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해바라기 (수학)

서로 다른 두 원소의 교집합이 항상 일정한 집합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해바라기 (수학)
Remove ads

집합론조합론에서 해바라기(영어: sunflower)는 서로 다른 두 원소의 교집합이 항상 일정한 집합족이다.

Thumb
벤 다이어그램에서, 만약 이라면 이는 해바라기를 이룬다. 그러나 일 필요는 없다.
Remove ads

정의

부분 순서 집합 만남 반격자라고 하자 (즉, 임의의 두 원소에 대하여 그 하한 이 존재한다고 하자). 속의 부분 집합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하향 해바라기(영어: downward sunflower)라고 한다.[1]

이 경우, (核, 영어: kernel, core)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만약 이음 반격자일 경우, 상향 해바라기(영어: upward sunflower)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이다.

집합 속의 해바라기멱집합 속의 하향 해바라기를 뜻한다.[2]:49, Definition II.1.4[3]:89, §6.1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며 이라면, 이다.
Remove ads

성질

요약
관점

크기 의 집합 위의 해바라기 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2종 스털링 수이다.

증명:

해바라기에는 항상 그 핵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므로, 총 해바라기의 수는 핵을 원소로 갖지 않는 해바라기들의 수의 2배이다. 따라서, 핵을 원소로 갖지 않는 해바라기의 수를 세자.

에 새 원소 를 추가한 집합 의, 조각으로의 분할 를 생각하자. 그 가짓수는 제2종 스털링 수 이다.

또한, 에서 임의의 원소 를 고르자.

이제, 이 데이터 에 다음과 같은, 핵을 원소로 갖지 않는 해바라기 를 대응시킬 수 있다.

  • 만약 라면, . 그 핵은 이다.
  • 만약 이고 라면, . 그 핵은 이며, 는 해바라기의 "바깥"이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의 집합은 핵을 원소로 갖지 않는 해바라기들의 집합과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집합의 크기는 물론

이다.

해바라기 정리

임의의 두 기수 에 대하여, 를 다음 조건이 성립하는 최소의 기수 라고 하자. (이러한 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로 놓자.)

  • 임의의 집합 및 그 속의 집합족 에 대하여, 만약 모든 에 대하여 이며, 라면, 임의의 기수 에 대하여 속에는 크기 의 해바라기 가 존재한다.

다음과 같은 성질이 알려져 있다.

  • , 라면, 이다.[4][3]:89–90, §6.1
  • 이다.[2]:49, Theorem II.1.5
  • 만약 이며, 정칙 기수이며, 임의의 에 대하여 일 경우, 이다.[2]:49, Theorem II.1.6
  • 자명하게, 이다. (이는 집합족은 스스로보다 더 큰 해바라기를 포함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자명하게, 임의의 기수 에 대하여 일 경우, 이다. (이는 크기가 2 이하인 집합족은 항상 해바라기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다.
  • 자명하게, 만약 이라면 이다. 마찬가지로, 만약 이라면 이다.

이와 같은, 에 대한 상계·하계들을 해바라기 정리(영어: sunflower theorem)라고 한다.

Remove ads

크기 2 이하의 집합족은 항상 (자명하게) 해바라기이다. 짝마다 서로소 집합족(즉, 서로 다른 두 원소가 항상 서로소인 집합족)은 (핵이 공집합인) 해바라기이다.

역사

Thumb
"해바라기"라는 용어는 식물 해바라기꽃차례에 비유한 것이다.

1980년에 에르되시 팔리하르트 라도가 유한 해바라기에 대한 해바라기 정리를 증명하였다.[4] 에르되시와 라도는 해바라기를 "델타 계"(Δ界, 영어: Δ-system)라고 불렀다.

"해바라기"(영어: sunflower)라는 용어는 적어도 1981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5] "해바라기"라는 용어는 식물 해바라기꽃차례에 비유한 것이다. 이는 (유한) 해바라기의 벤 다이어그램을 대칭적으로 그리면, 이는 마치 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해바라기꽃차례는 중심의 갈색의 작은 관꽃들과, 이를 둘러싸는 노랗고 길쭉한 혀꽃들로 구성되어 있다. (흔히, 후자를 "꽃잎"으로 일컫는다.) 이 비유에서, 수학적 해바라기의 핵은 관꽃들의 집합에 해당하며, 수학적 해바라기의 각 원소는 모든 관꽃들의 집합과 하나의 혀꽃으로 구성된다.

Remove ads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