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해구형 지진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래 목록은 현재까지 발생한 해구형 지진의 목록이다. 해구형 지진이란 판의 수렴 경계, 특히 섭입대에서 발생하는 규모가 매우 큰 지진을 의미한다. 아래에 나열한 해구형 지진은 지진 규모가 최소 M8.0으로 밝혀진 지진만 나열한다.

목록
11세기 이전
자세한 정보 날짜, 시각‡ ...
날짜 | 시각‡ | 진앙 | 사망자수 | 규모 | 영향/참조 | 문서 |
---|---|---|---|---|---|---|
기원전 60년경 | 세인트빈센트곶 (현 포르투갈) | 8.5 | 쓰나미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포르투갈의 지진 목록 중 가장 오래 전에 발생했다고 기록된 지진이다.[1] | |||
365년 7월 21일 | 그리스 크레테섬 | 미상 | 8.6 | 이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로 키레네와 알렉산드리아가 피해를 입었다. 크레테섬에서는 최대 9 m에 달하는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기록상 최대 진도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XI로 추정된다. | 365년 크레테 지진 | |
684년 11월 29일 | 일본 난카이 해곡 | 8.4 | 일본서기에 기록된 역사상 가장 오래된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이다.[2] | 하쿠호 지진 | ||
869년 7월 13일 | 일본 산리쿠 해역 | 1,000명 이상 | 8.4–9.0 |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으며, 이 지진으로 도호쿠 지방 대부분의 해안가 마을이 파괴되었다. | 조간 지진 | |
887년 8월 26일 | 일본 난카이 해곡 | 미상 | 8.6 | 오사카만에서 거대한 쓰나미를 관측했으며 여러 산사태도 발생했다. | 닌나 지진 | |
1096년 12월 11일 | 일본 난카이 해곡 | 미상 | 8.4 | 거대한 쓰나미를 관측했다. | 에이초 지진 | |
1099년 2월 22일 | 일본 난카이 해곡 | 8.4 | 지진 발생 기록의 문제점으로 실제 존재하지 않았던 지진이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 고와 지진 | ||
닫기
11세기-18세기
자세한 정보 날짜, 시각‡ ...
날짜 | 시각‡ | 진앙 | 사망자수 | 규모 | 영향/참조 | 문서 |
---|---|---|---|---|---|---|
1303년 8월 8일 | "새벽녘" | 그리스 크레테섬 | 4,000명 이상 | 8.0 | 최대 진도 IX를 관측했다. 시리아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쓰나미를 관측했다. 또한 지진의 흔들림으로 카이로에서도 여러 건물이 무너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 1303년 크레테 지진 |
1361년 7월 26일 | 일본 난카이 해곡 | 8.5 | 쇼헤이 지진 | |||
1420년 8월 31일 | 칠레 해구 북부 (현 칠레 칼데라 인근 해역) | 8.5–9.0 | 1420년 칼데라 지진 | |||
1498년 9월 20일 | 08:00 | 일본 난카이 해곡 | 26,000명 | 8.6 |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다. | 메이오 지진 |
1505년 6월 6일 | 네팔 및 인도 경계 지역 | 8.2–8.9[3] | 네팔 인구의 최소 30%가 사망했다. 또한 북인도와 네팔 지역에서 큰 피해가 발생했다. | 1505년 로무스탕 지진 | ||
1575년 12월 16일 | 18:30 | 칠레 발디비아 | 1,500명 | 8.5 | 최대 진도 X를 관측했다. | 1575년 발디비아 지진 |
1582년 1월 22일 | 16:30 | 페루 아레키파 | "다수" | 8.4 | 최대진도 X를 기록했다. 진앙 인근에서 여러 건물이 붕괴되는 피해가 있었다. | |
1584년 3월 17일 | 페루 리마 인근 | 8.4 | 최대진도 VII를 기록했다. 리마에서 여러 피해가 발생했다. | |||
1585년 6월 10-11일 | 18:30 | 알래스카 알류샨 섭입대 | 미상 | 9.25 | 이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로 하와이 원주민과 일본에서 사망자 피해가 기록되었다. | 1585년 알류샨 열도 지진 |
1586년 7월 10일 | 19:00 | 페루 리마 인근 | 22명 | 8.5 | 최대진도 X를 관측했다. 페루 해안선 약 1,000 km 해역이 쓰나미 피해를 입었다. 리마에서도 여러 쓰나미 피해가 보고되었다. 이 지진은 위의 알류샨 열도에서 발생한 지진과 혼동되어 일부 목록에서는 다르게 적힌 경우도 있다. | 1586년 리마-카야오 지진 |
1600년 2월 28일 | 20:00 | 페루 오마테 | 8.1 | |||
