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흉내지빠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흉내지빠귀(Mockingbird) 또는 입내새는 흉내지빠귀과(Mimidae)에 속하는 신세계 참새목 새들 중 일부를 가리킨다.[1] 다른 새들의 노래뿐만 아니라, 곤충이나 양서류의 소리를 흉내내는 이들 일부 종들의 습성때문에 잘 알려져 있으며,[2] 종종 확연하고 빨리 천이를 일으킨다. 3개의 속에 약 17종이 있다. 일종의 단계통군을 형성하는 것 같지는 않다: 흉내지빠귀속(Mimus)과 네소지빠귀속(Nesomimus)은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들과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현존하는 새들은 가슴줄무늬지빠귀사촌과 같은 지빠귀들로 보인다. 멜라노티스속(Melanotis)은 좀 다르다. 이 속은 일종의 지빠귀과의 아주 오랜 기초 계통군을 대표하는 것으로 추측된다.[3][4]
Remove ads
다윈과 흉내지빠귀

비글호가 1835년 9월부터 10월까지 갈라파고스 제도를 방문했을 때, 박물학자 찰스 다윈은 입내새 Mimus thenca가 섬과 섬마다 다르며, 남아메리카 대륙의 입내새와 형태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주목했다. 항해에서 돌아 온 지 대략 1년 후 그가 기록을 남길 때, 이 종과 함께 갈라파고스 거북에 대해 거론하여, 종들의 영구불변성이라는 교의를 부정할 수도 있는 추측을 했다. 이는 종의 영구불변성을 의심하는 기록으로 남겨진 최초의 표현이었으며, 그가 종의 변형, 더 나아가 진화를 확신하도록 이끌었다.[5] 그렇지만 이는 비글호가 영국에 돌아 온 후이며, 그는 더 잘 알려진 다윈의 파리새를 발견하였다.
하위 속
- 멜라노티스속 (Melanotis)
- 흉내지빠귀속 (Mimus)
- 네소흉내지빠귀속 (Nesomimus)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6]
딱새소목 |
| ||||||||||||||||||||||||||||||||||||||||||||||||||||||||||||||||||||||||||||||||||||||||||||||||||||||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