출 시 육면체 형태로 쪼개지고 낙석 및 차별 풍화가 심하다. 또한 지층의 경사 방향은 100~150° 로 고속도로 진행 방향과 같아 터널을 경사 방향인 합천에서 창녕 방향으로 굴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되었다.[21]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