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발개삼거리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 교차로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1994년 '창원 ~ 선산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67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118km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했으며 이 노선과 전혀 관계없는 칠곡군 왜관읍 ~ 구미시 구간이 국도 제67호선으로 지정되었다. 구상된 기존 노선은 폐기되고 신설된 국도의 연장선 개념으로 통영까지 이어지는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
- 1996년 7월 19일 : 경상남도 통영시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 통영 ~ 칠곡선으로 지정[1]
- 2005년 3월 :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 2.35km 구간 수해복구 완료[2]
- 2007년 12월 18일 : 우곡교(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 ~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연리) 신설 개통[3]
- 2008년 11월 17일 : 함안군 여항면 ~ 창녕군 이방면 구간 중간 경유지 변경[4]
- 2009년 5월 26일 : 왜관 ~ 대구간 도로(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금남리 ~ 왜관리) 9.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9km 구간 폐지[5]
- 2009년 5월 26일 : 왜관 ~ 대구간 도로(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동곡리 동곡 교차로 ~ 묘리 적산 교차로) 3.3km 구간 확장 개통[6]
- 2015년 9월 16일 : 용암 ~ 선남간 도로(성주군 용암면 용정리 ~ 선남면 도성리) 7.3km 구간 확장 개통[7]
- 2016년 7월 13일 : 기존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 함안군 ~ 창녕군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구간을 노선 지정에서 해제하고 아래와 같이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 함안군 ~ 의령군 ~ 합천군 청덕면 ~ 창녕군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 대구광역시 달성군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구간으로 노선 변경. 이에 따라 총 연장이 214.0km에서 253.4km로 연장.[8]
2016년 7월 13일 노선 변경 내역
Remove ads
주요 경유지
노선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경상남도
- 기존 구간 (2016년 이전 노선)
- 창원시 상곡사거리 - 내서교 - 중리 교차로 - 호계사거리
- 함안군 예곡삼거리 - 야촌삼거리 - 갈티곡고개 - 구성교 - 구성사거리 - 구성1교 - 운서 교차로 - 무릉1터널 - 무릉2터널 - 무릉3터널 - 가연천교 - 가연교 - 검단1교 - 칠북 교차로 - 검단2교 - 덕남 교차로 - 덕남1교 - 덕남교 - 광려천교 - 이룡 교차로 - 낙동대교
- 창녕군 낙동대교 - 우강 교차로 - 우강교 - 덕곡천교 - 논리교 - 논리 교차로 - 도천교 - 영산천교 - 죽사교 - 죽사 교차로 - 죽사1교 - 죽사2교 - 영산교 - 계성 교차로 - 관곡교 - 계성삼거리 - 봉산삼거리 - 강리 - 장마삼거리 - 강리삼거리 - 화영교 - 화영삼거리 - 동정삼거리 - 광산교 - 거마삼거리 - 마등교 - 유어삼거리 - 유어면사무소 - 등대중학교(폐교) - 유어교 - 이남삼거리 - 이방면사무소 - 안리삼거리 - 창녕옥야중학교 - 창녕옥야고등학교 - 이방정류소(이방약국) - 곡교
청도군·창녕군·대구광역시
- 기존 구간 (2016년 이전 노선)
- 달성군 당산삼거리 - 우곡교
경상북도 (고령군·성주군)
- 기존 구간 (2016년 이전 노선)
- 고령군 우곡교 - 포리교 - 포리사거리 - 연리네거리 - 우곡중학교 - 열뫼삼거리 - 개진산업단지 - 직동초등학교(폐교) - 양전교 - 양전삼거리 - 금산재 - 회천교 - 헌문 교차로 - 고령 교차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칠곡군 이남 지역)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이북 지역)
Remove ads
도로명
- 경상남도
- 통영시 봉평동 발개삼거리 ~ 미수동 (통영대교 남단) : 발개로
- 통영시 미수동 (통영대교 남단) ~ 도천동 통영대교 교차로 : 미수로
- 통영시 도천동 통영대교 교차로 ~ 당동 교차로 : 여황로
- 통영시 도천동 당동 교차로 ~ 명정동 명정 교차로 : 통영터널로
- 통영시 명정동 명정 교차로 ~ 무전동 해변공원 : 평인일주로
- 통영시 무전동 해변공원 ~ 광도면 (원문지하차도) : 원문로
- 통영시 광도면 (원문지하차도) ~ 노산삼거리 : 남해안대로
- 통영시 광도면 노산삼거리 ~ 고성군 거류면 당동삼거리 : 안정로
- 고성군 거류면 당동삼거리 ~ 봉곡삼거리 : 거류로
- 고성군 거류면 봉곡삼거리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동진교 서단) : 조선특구로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동진교 서단) ~ 암아 교차로 : 회진로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암아 교차로 ~ 진목 교차로 : 삼진의거대로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진목 교차로 ~ 진북면 진동 교차로 : 남해안대로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진동 교차로 ~ 함안군 여항면 : 진북산업로
-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감천리 ~ 상곡사거리 : 경남대로
-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사거리 ~ 함안군 가야읍 함주교 남단 : 함마대로
- 함안군 가야읍 함주교 남단 ~ 법수면 악양삼거리 : 함안대로
- 함안군 법수면 악양삼거리 ~ (석무동) : 법수로
- 함안군 법수면 (석무동) ~ 의령군 정곡면 중교사거리 : 법정로
- 의령군 정곡면 중교사거리 ~ 합천군 청덕면 적포삼거리 : 의합대로
- 합천군 청덕면 적포삼거리 ~ 창녕군 창녕읍 오리정사거리 : 우포1대로
- 창녕군 창녕읍 오리정사거리 ~ 송현사거리 : 명덕로
- 창녕군 창녕읍 송현사거리 ~ 고암면 고암사거리 : 창밀로
- 창녕군 고암면 고암사거리 ~ 창녕군 성산면 버티재 : 고암성산대로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 고령군 성산면 성산대교 ~ 대가야읍 고령 교차로 : 동고령로
- 고령군 대가야읍 고령 교차로 ~ 운수면 월산 교차로 : 가야로
- 고령군 운수면 월산 교차로 ~ 성주군 선남면 광영 교차로 : 운용로
- 성주군 선남면 광영 교차로 ~ 성주대교 : 성주로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