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48209) 2000 CR105

소행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148209) 2000 CR105
Remove ads

(148209) 2000 CR105해왕성 바깥 천체의 일종으로, 2015년 기준 태양계 천체 중 지구에서 열 번째로 먼 천체로 분리 천체로 간주되고 있다.[7][8] 궤도는 매우 찌그러져 있고, 태양과의 평균 거리는 222 AU로 3305년마다 태양을 한 바퀴 돈다.[6]

간략 정보 발견, 발견자 ...
Remove ads

설명

요약
관점

마이클 E. 브라운의 웹사이트에서는 이 천체의 반사율을 0.04로 추정하여 지름을 328 km로 추산하였고, 왜행성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3][9] 이 천체의 색이 해왕성 바깥 천체의 일반적인 색인 파란색을 띄기 때문에, 반사율이 추정치보다 더 낮을 가능성이 높다.[3] 하지만 만약 반사율이 추정치보다 높다면, 지름이 추정치보다 반 이상 작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148209) 2000 CR10590377 세드나산란원반 천체로, 태양에 가장 가까이 가도 해왕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천체들이 어떻게 지금과 같은 궤도에 들어갔는지는 수수께끼이며, 추측만 무성하다. 궤도의 형성에 대한 이론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 태양계 근처를 지나가던 항성에 의해 기존 궤도를 이탈하였을 것이다.[10][11]
  • 현재 발견되지 않은 가상의 행성에 의해 기존 궤도를 이탈하였을 것이다.[12]
  • 현재 발견되지 않은 태양의 쌍성에 의해 기존 궤도를 이탈하였을 것이다.[12]
  • 태양계 형성 초기에 다른 행성계에서 포획되었을 것이다.[10] 케년과 브롬리에 따르면, 태양이 자신과 비슷한 별과 형성 초기에 만났을 가능성은 15%이고, 행성 교환이 일어났을 가능성은 1%이다. (148209) 2000 CR105은 포획된 천체일 가능성이 세드나보다 2~3배 높다.[10]

(148209) 2000 CR105는 궤도 긴반지름이 150 AU가 넘는 천체 중 최초로 발견된 천체로, 근일점 편각이 340 ± 55°에 달한다.[13] 현재까지 긴반지름이 100 AU가 넘고 근일점이 42 AU를 넘는 천체는 11개밖에 발견되지 않았다.[14] (148209) 2000 CR105제9행성의 영향을 받으리라고 예상된다.[15]

자세한 정보 천체명, 태양으로부터 거리 (AU)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