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해밀턴 행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수학에서 해밀턴 행렬(Hamiltonian matrix,해밀토니언 행렬) 은 JA 가 대칭인 2n-by-2n 행렬 A이며, J는 반대칭행렬(skew-symmetric matrix)이다.
In 은 n -by- n 항등행렬이다. 즉, ( JA )T = JA 여기서 ( □ )T는 전치를 나타낼 때만 A는 해밀턴 행렬이다.[1]
Remove ads
복소 행렬 확장
해밀턴 행렬(해밀토니안 행렬)의 정의는 두 가지 절차의 방법에서 복소 행렬로 확장 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성은 위와 같이 ( JA )T = JA 인 경우 행렬 A 가 해밀토니안이라고 말할 수 있다.[1][2] 또 다른 가능성은 조건 ( JA )* = JA 을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 □ )*는 공액 전치를 나타낸다.[3]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