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E. 브라운의 웹사이트에서는 이 천체의 반사율을 0.04로 추정하여 지름을 328 km로 추산하였고, 왜행성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3][9] 이 천체의 색이 해왕성 바깥 천체의 일반적인 색인 파란색을 띄기 때문에, 반사율이 추정치보다 더 낮을 가능성이 높다.[3] 하지만 만약 반사율이 추정치보다 높다면, 지름이 추정치보다 반 이상 작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148209) 2000 CR105와 90377 세드나는 산란원반 천체로, 태양에 가장 가까이 가도 해왕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천체들이 어떻게 지금과 같은 궤도에 들어갔는지는 수수께끼이며, 추측만 무성하다. 궤도의 형성에 대한 이론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 태양계 근처를 지나가던 항성에 의해 기존 궤도를 이탈하였을 것이다.[10][11]
- 현재 발견되지 않은 가상의 행성에 의해 기존 궤도를 이탈하였을 것이다.[12]
- 현재 발견되지 않은 태양의 쌍성에 의해 기존 궤도를 이탈하였을 것이다.[12]
- 태양계 형성 초기에 다른 행성계에서 포획되었을 것이다.[10] 케년과 브롬리에 따르면, 태양이 자신과 비슷한 별과 형성 초기에 만났을 가능성은 15%이고, 행성 교환이 일어났을 가능성은 1%이다. (148209) 2000 CR105은 포획된 천체일 가능성이 세드나보다 2~3배 높다.[10]
(148209) 2000 CR105는 궤도 긴반지름이 150 AU가 넘는 천체 중 최초로 발견된 천체로, 근일점 편각이 340 ± 55°에 달한다.[13] 현재까지 긴반지름이 100 AU가 넘고 근일점이 42 AU를 넘는 천체는 11개밖에 발견되지 않았다.[14] (148209) 2000 CR105는 제9행성의 영향을 받으리라고 예상된다.[15]
자세한 정보 천체명, 태양으로부터 거리 (AU) ...
2018년 4월 11일 기준으로 태양계에서 가장 먼 천체들[16]
천체명 |
태양으로부터 거리 (AU) |
겉보기등급 |
절대등급 (H) |
현재 |
근일점 |
원일점 |
V774104 |
103 | 50 | 150 | 24 | 4 |
에리스 |
96.14 | 37.8 | 97.6 | 18.7 | −1.1 |
2014 UZ224 |
90.93 | 38.0 | 179.8 | 23.2 | 3.5 |
2015 TH367 |
89.17 | 28.6 | 139.7 | 26.2 | 6.6 |
공공 |
87.96 | 33.0 | 100.8 | 21.7 | 1.8 |
세드나 |
85.14 | 76.0 | 939 | 21.0 | 1.5 |
2013 FS28 |
84.83 | 34.6 | 347.6 | 24.5 | 4.9 |
2014 FC69 |
84.72 | 40.3 | 106.9 | 24.1 | 4.6 |
2006 QH181 |
83.85 | 37.8 | 96.7 | 23.6 | 4.3 |
2012 VP113 |
83.65 | 80.5 | 438 | 23.4 | 4.0 |
렐라아쿠호누아[17] |
83.00 | 65.0 | 2000 | 24.64 | 5.3 |
2015 UH87 |
82.87 | 34.7 | 90.1 | 25.3 | 6.0 |
2013 FY27 |
80.07 | 36.1 | 81.8 | 22.1 | 3.0 |
2015 TJ367 |
78.66 | 33.5 | 127.5 | 25.7 | 6.7 |
2017 FO161 |
78.62 | 33.1 | 93.9 | 24.2 | 5.2 |
2010 GB174 |
71.89 | 48.7 | 693 | 25.1 | 6.5 |
2016 TS97 |
71.39 | 36.2 | 71.6 | 24.8 | 6.1 |
2014 FJ72 |
71.17 | 38.7 | 152.2 | 24.2 | 5.6 |
2012 FH84 |
68.75 | 45.8 | 80.6 | 25.7 | 7.3 |
2015 GR50 |
68.38 | 35.6 | 78.6 | 25.1 | 6.7 |
2015 GP50 |
67.95 | 40.3 | 70.3 | 24.8 | 6.5 |
2013 FQ28 |
67.76 | 48.7 | 80.6 | 24.4 | 6.0 |
2014 UD228 |
66.14 | 36.4 | 73.0 | 24.4 | 6.1 |
2016 CD289 |
65.83 | 36.8 | 75.3 | 25.6 | 7.3 |
2013 UJ15 |
64.99 | 36.3 | 69.2 | 25.2 | 7.0 |
2015 KV167 |
64.47 | 38.2 | 65.3 | 25.4 | 7.2 |
2014 FL72 |
64.44 | 38.2 | 170.4 | 25.0 | 6.8 |
2015 RL258 |
64.22 | 34.7 | 67.8 | 24.7 | 6.5 |
2014 FD70 |
64.17 | 38.6 | 69.3 | 25.0 | 6.9 |
2011 GM89 |
63.28 | 37.2 | 68.8 | 25.6 | 7.1 |
2015 RR245 |
63.27 | 33.7 | 129.2 | 22.1 | 3.9 |
2014 SU349 |
63.09 | 30.8 | 109.8 | 25.0 | 7.0 |
2013 AT183 |
62.60 | 36.0 | 88.1 | 22.0 | 4.7 |
2015 VG157 |
62.34 | 39.0 | 68.5 | 25.5 | 7.5 |
2014 FE72 |
62.31 | 36.3 | 4274.0 | 24.1 | 6.1 |
2017 DO121 |
62.23 | 26.7 | 185.6 | 25.6 | 7.6 |
2014 SV349 |
61.71 | 34.2 | 89.0 | 23.0 | 5.0 |
(148209) 2000 CR105 |
61.59 | 44.3 | 412 | 23.9 | 6.3 |
2015 RX245 |
61.03 | 45.5 | 768.9 | 24.2 | 6.2 |
2008 ST291 |
60.74 | 42.4 | 154.5 | 22.2 | 4.2 |
2014 FM72 |
60.40 | 34.4 | 76.6 | 24.1 | 6.2 |
2017 DP121 |
60.34 | 40.5 | 60.4 | 25.1 | 7.2 |
2014 FF72 |
60.18 | 37.1 | 63.3 | 24.8 | 6.9 |
2003 QX113 |
60.11 | 36.7 | 62.1 | 22.5 | 4.7 |
2015 TG367 |
59.70 | 37.6 | 66.3 | 25.1 | 7.3 |
2015 RK258 |
59.69 | 35.8 | 111.8 | 24.9 | 7.1 |
2015 KH162 |
59.63 | 41.5 | 82.8 | 21.6 | 3.9 |
2013 JQ64 |
59.22 | 22.6 | 76.0 | 24.4 | 6.2 |
2014 FL70 |
59.03 | 33.1 | 77.0 | 24.0 | 6.5 |
발견된 태양계 천체 중 현재 해왕성보다 두 배 이상 먼 천체들을 나열했음.[16]
보기 • 토론 • 편집 • 역사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