1604년 11월 24일 | 18:30 | 칠레 아리카 해역 | 174명 | 8.5–9.4 | 1604년 아리카 지진 | |
1605년 2월 3일 | 20:00 | 일본 난카이 해곡(추정) | "수천명" | 8.0 | 일본 해안에 거대한 쓰나미 피해를 느꼈으나, 지진의 흔들림을 느꼈다는 기록은 거의 없어 난카이 해곡 지진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 일어난 지진이라는 논쟁이 있다. | 게이초 지진 |
1609년 10월 20일 | 01:00 | 페루 해역 | 8.6 | |||
1611년 12월 2일 | 일본 산리쿠 해역 | 5,000명 | 8.1 | 게이초 산리쿠 해역 지진 | ||
1619년 2월 14일 | 16:30 | 페루 트루히요 해역 | 350명 | 8.6 | ||
1629년 8월 1일 | 네덜란드령 동인도 반다해(현 인도네시아 | 미상 | 8.2–8.8 |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다. | 1629년 반다해 지진 | |
1647년 5월 14일 | 02:30 | 칠레 산티아고 해역 | 1,000명 | 8.5 | 1647년 산티아고 지진 | |
1657년 3월 15일 | 20:00 | 칠레 콘셉시온 | 40명 | 8.0 |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으며 콘셉시온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 1657년 콘셉시온 지진 |
1687년 10월 20일 | 10:30 | 페루 리마 | 5,000명 | 8.7 | 페루에서 최대 8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며, 일본에서도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 1687년 페루 지진 |
1690년 4월 16일 | 카리브해 리워드 제도 | 8.0 | 최대진도 IX이다. | |||
1700년 1월 27일 | 05:00 | 미국-캐나다 경계 캐스케이디아 섭입대 | 9.0–9.2 | 일본과 북아메리카 태평양 서부에 쓰나미가 발생했다. | 1700년 캐스케이디아 지진 | |
1703년 12월 30일 | 17:00 | 일본 보소반도 해역 | 5,233명 | 8.0 | 최대진도 IX를 관측했다. | 겐로쿠 지진 |
1707년 10월 28일 | 14:00 | 일본 난카이 해곡 | 5,000명 | 8.7–9.3 | 일본 해역에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 호에이 지진 |
1714년 5월 4일 | 부탄 주요 히말라야 스러스트 | 미상 | 7.5-8.5 | 최대진도 IX를 관측했다. 부탄 곳곳에서 산사태 피해가 발생했다.[4] | 1714년 부탄 지진 | |
1730년 5월 4일 | 칠레 발파라이소 해역 | 미상 | 9.1–9.3 | 칠레에서 최대 16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 | 1730년 발파라이소 지진 | |
1737년 11월 4일 | 08:00 | 러시아 제국 캄차카반도 | 9.0–9.3 | 1737년 캄차카 지진 | ||
1737년 12월 14일 | 칠레 발디비아 | 8.0 | 1737년 발디비아 지진 | |||
1746년 10월 29일 | 03:30 | 페루 리마 | 1,141명 | 8.6 | 1746 리마-카야오 지진 | |
1751년 5월 25일 | 01:00 | 칠레 콘셉시온 | 8.5 | 1751년 콘셉시온 지진 | ||
1755년 11월 1일 | 09:30 | 포르투갈 리스본 | 50,000명 | 8.7–9.0 |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해 리스본이 파괴되었다. | 1755년 리스본 지진 |
1761년 3월 30일 | 23:01 | 미상 | 8.0–8.5 |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다. | 1761년 리스본 지진 | |
1780년 1월 22일 | 인도네시아 자바섬 | 8.5[5] | 약간의 피해가 발생했다. | |||
1787년 4월 3일 | 23:01 | 누에바에스파냐 오아하카주 (현 멕시코) | 11 | 8.6 | 멕시코 서부에 쓰나미가 발생했다. | 1787년 누에바에스파냐 지진 |
1788년 7, 8월 | 러시아 제국령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현 미국) | 미상 | 8.0 | 최대진도 VII를 감지했다. 또한 10-30 m에 달하는 높은 쓰나미가 발생했다. 당시 많은 러시아 원주민이 사망했다. 두 번째 지진으로 최대 91 m 높이에 달하는 쓰나미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6] | ||
1792년 8월 22일 | 러시아 제국 캄차카반도 | 미상 | 8.25 | [7] | ||
1797년 2월 10일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 300명 | 8.4 | [8] | 1797년 수마트라 지진 | |
닫기
19세기
자세한 정보 날짜, 시각‡ ...
