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호칭 기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호칭기도(라틴어: Litania)는 일종의 탄원기도로서, 사제나 부제, 성가대 등이 선창하고 신자들이 응답하는 형태의 기도이다.
정의
호칭기도(라틴어: Litania)는 일종의 탄원기도[1]로서, 사제나 부제, 성가대 등이 선창하고 신자들이 응답하는 형태의 기도이다. 크게 두 가지의 형태가 있다.
역사
- 구약성서에 호칭기도의 전형(시편 118, 136; 다니 3,51-90)이 드러난다.
- 4세기 동방교회에서 시작되어 5세기 말 로마에 전해졌다.
- 교황 젤라시오 1세(St.Gelasius, 492~496 재위)가 호칭기도를 미사경문에 삽입했다. 행렬이나 특별한 의식 때 사용하였으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에는 성가대에 의해 노래로 바쳐지기 시작했다.
특징 및 구조
- 로마 전례 안에서 모든 행렬, 부활성야 때의 세례예식, 서품식과 서원식, 임종경 등에 사용된다. 여러 종류가 있지만 공통의 구조를 지닌다.
- 삼위일체 하느님께 기도를 드림,
- 특정한 주제에 맞는 탄원기도를 드림,
- 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에 죄를 없애시는 주님(Agnus Dei)를 3번 반복,
- 탄원을 요약하는 짧은 기도로 끝남.
- 응답형태로는 2가지가 있다.
- 하느님께 드리는 탄원 : 저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저희를 구하소서
- 성모나 성인께 드리는 탄원 :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종류
보편교회의 권위로 인가된 호칭기도는 총 6개이다.
- 예수의 지극히 거룩한 이름 호칭기도(Litaniae Sanctissimi Iesu)[4]
- 예수 성심 호칭기도(Litaniae de Sacratissimo Corde Iesu)[5]
- 성혈호칭기도(Litaniae pretiosissimi Sanguinis Domini Nostri Iesu Christi)[6]
- 성인호칭기도(Litaniae Sanctorm)[7]
- 성모호칭기도(Litaniae Lauretanae)[8]
- 성 요셉 호칭기도(Litaniae Sancti Ioseph)[9]
대사[10]관련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호칭기도는 정식으로 대사를 얻게 되어 매번 바쳐질 때마다 전대사가 허락되었다. 이 밖에도 대사는 얻지 못하나 교황에 의해 인가되어 국가별로 사용되는 100여개의 호칭기도가 있다.
다른 전례에서의 사용
- 암브로시오 전례 : 사순시기동안 매 주일에 대영광송 대신 호칭기도를 드린다.
- 동방교회 전례 : 많은 호칭기도가 사용되는데 특히 성찬전례에 사용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 성공회 : 성인 호칭기도가 없으나, 다른 호칭기도가 아침기도의 끝기도로 사용되고 있다.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