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해안군 (조선 중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해안군(海安君, 1511년 7월 19일(음력 6월 15일) ~ 1573년 9월 9일(음력 8월 4일))은 조선의 왕족이다. 중종의 차남이자 서차남으로 생모는 숙의 홍씨이다.

간략 정보 해안군海安君, 휘 ...

, 이름은 기[1] 또는 희[2](㟓)이며, 는 불붕(不崩), 본관전주이다[3].

Remove ads

생애

요약
관점

가계

1511년(중종 6년) 음력 6월 15일 조선의 제11대 중종과 후궁 숙의 홍씨의 아들로 태어났다[4]. 인종, 명종, 덕흥대원군(선조의 생부) 등의 이복형이다.

생모 숙의 홍씨는 남양 홍씨 출신으로, 중종에게 가장 많은 총애를 입은 후궁이라고 한다[3].

왕자 시절

8살 때인 1518년(중종 13년) 음력 12월 28일 정식으로 해안군(海安君)에 책봉되었다[5]. 1522년(중종 17년) 중종은 자신의 자녀들의 집을 수리하게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사간원이 그 역사가 사치스럽다는 상소를 올려 역사 규모를 대폭 축소하였다. 이때 해안군의 집에 수축할 예정이었던 연못도 수축이 중지되었다[6].

1533년(중종 28년)에는 왕세자(훗날의 인종)의 양제와 해안군의 부인을 간택하라는 전교가 동시에 내려졌다. 그러나 해안군의 부인에 대한 간택 단자만 내고 세자의 양제 간택 단자를 내지 않은 이가 많아, 양제 간택을 먼저 한 후에 해안군의 부인을 간택하게 되었다[7]. 당시 23살이던 해안군은 이미 부인 류씨와 결혼하여 딸을 낳았었으나, 류씨가 1년 전인 1532년(중종 27년) 요절하는 바람에 다시 부인을 간택하게 된 것이다[3].

해안군은 1540년(중종 35년) 종부시제조를 지냈다. 이 해 선원전에 모셔둔 정종왕비 정안왕후, 고려 공민왕초상화 일부가 섞여 함께 종부시 제조로 있던 이성군과 함께 그 진품을 가려달라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8]. 이후 1549년(명종 4년) 오위도총부 도총관이 되었으며, 사옹원문소전의 도제조도 지냈다[9].

한편 해안군은 1542년(중종 37년) 음력 1월 8일 3차례나 연고를 핑계하였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으며[10], 1546년(명종 1년) 음력 2월 19일 사헌부에 의해 다시 탄핵되었으나 이때는 명종의 배려로 아무 일 없이 넘어갔다[11]. 1561년(명종 16년) 음력 4월 3일에는 해안군의 사위 김규가 강경 시험 병과에 합격하였는데, 이 사실을 두고 《명종실록》을 기록한 사관은 공정하지 못한 선발이라며 비판하였다[12].

사망과 평가

1573년(선조 6년) 음력 8월 4일 향년 63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해안군이 사망하자 당시 대신들은 선조에게 정조시[주 1] 하기를 청하였다[13]. 1788년(정조 12년) 정조로부터 정희(靖僖)의 시호를 받았다[14]. 묘소는 양주 신혈리에 마련되었다[4].

해안군은 항상 조용하고 책을 좋아하였으며, 술을 마시지 않았다고 한다. 또 용모도 단정하고 아름다웠다고 한다. 이러한 해안군의 성격을 두고 중종은 "나의 아들 중에 가장 침착하고 삼가 들떠 있지 아니함에 해안군 같은 아이가 없다."라고 칭찬하였다. 또 중종은 자신의 잠저를 해안군에게 하사하기도 하였는데, 해안군은 항상 검소하여 사람들이 그 집 앞을 지나가도 그곳이 왕자의 집인줄 몰랐다고 한다. 또 병으로 말을 잘 하지 못하게 됐을 때에도 항상 의관을 갖추고 있었으며, 명종은 해안군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어의를 보내기도 하였다[3][4].