날짜 | 시각‡ | 진앙 | 사망자수 | 규모 | 영향/참조 | 문서 |
---|---|---|---|---|---|---|
1819년 4월 4일 | 칠레 코피아포 | 미상 | 8.5 | 표면파 규모 8.0으로 측정되었다.[9] 코피아포가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쓰나미도 관측되었다. | 1819년 코피아포 지진 | |
1822년 11월 20일 | 칠레 발파라이소주 | 72-300+ | 8.5 | 표면파 규모 기준이다.[9] | 1822년 발파라이소 지진 | |
1833년 11월 25일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 다수 | 8.8–9.2 | 지진으로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다. | 1833년 수마트라 지진 | |
1835년 2월 20일 | 칠레 콘셉시온 | 50+ | 8.5 | 지진으로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다.[9] | 1835년 콘셉시온 지진 | |
1837년 11월 7일 | 칠레 발디비아 | 8.5 | 표면파 규모 기준이다.[9] | 1837년 발디비아 지진 | ||
1839년 1월 11일 | 아침 | 마르티니크 해역 | 390–4,000명 | 8.0 | 1839년 마르티니크 지진 | |
1841년 5월 17일 | 러시아 제국 캄차카반도 | 8.4 | 최대 6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 1841년 캄차카 지진 | ||
1843년 2월 8일 | 10:37 | 과들루프 해역 | 1,500–5,000명 | 8.5 | 1843년 과들루프 지진 | |
1845년 4월 7일 | 10:37 | 멕시코 오아하카주 및 게레로주 | 미상 | 8.0 | 수도 멕시코시티에서도 큰 진동이 느껴져 여러 피해가 발생했다.[10] | |
1852년 11월 25일 | 22:40 | 네덜란드령 동인도 반다 제도 해역 | 60+ | 8.4–8.8 | 최대 8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 또한 지진으로 최대진도 IX를 관측했다. | |
1854년 12월 23일 | 16:00 | 일본 난카이 해곡 | 5,000+ | 8.4 | 쓰나미로 일본 대부분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 | 안세이 도카이 지진 |
1854년 12월 24일 | 09:00 | 8.4 | 안세이 난카이 지진 | |||
1861년 2월 16일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 수천명 | 8.5 | 1861년 수마트라 지진 | ||
1865년 11월 17일 | 태평양 통가 해역 | 0 | 8.0 | 배 위에서도 지진을 느낄 정도로 강력했다. 통가에 최대 2 m 높이의 쓰나미가 덮쳤다.[11] | ||
1868년 8월 13일 | 페루 아리카 (현 칠레) | 25,000명 | 8.5-9.3 | 1868년 아리카 지진 | ||
1873년 | 파푸아뉴기니 | "일부" | 8.0 | 최대진도 IX를 느꼈으며 여러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소규모 쓰나미도 관측되었다. | ||
1875년 3월 28일 | 태평양 누벨칼레도니 해역 | 25+ | 8.1–8.2[12] | 최대 4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 ||
1877년 5월 9일 | 21:16 | 칠레 이키케 | 2,385명 | 8.9 | 이 지진으로 만들어진 쓰나미가 피지를 덮쳐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 1877년 이키케 지진 |
1882년 9월 7일 | 03:20 | 파나마 산블라스 제도 | 250명 | 8.3 | 최대 3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 1882년 파나마 지진 |
1889년 9월 6일 | 12:00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해 | 8.0 | 최대 4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 ||
1896년 6월 15일 | 10:33 | 일본 산리쿠 해역 | 27,122명 | 8.6 | 지진의 흔들림은 거의 느껴지지 않았지만 최대 36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 메이지 산리쿠 해역 지진 |
1899년 9월 10일 | 미국 알래스카주 야쿠트만 | 0 | 8.2 |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로 최대 14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 1899년 야쿠트만 지진 | |
닫기
20세기
자세한 정보 날짜, 시각‡ ...
