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호렙산

신명기가 모세가 십계명을 받은 장소로 전하는 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호렙산
Remove ads

호렙산(히브리어: הַר חֹרֵב 하르 호레브; 70인역: 코이네 그리스어: Χωρήβ 코레브; 라틴어: Horeb)은 구약성경신명기에 따르면 모세가 야훼에게서 십계명을 받은 이다. 출애굽기열왕기에서는[1] "엘로힘의 산"(הַר הָאֱלֹהִים)으로 묘사된다. 야훼의 산이라고도 불린다.[2]

Thumb
렘브란트의 1659년 작품, 십계명이 적힌 돌판을 든 모세

다른 성경 구절에서는 이 사건들이 시내산에서 일어났다고 묘사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시내산과 호렙산이 같은 장소의 다른 이름이라고 여기지만,[3][4][5] 이들이 다른 장소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2]

장 칼뱅은 시내산과 호렙산이 같은 산이며, 산의 동쪽을 시내산, 서쪽을 호렙산이라고 불렀다고 보았다.[6]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는 하나의 산이었으나 "단지 두 개의 봉우리가 있었고, 그 봉우리들이 이 다른 이름들을 가졌다"고 제안했다.[7]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과 이집트 시내산에 인접해 있는 버드나무 봉우리 주변에서는 이 봉우리가 성경의 호렙산으로 간주된다.[8]

Remove ads

어원

"호렙"은 마른 곳[9] 또는 빛나는/열을 의미한다고 생각되며, 이는 태양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시내산은 , 즉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신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2][10] 이에 의하면 시내산과 호렙산은 각각 달과 태양의 산이 된다.[2]

성경적 용례

요약
관점
Thumb
호렙에서 바위를 치는 모세, 귀스타브 도레의 "거룩한 성경" 삽화, 1865년

호렙이라는 이름은 출애굽기 3장 1절에 모세불타는 떨기나무 이야기에 처음 등장한다.[11] 출애굽기 3장 5절에 따르면, 산의 땅은 거룩한 것으로 여겨졌고, 모세는 하느님에게서 신발을 벗으라는 명령을 받았다.

출애굽기 17장 6절은 이스라엘 민족이 물 없이 광야에 있을 때의 사건을 묘사한다. 모세가 "호렙의 반석 위"에 있을 때, 그는 바위를 쳐서 바위에서 마실 물을 얻는다.[12] 7절은 이어서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이 다투었음과 그들이 여호와를 시험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우리 중에 계신가 안 계신가 하였음으로 그 곳 이름을 맛사 또는 므리바라 불렀더라"고 말한다.[13]

출애굽기에서 이 이름이 사용된 유일한 다른 곳은 33장인데, 호렙은 이스라엘 민족이 장신구를 벗은 장소이다.[14] 33장 1절~6절은 호렙이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을 향해 출애굽 여정을 다시 시작한 장소임을 시사한다.

신명기에서는 호렙이 이스라엘 민족이 광야를 방황하는 이야기에 여러 번 언급된다.[15] 모세는 신명기 1장 6절에서 하느님께서 호렙에서 이스라엘 민족에게 "너희가 이 산에 거주한 지 오래 되었으니, 몸을 돌이켜 떠나라"고 말한 것을 회상하며,[16] 호렙이 그들이 가나안을 향해 떠난 장소임을 확인한다.

호렙산은 또한 신명기에서 모세에게 십계명이 전달된 이야기를 언급할 때에도 나온다.[17] 시편 106편과 말라기 4:4에도 유사한 언급이 있다.[18] 신명기 5장 2절("주 우리 하느님께서 호렙에서 우리와 언약을 맺으셨다")은 모세가 십계명을 가지고 내려왔을 때 모세가 말하고 있던 현 세대가 호렙산에 있었다는 인상을 주지만, "그 당시 현장에 있었던 개인들은 모세, 여호수아, 갈렙을 제외하고는 모두 죽었다. [그] 민족은 살아남았고, 언약이 맺어진 것은 유기적 전체로서의 민족과 함께였다. 따라서 모세가 이 시점에 언급했던 이들과 맺어졌다고 적절하게 말할 수 있었는데, 그들이 그 민족을 구성했기 때문이다."[19]

Thumb
호렙산에서 엘리야에게 나타나신 하느님, 1860년 율리우스 슈노어 폰 카롤스펠트의 목판화

열왕기상 8:9과 역대하 5:10은 법궤에 호렙에서 모세에게 전달된 돌판만 들어 있었다고 명시한다.[20] 열왕기상 19:8-18에서 엘리야는 "하느님의 산 호렙"을 방문하고,[21] 그곳에서 하느님을 만난다.[22]

문서가설은 시내라는 이름은 토라에서 유다의 야훼문서제사장 문서에서만 사용되는 반면, 호렙은 이스라엘의 엘로힘 문서신명기 저자에서만 사용되었다고 분석한다.[10][23][24]

신약성경에는 호렙에 대한 언급이 없다. 그대신 갈라디아서 4:24–25에는 시내산이 다음과 같이 언급되었다.

"한 언약은 시내 산으로부터 와서 종살이할 자녀를 낳는데 곧 하갈이라. 이 하갈은 아라비아에 있는 시내 산으로서 지금 있는 예루살렘과 같으니 그가 그 자녀들과 더불어 종노릇하고 있다."

시내산/호렙은 또한 히브리서 12:18–21에서도 암시된다.[25]

Remove ads

위치

Thumb
프랜시스 프리스가 호렙으로 비정한 시나이반도의 산

호렙의 위치는 정확하지 않다. 유대인기독교인 학자들은 성경 시대부터 그 위치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해 왔다.[2] 열왕기상 19:1–21에는 엘리야가 호렙으로 여행하는 것이 묘사되어 있는데(그는 베르셰바에서 40일 동안 걸어갔다),[26] 이는 그 책이 쓰일 당시 그 위치가 잘 알려져 있었음을 암시하지만, 그 이후 시대를 배경으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이 구절은 사람이 머물 만큼 큰 동굴을 언급한다. 또한 신명기 초반에 모세가 모압 평야에서 마지막 연설을 할 때 호렙까지 11일 거리(약 500 km)라고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시내산이 아니라는 것을 이미 암시한다. 만약 호렙이 시내산과 같은 산이었다면, 베르셰바는 모압 평야의 위치보다 산에 더 가까워야 한다. 이는 깊은 남부 시나이보다 북부 지파들에게 더 익숙한 북쪽이나 동쪽 어딘가의 위치를 강력히 시사한다.

기독교 전통은 호렙산이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에 인접한 버드나무 봉우리(Willow Peak)라고 간주한다.[8]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