Remove ads

가족 관계[15]

요약
관점

해안군은 2명의 정부인을 두었다. 첫 번째 부인은 영의정을 지낸 진주 류씨 류순정의 손녀로, 아버지는 류홍이다. 류씨는 자녀를 낳지 못 하고 1532년(중종 32년) 27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두 번째 부인은 우찬성에 추증된 거창 신씨 신홍유의 딸이며, 딸을 하나 낳았다. 신씨는 1567년(선조 즉위년) 음력 9월 사망하였으며, 해안군의 묘소에 다른 봉분의 형태로 합장되어 있다. 해안군은 측실을 두었으며, 이 측실들이 6남 4녀를 낳았다[주 2][3][4].

  • 부왕 : 제11대 중종(中宗, 1488 ~ 1544)
  • 생모 : 숙의 홍씨(淑儀 洪氏)
    • 정부인 : 류홍(柳泓)의 딸 진산군부인 진주 류씨(晉山郡夫人 晉州 柳氏, 1506 ~ 1532)
    • 계부인 : 신홍유(愼弘猷)의 딸 익창군부인 거창 신씨(益昌郡夫人 居昌 愼氏, 1514 ~ 1567)
      • 장녀 : 이예영(李禮英, 1535 ~ ?)
      • 사위 : 희천 김씨 김규(金戣, 1531 ~ ?)
        • 양외손자 : 김준두(金遵阧, 1570 ~ ?)
    •  : 의금(義今) - 노비 출신
      • 장남(서자) : 서릉군(西陵君) 이섬(李銛, 1537 ~ 1601[16])
      • 며느리 : 한개(韓漑)의 딸 군부인 청주 한씨
        • 손녀 : 이가시(李加屎, 1551 ~ ?)
      • 며느리(측실) : 훈융비(訓戎非) - 양민 출신
        • 서손자 : 연성도정(蓮城都正) 이몽호(李夢虎, 1582 ~ ?)
      • 며느리(측실) : 종개(終介) - 노비 출신
        • 서손자 : 연은군(蓮恩君) 이응호(李應虎, 1585 ~ ??
        • 서손자 : 연창군(蓮昌君) 이차호(李次虎, 1586 ~ ?)
        • 서손자 : 연산부령(蓮山副令) 이용호(李龍虎, 1593 ~ ?)
        • 서손자 : 연계부령(蓮溪副令) 이종호(李終虎, 1595 ~ ?)
      • 며느리(측실) : 춘반(春般) - 양민 출신
        • 서손녀 : 이이가(李二加, 1585 ~ ?)
      • 며느리(측실) : 천향(天香) - 양민 출신
        • 서손녀 : 이가야지(李加也之, 1587 ~ ?)
      • 며느리(측실) : 노옥(老玉) - 노비 출신
        • 서손녀 : 이선옥(李善玉, 1588 ~ ?)
        • 서손녀 : 이정이(李貞伊)
    • 측실 : 태성(台成) - 노비 출신
      • 차녀(서녀) : 이계환(李繼環, 1548 ~ ?)
      • 사위 : 평산 신씨 신택(申澤)
        • 외손녀 : 신대개(申大介, 1564 ~ ?)
        • 외손녀 : 광산 이씨 이인로(李仁老)의 처
        • 외손녀 : 신예순(申禮順, 1574 ~ ?)
      • 3녀(서녀) : 이영환(李英環, 1549 ~ ?)
      • 사위 : 영천 신씨(永川 申氏) 신상덕(申尙德)
        • 외손자 : 신복함(申福諴, 1566 ~ ?)
        • 외손녀 : 신의순(申義順, 1574 ~ ?)
        • 외손녀 : 신정순(申貞順, 1578 ~ ?)
        • 외손녀 : 신난순(申蘭順, 1582 ~ ?)
        • 외손자 : 신복심(申福諶, 1588 ~ ?)
    • 측실 : 복지(福只) - 노비 출신
      • 차남(서자) : 서흥군(西興君) 이학정(李鶴貞, 1549 ~ 1608)
      • 며느리 : 심광언(沈光彦)의 서녀 군부인 청송 심씨
        • 손녀 : 이효순(李孝順, 1570 ~ ?)
        • 손녀 : 이제순(李悌順, 1572 ~ ?)
        • 손녀 : 이종순(李終順, 1576 ~ ?)
        • 손녀 : 이말순(李末順, 1580 ~ ?)
        • 손자 : 위성령(渭城令) 이효민(李孝閔, 1584 ~ ?)