날짜 | 시각‡ | 진앙 | 사망자수 | 규모 | 영향/참조 | 문서 |
---|---|---|---|---|---|---|
1902년 9월 22일 | 01:46 | 미국 괌 | 0 | 8.1 | 최대진도 IX의 진동을 감지했으나 쓰나미는 없었다. | |
1903년 2월 27일 | 01:46 | 인도네시아 자와섬 | 0 | 8.1 | ||
1906년 1월 31일 | 15:36 | 에콰도르-콜롬비아 국경 지역 | 500–1,000명 | 8.8 | [13] | 1906년 에콰도르-콜롬비아 지진 |
1906년 8월 17일 | 00:40 | 칠레 발파라이소 | 4,000명 | 8.2 | [14] | 1906년 발파라이소 지진 |
1906년 9월 14일 | 16:04 | 파푸아뉴기니 피니스테레 산맥 | "수백명" | 8.0 | 지진으로 최대진도 X를 감지했다.[15] 수많은 산사태가 발생했고 쓰나미도 관측되었다.[16] | |
1907년 1월 4일 | 12:20 | 인도네시아 니아스섬 | 2,188명 | 8.2 | 15 m가 넘는 거대한 쓰나미가 닥쳐 마을이 황폐화되었다.[17] | 1907년 수마트라 지진 |
1917년 6월 26일 | 05:49 | 태평양 사모아 | 2명 | 8.5 | 최대 12.2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18] | 1917년 사모아 지진 |
1918년 8월 15일 | 20:18 | 필리핀 민다나오섬 | 52명 | 8.3 | 최대 7.2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19] | 1918년 술라웨시해 지진 |
1922년 11월 10일 | 23:53 | 칠레 아타카마주 | ~500명 | 8.5 | 사망자 500명은 대부분 바예나르에 집중되었다.[20][21] | 1922년 바예나르 지진 |
1923년 2월 3일 | 04:01 | 러시아 캄차카반도 | 3명 | 8.4 | 지진으로 여러 쓰나미가 발생했다.[22] | 1923년 2월 캄차카 지진 |
1923년 4월 14일 | 02:31 | 러시아 캄차카반도 | 36명 | 8.2 | 최대 30 m에 달하는 쓰나미를 관측했다.[23] | 1923년 4월 캄차카 지진 |
1923년 9월 1일 | 11:58 | 일본 간토 지방 | 148,000명 | 8.1 | 최대 XI의 진도 흔들림이 느껴졌다. 최대 12 m 높이의 쓰나미가 닥쳤으며 화재가 합쳐져 수십만명의 피해가 발생했다.[24] | 간토 대지진 |
1924년 4월 14일 | 16:20 | 필리핀 민다나오 | 0 | 8.0 | 모멘트 규모이다.[25] | |
1932년 6월 3일 | 04:36 | 멕시코 할리스코주 | 400+ | 8.1 | 수 차례의 여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26] | 1932년 할리스코 지진 |
1934년 1월 15일 | 08:43 | 네팔-인도 국경 지역 | 12,000명 | 8.0 | 네팔과 인도 두 국가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넓은 지역에 토양액상화 현상이 일어났다.[27] | 1934년 네팔-비하르 지진 |
1940년 5월 24일 | 11:35 | 페루 리마 | 300명 | 8.2 | 대부분의 피해가 리마에 집중되었다.[28] | 1940년 리마 지진 |
1942년 5월 13일 | 21:13 | 에콰도르 마나비주 | 200+ | 8.3 | 최대진도 IX의 흔들림을 관측했다.[29] | 1942년 에콰도르 지진 |
1942년 8월 24일 | 17:40 | 페루 리마 | 30명 | 8.1 | 최대진도 IX의 흔들림을 관측했으며, 쓰나미도 관측되었다.[30] | 1942년 페루 지진 |
1943년 4월 6일 | 12:07 | 칠레 코킴보주 | 11명 | 8.1 | 진앙 인근인 오바예에 피해가 집중되었다.[31] | 1943년 오바예 지진 |
1944년 12월 7일 | 13:35 | 일본 난카이 해곡 | 3,538명 | 8.1 | 지진과 쓰나미로 피해가 발생했다.[32] | 쇼와 도난카이 지진 |
1945년 11월 28일 | 01:26 | 영국령 인도 제국 발루치스탄 (현 파키스탄) | 4,000명 | 8.0 | 해안지대에 최대 15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33] | 1945년 발루치스탄 지진 |
1946년 4월 1일 | 03:29 | 미국 알류샨 열도 | 173 | 8.6 | 지진으로 쓰나미를 관측했다.[34] |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
1946년 12월 21일 | 04:19 | 일본 난카이 해곡 | 1,362+ | 8.3 | 지진과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다.[35] | 쇼와 난카이 지진 |
