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화구 (천체)
평범한 유성보다 훨씬 밝은 유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화구(火球) 또는 불꽃별똥은 평범한 유성보다 훨씬 밝은 유성을 말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천구성(天狗星)이라고 불렀으며, 서양에서는 '파이어볼(fireball)'이라고 한다. 국제천문연맹(IAU)의 정의에 따르면, 화구는 지상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행성들보다 더 밝은 유성(별똥)을 말한다. 즉, 안시등급으로 -4등급보다 밝은 유성을 말한다. 유성을 연구하는 아마추어 천문가들의 모임인 국제유성기구(IMO)(아마추어)는 국제천문연맹보다 더 과학적으로 정의하였는데, 화구는 천정에서 보면 안시등급이 -3등급보다 밝은 것이라고 하였다. 이 정의는 관측자와 유성 사이의 거리를 교정한다. 이것은 지평선 근처의 하늘이 천정보다 더 밝고, 또한 유성에서 나온 빛이 대기를 통과해 오는 거리가 더 멀다는 점을 보정하여 생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도가 5도인 유성이 -1등급으로 관측되더라도 실제로 그 유성이 발생한 곳의 바로 아래에 있는 사람은 -6등급으로 보게 될 것이므로 화구로 취급한다는 것이다.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에는 화구에 관한 기록이 많이 나온다.

Remove ads
소리별똥
소리별똥은 말그대로 소리가 나는 별똥이다. 영어로는 bolide라고 하는데, 국제천문연맹에서는 이 용어에 대해서 따로 정의하지는 않고 불꽃별똥과 같은 범주로 취급한다. 한국의 역사 기록에는 소리별똥 기록이 여럿 있으며, 예를 들면 태조3년 9월25일자 조선왕조실록에 "천구가 땅에 떨어졌는데 소리가 우레같았다."라고 하였다.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