    • 측실 : 가지(加知) - 양민 출신
      • 3남(서자) : 오천군(烏川君) 이굉(李鍧, 1550 ~ ?)
      • 며느리 : 남치근(南致勤)의 서녀 군부인 의령 남씨
        • 손자 : 의성도정(宜城都正) 이효충(李孝忠, 1568 ~ ?)
        • 손녀 : 이효옥(李孝玉, 1571 ~ ?)
      • 며느리(측실) : 묵금(墨今) - 양민 출신
        • 서손자 : 안성군(安城君) 이인충(李仁忠, 1578 ~ ?)
        • 서손자 : 춘성부수(春城副守) 이의충(李義忠, 1582 ~ ?)
      • 며느리(측실) : 향복(香福) - 양민 출신
        • 서손녀 : 이의제(李義悌, 1584 ~ ?)
        • 서손자 : 강성부수(江城副守) 이제충(李悌忠, 1586 ~ ?)
        • 서손녀 : 이효제(李孝悌, 1589 ~ ?)
        • 서손녀 : 이여제(李女悌, 1595 ~ ?)
        • 서손자 : 해성군(海城君) 이원충(李元忠, 1597 ~ ?)
        • 서손자 : 영성군(泳城君) 이형충(李亨忠, 1601 ~ ??
        • 서손자 : 낭성부수(浪城副守) 이이충(李利忠, 1604 ~ ?)
      • 4남(서자) : 오산군(烏山君) 이현(李鉉, 1551 ~ 1601[17])
      • 며느리 : 김우서(金禹瑞)의 서녀 군부인 우봉 김씨
        • 손녀 : 이효녀(李孝女, 1568 ~ ?)
        • 손자 : 철성부수(鐵城副守) 이효원(李孝元, 1570 ~ ?)
        • 손녀 : 이효계(李孝繼, 1574 ~ ?)
        • 손녀 : 이효의(李孝義, 1581 ~ ?)
        • 손녀 : 이효진(李孝珍, 1583 ~ ?)
        • 손자 : 원성부수(原城副守) 이제원(李悌元, 1584 ~ ?)
        • 손자 : 선성도정(先城都正) 이신원(李信元, 1588 ~ ?)
      • 며느리(측실) : 인성(麟性) - 양민 출신
        • 서손녀 : 이효생(李孝生, 1576 ~ ?)
      • 며느리(측실) : 춘개(春介) - 양민 출신
        • 서손자 : 연성령(延城令) 이충원(李忠元, 1594 ~ ?)
      • 5녀(서녀) : 이기환(李麒環, 1563 ~ ?)
      • 사위 : 능성 구씨 구호(具灝)
        • 외손자 : 구민(具旻, 1609 ~ ?)
      • 6남(서자) : 오강군(烏江君) 이건(李鍵, 1560 ~ 1648) - 이복 백부 복성군의 양자로 출계
    • 측실 : 보금(寶今) - 노비 출신
      • 5남(서자) : 서천군(西川君) 이금(李錦, 1554 ~ ?)
      • 며느리 : 홍조(洪造)의 딸 군부인 남양 홍씨
        • 손자 : 당성군(唐城君) 이효일(李孝一, 1568 ~ ?)
        • 손녀 : 이득록(李得祿, 1573 ~ ?)
        • 손녀 : 이용옥(李龍玉, 1576 ~ ?)
        • 손녀 : 이견옥(李堅玉, 1585 ~ ?)
        • 손자 : 익성령(益城令) 이효신(李孝信, 1587 ~ ?)
      • 며느리(측실) : 예향(禮香) - 양민 출신
        • 서손자 : 이효명(李孝明, 1564 ~ ?)
        • 서손자 : 화원수(花原守) 이효성(李孝誠)[18]
        • 서손자 : 이효영(李孝永, 1568 ~ ?)
        • 서손자 : 이효종(李孝宗, 1570 ~ ?)
    • 측실 : 복가(福加) - 노비 출신
      • 4녀(서녀) : 이여환(李女環, 1558 ~ ?)
      • 사위 : 희천 김씨 김준계(金遵階)
        • 외손자 : 김락(金洛, 1578 ~ ?)
        • 외손녀 : 김현옥(金賢玉, 1583 ~ ?)
        • 외손자 : 김형(金泂, 1588 ~ ?)[19]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