1950년 8월 15일 | 19:39 | 인도-티베트 국경 지역 | 4,800명 | 8.6 | 최대진도 XI를 관측했다.[36] 대륙 내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다. |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 |
1952년 3월 4일 | 10:22 | 일본 홋카이도 해역 | 33명 | 8.1 | 최대 6.5 m 높이의 쓰나미를 관측했다.[37] |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 |
1952년 11월 5일 | 03:58 | 러시아 캄차카반도 | 2,500명 | 9.0 | 역사상 5번째로 규모가 큰 지진이다. 최대 18 m 높이의 쓰나미를 관측했다.[38] |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
1957년 3월 9일 | 04:22 | 미국 앤드리애노프 제도 | 0 | 8.6 | 최대 23 m 높이의 쓰나미를 관측했다.[39] | 1957년 앤드리애노프 제도 지진 |
1960년 5월 21일 | 06:02 | 칠레 콘셉시온 | 125명 | 8.1 | 5월 22일 발생한 지진의 전진이다.[40] | 1960년 콘셉시온 지진 |
1960년 5월 22일 | 15:11 | 칠레 발디비아 | 1,000–7,000년 | 9.5 |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다.[41] | 1960년 발디비아 지진 |
1963년 10월 13일 | 15:17 | 소련 쿠릴 열도 (현 러시아 | 0 | 8.5 | 최대 높이 4.5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42] | 1963년 쿠릴 열도 지진 |
1964년 3월 27일 | 17:36 | 미국 프린스 윌리엄 해협 | 131명 | 9.2 | 북아메리카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다.[43] | 1964년 알래스카 지진 |
1965년 1월 24일 | 09:11 |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 | 71명 | 8.2 | 주변 건물 3천채가 붕괴되는 피해가 있었다.[44] | 1965년 스람해 지진 |
1965년 2월 3일 | 19:01 | 미국 래트 제도 | 0 | 8.7 | 최대 높이 10.7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45] | 1965년 래트 제도 지진 |
1966년 10월 17일 | 16:42 | 페루 우아초 | 100명 | 8.1 | [46] | 1966년 페루 지진 |
1968년 5월 16일 | 09:49 | 일본 홋카이도 해역 | 47–57명 | 8.2 | 최대 높이 6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47] | 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 |
1969년 8월 11일 | 21:27 | 소련 쿠릴 열도 (현 러시아 | 0 | 8.2 | [48] | |
1974년 10월 3일 | 09:21 | 페루 리마 | 78명 | 8.1 | [18] | 1974년 리마 지진 |
1976년 1월 14일 | 16:47 | 뉴질랜드 케르머덱 제도 | 0 | 8.0 | [49] | |
1976년 8월 16일 | 00:11 | 필리핀 민다나오섬 | 5,000–7,000명 | 8.0 | 최대 높이 4-5 m의 쓰나미가 발생했다.[18] | 1976년 모로만 지진 |
1977년 12월 12일 | 02:59 | 에콰도르-콜롬비아 국경 지역 | 300–600 | 8.2 | 최대 높이 6 m의 쓰나미가 발생했다.[50] | 1979년 투마코 지진 |
1985년 3월 3일 | 19:47 | 칠레 발파라이소 | 177명 | 8.0 | [51] | 1985년 알가로보 지진 |
1985년 9월 19일 | 07:17 | 멕시코 미초아칸주 | 9,500–45,000명 | 8.0 | 수도 멕시코시티에 큰 피해가 있었다.[52] | 1985년 멕시코시티 지진 |
1995년 7월 30일 | 14:59 | 칠레 안토파가스타 | 2명 | 8.0 | 최대 높이 3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53] | 1995년 안토파가스타 지진 |
1995년 10월 9일 | 10:35 | 멕시코 할리스코주 | 49–58명 | 8.0 | 최대 높이 5.1 m의 쓰나미가 발생했다.[54] | 1995년 콜리마-할리스코 지진 |
1996년 2월 17일 | 14:59 | 인도네시아 서뉴기니 | 166명 | 8.1 | 최대 높이 7.7 m의 쓰나미가 발생했다.[55] | 1996년 비악 지진 |
닫기
21세기
자세한 정보 날짜, 시각‡ ...
