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로인(heroin)은 모르핀을 아세틸화하여 만든 진정제의 하나로, 사용이 금지된 마약의 일종이며 중독성이 매우 강해 한번 투여하면 거의 끊지 못한다.
간략 정보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식별 정보 ...
Heroin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5α,6α)-7,8-didehydro-4,5-epoxy-17-methylmorphinan-3,6-diol diacetate |
식별 정보 |
CAS 등록번호 |
561-27-3 |
ATC 코드 |
N07BC06 |
PubChem |
5462328 |
드러그뱅크 |
DB01452 |
ChemSpider |
4575379 |
화학적 성질 |
화학식 |
C21H23NO5 |
분자량 |
369.41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유의어 |
Diacetylmorphine, acetomorphine, (dual) acetylated morphine, morphine diacetate |
약동학 정보 |
생체적합성 |
<35% (by mouth), 44–61% (inhaled)[1] |
단백질 결합 |
0% (morphine metabolite 35%)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liver |
생물학적 반감기 |
6-8 hours[2] |
배출 |
90% kidney as glucuronides, rest biliary |
처방 주의사항 |
임부투여안전성 |
? |
법적 상태 |
- AU: S9 (금지 물질)
- CA: Schedule I
- DE: Anlage I, II and III
- NZ: Class A
- UK: Class A
- US: Schedule I
- UN: Narcotic Schedules I and IV
|
중독 경향 |
Physical: Very high Psychological: Very high |
투여 방법 |
Intravenous, inhalation, transmucosal, by mouth, intranasal, rectal,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thecal |
닫기
증상은 극단적인 쾌락과 황홀감을 수시간~수십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느끼며 정신적 한계까지 각성상태가 되며 신체적 능력도 다소 상승한다.
하지만 그 부작용으로, 도파민 수용체가 상당수 파괴되어 더 이상 헤로인을 재투여 받는것 이외의 모든 일들에 행복감을 느낄수 없게 된다는 점과, 수용체 재회복까지 매우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헤로인의 중독성은 더욱 높아진다.
디아세틸모르핀(diacetylmorphine), 디아모르핀(diamorphine)으로도 불린다. 헤로인이란 이름은 제약회사 바이엘에서 '모든 약 중의 영웅'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