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정의에서, 항상


로 놓는다.
함자의 차원
두 아벨 범주
,
사이의 가법 함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가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일 때,
의 코호몰로지 차원(cohomology次元, 영어: cohomological dimension)은 다음과 같다.[1]:394, Definition 10.5.10

여기서
은
차 오른쪽 유도 함자를 뜻한다.
만약
이라면
이다.
만약
가 사영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일 때,
의 호몰로지 차원(homology次元,영어: homological dimension)은 다음과 같다.[1]:394, Definition 10.5.10

여기서
은
차 왼쪽 유도 함자를 뜻한다.
만약
이라면
이다.
아벨 범주의 대상(가군)의 차원
Ext 함자 및 Tor 함자는 유도 함자의 특수한 경우이다. 이들을 사용하여, 아벨 범주의 대상에 대하여 여러 차원들을 정의할 수 있다.
사영 차원
아벨 범주
의 대상
의 사영 차원(射影次元, 영어: projective dimension)

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은 모든 대상
에 대한 상한이며,
는 Ext 함자이다.
만약
가 사영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라면,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도 있다.
은
의 사영 분해(영어: projective resolution)
의 길이
들의 하한이다.

특히, 영 대상
의 사영 차원은
이다.
단사 차원
아벨 범주
의 대상
의 단사 차원(單射次元, 영어: injective dimension)

은 다음과 같다.

만약
가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라면,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도 있다.
은
의 단사 분해(영어: injective resolution)
의 길이
들의 하한이다.

특히, 영 대상
의 단사 차원은
이다.
아벨 범주(환)의 차원
아벨 범주
의 대역 차원(大域次元, 영어: global dimension)
는 다음과 같다.

만약
가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라면, 이는 단사 차원의 상한과 같다.

만약
가 사영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라면, 이는 사영 차원의 상한과 같다.

환
위의 왼쪽 가군들의 아벨 범주
는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이며 사영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이다. 또한, 환
위의 왼쪽 유한 생성 가군들의 아벨 범주
는 사영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이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범주이다.) 이 두 아벨 범주의 대역 차원은 일치하며, 이를
의 왼쪽 대역 차원(영어: left global dimension)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유한 생성) 오른쪽 가군들의 아벨 범주의 차원을
의 오른쪽 대역 차원(영어: right global dimension이라고 한다.

가환환의 경우 물론 왼쪽 대역 차원과 오른쪽 대역 차원이 일치한다. (비가환) (양쪽) 뇌터 환의 경우 왼쪽 대역 차원과 오른쪽 대역 차원이 서로 일치한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비가환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
환
의 평탄 대역 차원(平坦大域次元, 영어: flat global dimension) 또는 약한 대역 차원(弱-大域次元, 영어: weak global dimension)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텐서곱 함자이다.
이 개념들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