날짜 | 시각‡ | 진앙 | 사망자수 | 규모 | 영향/참조 | 문서 |
---|---|---|---|---|---|---|
2001년 6월 23일 | 15:33 | 페루 아레키파주 | 74명 | 8.4 | 최대 높이 7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56] | 2001년 페루 남부 지진 |
2003년 9월 26일 | 04:50 | 일본 홋카이도 해역 | 0 | 8.2 | 최대 높이 4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57] 2명이 실종되고 84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 |
2004년 12월 26일 | 07:58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 227,898명 | 9.1 | 거대해일이 발생해 인도양 전역에 쓰나미 피해가 발생했다.[58] |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
2005년 3월 28일 | 23:09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 915–1,314명 | 8.6 | [59] |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 |
2006년 11월 15일 | 08:14 | 러시아 쿠릴 열도 | 0 | 8.3 | [60] | 2006년 쿠릴 열도 해역 지진 |
2007년 4월 2일 | 07:39 | 솔로몬 제도 | 52명 | 8.1 | 최대 높이 12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61] | 2007년 솔로몬 제도 지진 |
2007년 8월 15일 | 18:40 | 페루 이카주 | 519명 | 8.0 | 최대 5 m 높이의 쓰나미를 관측했다.[62] | 2007년 페루 지진 |
2007년 9월 12일 | 18:10 | 인도네시아 븡쿨루주 | 23명 | 8.4 | 2차례 지진으로 최대 높이 5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63] | 2007년 9월 수마트라 지진 |
2009년 9월 29일 | 06:48 | 태평양 사모아-서사모아 사이 해역 | 192명 | 8.1 | 최대 높이 14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64] 아웃터라이즈 정단층과 메가스러스트 역단층에서 발발한 이중지진이다.[65] | 2009년 사모아 지진 |
2010년 2월 27일 | 03:34 | 칠레 마울레주 | 525명 | 8.8 | [66] | 2010년 칠레 지진 |
2011년 3월 11일 | 14:46 | 일본 도호쿠 지방 | 16,000–20,000명 | 9.1 | 지진과 함께 발생한 거대한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다.[67]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2013년 2월 6일 | 12:12 | 솔로몬 제도 테모투주 | 9명 | 8.0 | 최대 11 m 높이의 쓰나미를 관측했다.[68] | 2013년 솔로몬 제도 지진 |
2014년 4월 1일 | 20:46 | 칠레 이키케 | 6명 | 8.2 | 최대 높이 4.6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69] | 2014년 이키케 지진 |
2015년 9월 16일 | 19:54 | 칠레 코킴보주 | 16명 | 8.3 | [70] 칠레에서 6명이 실종되었다. | 2015년 이야펠 지진 |
2021년 3월 4일 | 08:28 | 뉴질랜드 케르머덱 제도 | 0 | 8.1 | 최대 높이 2.4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71] | 2021년 케르머덱 제도 지진 |
2021년 7월 29일 | 22:15 | 미국 알래스카주 | 0 | 8.2 | [72] | 2021년 치그니크 지진 |
2021년 8월 12일 | 16:35 |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0 | 8.1 | 해일지진으로 부르는 지진을 포함해 여러 하위 단층파괴 사건이 합쳐진 복합지진에 해당한다.[73][74] | 2021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
닫기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