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호안덴

일본 제국과 그 식민지의 학교에 천황과 황후의 초상과 교육칙어를 넣어두던 구조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호안덴
Remove ads

호안덴(봉안전, 일본어: 奉安殿)은 일본 제국과 그 식민지의 학교에 천황과 황후의 초상과 교육칙어(教育ニ関スル勅語)를 넣어두던 구조물이다.

Thumb
광주 전남여고의 호안덴(봉안전), 1938년

기원과 설치

천황의 초상을 넣기 시작한 시기는 교육에 관한 칙어가 제정된 후인 1910년대이며, 호안덴을 짓기 시작한 것도 그 시기로 추측된다(각 초등학교에 호안덴을 짓는 것은 1935년경에 활발해졌다). 일본 제국과 그 식민지들의 각급 학교에 숙직실이 설립된 계기 중 하나는 호안덴을 지키기 위해서이다. 패망 이전까지 일본 제국의 4대 공휴일에 각 학교의 교직원 및 학생 전원은 호안덴 앞에 도열하여 초상에 대한 큰 경례를 올리고, 교육칙어를 봉독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또 등하교 때 혹은 단순히 앞을 지날 때도 교직원 및 학생 모두가 복장을 바로 한 뒤 경례를 올리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본래는 강당과 교무실, 교장실 내부에 호안덴이 설치되었으나, 화재 등으로 건물이 무너질 경우 천황의 어진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서 점차 독립된 야외 건물로 된 호안덴이 많아졌다. 그리스 풍의 석조 구조물, 철근 콘크리트, 벽돌 등 다양한 양식이 존재한다. 1933년(쇼와 8년)에는 호안덴 건축 디자인을 위한 공모전도 열렸다. 한반도에서도 1930년대 이후 각급 학교에 호안덴이 설치되었으며, 각 가정에서는 어진영을 모신 가미다나를 두고 아침마다 참배하도록 했다.[1]

1945년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하고 같은 해 12월 15일, 연합군 최고사령부신도지령에 의해 호안덴의 폐지가 결정되었다. 천황의 초상화들은 소각되었으며, 구조물은 대부분 해체되었다. 전후 초등학교 부지에서 분리되어 해체를 피한 상당수 호안덴이 오늘까지 일본 및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등 구 일본 제국 식민지들에 존재하고 있다.[2][3]

Remove ads

현대의 흔적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