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황금종려상
프랑스 칸 영화제의 최고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황금종려상(黃金棕櫚賞, 프랑스어: Palme d'Or 팔름도르[*])은 칸 영화제에서 경쟁 부문 초청작 가운데 최고 작품의 감독에게 주어지는 영화제 최고상이다. 1955년 조직위원회가 상을 만들었다. 1939년부터 1954년까지 최고상의 이름은 국제영화제 그랑프리(Grand Prix d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였으며[1], 1964년부터 1974년까지는 영화제 그랑프리(Grand Prix du Festival)가 최고상이었다[1].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1939년 제1회 칸 국제영화제가 열렸을 당시 영화제 최고상은 '국제영화제 최고상' (Grand Prix d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이라는 이름이었다.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1954년 영화제에서 최고상의 명칭을 바꾸고, 수여되는 조형물도 현대미술 작가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새단장하기로 하였다. 당시 영화제 감독위원회 측은 여러 공예가에게 '종려나무 잎'을 소재로 한 제작안을 의뢰하였다. 여기서 종려나무가 선정된 이유는 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로 칸 시의 문장에도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2] 최초의 황금종려상은 보석세공사 뤼시엔 라종 (Lucienne Lazon)이 디자인한 것으로 종려나무잎 줄기 아래 끝쪽 사면이 하트 모양을 이루는 형태였으며, 그 밑에는 작가 세바스티앙이 제작한 테라코타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었다.[3]
1955년 제8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처음으로 황금종려상 수상식이 열렸다. 최초의 영광을 안게 된 주인공은 <마티>의 델버트 맨 감독이었다. 이후로 수년간 황금종려식이 수상되다 1964년부터 1974년 영화제까지 잠시 '그랑프리' (Grand Prix)라는 이름으로 되돌아오기도 하였다.[2] 1975년 제28회 영화제부터 다시 부활한 황금종려상은 해마다 최고수상작의 감독에게 수여되며 명실상부한 칸 영화제의 상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2]
1975년 부활한 이래 황금종려잎 자체의 디자인은 계속해서 바뀌어 왔다. 원래는 둥그런 형태로 종려잎을 감싸던 받침대가 198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조금씩 바뀌어 1984년에는 완전한 피라미드형 받침대로 바뀌었다. 1992년에는 티에리 드 부르크네 (Thierry de Bourqueney)의 디자인으로 황금종려잎의 형상이 조금 더 심플해졌고 받침대도 손수 깎은 크리스탈 소재로 바뀌었다. 1997년에는 스위스 보석브랜드 쇼파르의 카롤린 쇠펠 (Caroline Scheufele)이 기존의 디자인을 약간 수정하였는데, 24캐럿짜리 황금을 밀랍 틀에 담아 제작한 종려잎을 크리스탈 조각 하나가 쿠션처럼 받치고 있는 형태가 되었다. 또 이를 푸른 모로코가죽으로 제작한 상자에 담아 전달하게 되었다.[4] 2017년 칸 영화제에서는 영화제 70주년을 기념한 새로운 디자인이 다시금 공개되었다.[2] 이때의 특이사항은 RJC (Responsible Jewellery Council)에서 올바른 기업윤리를 지키는 것으로 확인된 업체에서 다이아몬드를 수급받아 제작했다는 점이었다.[2]
Remove ads
수상작
국제영화제 그랑프리 (1939년-1954년)
황금종려상 (1955년-1963년)
국제영화제 그랑프리 (1964년-1974년)
황금종려상 (1975년-현재)
* 는 첫 수상을 나타낸다
§ 는 만장일치 수상을 나타낸다
Remove ads
명예 황금종려상
1997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회는 영화제 개최 50주년을 기념하여 사상 처음으로 '종려상 중의 종려상' (Palme des Palmes)을 수여하기로 하였다. 수상자는 스웨덴의 영화감독 잉마르 베리만에게 돌아갔다.[5]
2002년 영화제부터 영화계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냈으나, 황금종려상을 수상하지 못한 감독 및 배우에게 비경쟁상인 명예 황금종려상이 비정기적으로 시상하기 시작하였다.[6]
2회 이상 수상자
알프 시에베리 (1946, 1951)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1974, 1979)
빌레 아우구스트 (1988, 1992)
에미르 쿠스투리차 (1985, 1995)
이마무라 쇼헤이 (1983, 1997)
뤼크 다르덴, 장 피에르 다르덴 (1999, 2005)
미하엘 하네케 (2009, 2012)
켄 로치 (2006, 2016)
루벤 외스틀룬드 (2017, 2022)
같이 보기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최고상: 황금곰상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의 최고상: 황금사자상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