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만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홍만조(洪萬朝, 1645~1725)는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종지(宗之), 호는 만퇴(晩退). 대사헌 홍이상(洪履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남원부사 홍탁(洪𩆸)이고, 아버지는 현감 홍주천(洪柱天)이며, 어머니는 증 영의정 김광찬(金光燦)의 차녀 김계희(金繼喜)이다.

간략 정보 홍만조 洪萬朝, 본명 ...
홍만조
洪萬朝
본명홍만조
로마자 표기Hong Man-jo
출생1645년
사망1725년
국적조선
학력성균관
경력검열, 지평, 정언, 부수찬, 부응교, 충청도관찰사, 승지, 전라도관찰사, 도승지, 강화유수, 사은부사, 강원도관찰사, 함경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경기관찰사, 대사간, 형조참판, 한성부판윤, 좌참찬, 형조판서, 우참찬, 판의금부사, 판돈녕부사
직업문신
닫기

1669년(현종 10) 성균관 유생이 되고, 1678년(숙종 4)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을 거쳐 지평·정언을 지냈다. 그 뒤 1688년 부수찬, 이듬해 부응교를 거쳐 1690년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가 다음해 돌아와 승지·전라도관찰사·도승지가 되었다.

1693년 강화유수가 되고, 1696년 사은부사(謝恩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다시 전라도·강원도·함경도·경상도 및 경기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대사간·형조참판·한성부판윤·좌참찬·형조판서를 거쳐, 1718년 우참찬을 지낸 뒤 이듬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1721년(경종 1) 판의금부사·좌참찬을 역임하고, 이듬해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청렴하고 도량이 넓었다 하며, 묘소는 선산인 아산시 배방읍 세교리에 위치한다.[1]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