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68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68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68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1968년 하계 올림픽의 세부 종목 중 하나로 이 대회에 5개 대륙 16개국의 남자부 국가대표팀이 참가했다. 본선 참가 16개국은 4개국씩 4개조로 나뉘어 각 조의 국가들끼리 리그전 형식으로 맞대결을 펼친 뒤 조별리그 이후 각 조의 상위 2개국이 토너먼트전에 올라가 8강전부터 1968년 10월 26일에 아스테카에서 열린 금메달 결정전까지 단판 승부를 펼쳤으며 이 대회에서는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축구 메달 획득에 성공했다.[1]
Remove ads
예선
경기장
메달리스트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
![]() |
![]() |
바스티 이스트반 두너이 언털 두너이 러요시 노스코 에르뇌 노바크 데쇠 퍼터르 커로이 퍼제커시 라실로 유하시 이스트반 케글로비흐 라실로 코치시 러요시 멘첼 이반 너지 라실로 판치치 미클로시 사르쾨지 이스트반 쉬치 러요시 서르커 졸탄 설러이 미클로시 |
스토얀 요르다노프 아타나스 게로프 게오르기 흐리스타키에프 밀코 가이다르스키 키릴 이브코프 이바일로 게오르기에프 츠베탄 베셀리노프 에브게니 얀초프스키 페터르 제코프 아타나스 흐리스토프 아스파루흐 도네프 키릴 스탄코프 게오르기 이바노프 토도르 니콜로프 얀초 디미트로프 이반 자피로프 미하일 교닌 게오르기 바실레프 |
요코야마 겐조 가타야마 히로시 미야모토 마사카쓰 야마구치 요시타다 가마타 미쓰오 스즈키 료조 도미자와 기요시 모리 다카지 오기 아리타쓰 유구치 에이조 야에가시 시게오 미야모토 데루키 와타나베 마사시 구와하라 야스유키 가마모토 구니시게 마쓰모토 이쿠오 스기야마 류이치 하마자키 마사히로 |
선수 명단
조별 리그
요약
관점
A조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밀리보예 구굴로비치 (YUG)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디미타르 루멘체프 (BUL)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카롤 갈바 (TCH)
B조
출처: FIFA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라몬 사가스투메 마르몰 (SLV)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조지 램프티 (GHA)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세윰 타레케근 (ETH)
C조
모로코가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하면서, 가나가 모로코를 대신했다.
출처: FIFA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미셸 키타브지앙 (FRA)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디에고 데 레온 (MEX)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마루야마 요시유키 (JPN)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톰슨 샤키부딘 바드루 (NGA)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마리아노 메디나 이글레시아스 (ESP)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아르투로 야마사키 (PER)
D조
출처: FIFA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 (BRA)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기예르모 벨라스케스 (COL)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아벨 아길라르 엘리살데 (MEX)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장-루이 파베르 (GUI)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라울 오소리오 (MEX)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펠리페 부에르고 엘콰스 (MEX)
Remove ads
결선 토너먼트
요약
관점
대진표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10월 20일 – 과달라하라 | ||||||||||
![]() | 1 | |||||||||
10월 22일 – 멕시코 시 | ||||||||||
![]() | 0 | |||||||||
![]() | 5 | |||||||||
10월 20일 – 멕시코 시 | ||||||||||
![]() | 0 | |||||||||
![]() | 3 | |||||||||
10월 26일 – 멕시코 시 | ||||||||||
![]() | 1 | |||||||||
![]() | 4 | |||||||||
10월 20일 – 레온 | ||||||||||
![]() | 1 | |||||||||
![]() | 1 | |||||||||
10월 22일 – 과달라하라 | ||||||||||
![]() | 1 | |||||||||
![]() | 3 | |||||||||
10월 20일 – 푸에블라 | ||||||||||
![]() | 2 | 동메달 결정전 | ||||||||
![]() | 2 | |||||||||
10월 24일 – 멕시코 시 | ||||||||||
![]() | 0 | |||||||||
![]() | 2 | |||||||||
![]() | 0 | |||||||||
8강전
푸에블라 콰우테모크
심판: 밀리보예 구굴로비치 (YUG)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아르투로 야마사키 (PER)
레온 레온 신구장
심판: 미셸 키타브지앙 (FRA)
불가리아는 추첨을 통해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준결승전
과달라하라 할리스코
심판: 세윰 타레케근 (ETH)
동메달 결정전
금메달 결정전
불가리아는 3명의 선수가 퇴장당하면서 경기를 8명으로 마무리했다.[6]
Remove ads
통계
요약
관점
득점
7골을 기록한 일본의 가마모토 구니시게가 이 대회 최다 득점자이다. 총 68명의 선수가 도합 116골을 기록했는데, 이 중 2골은 자책골이었다.
- 7골
- 6골
- 4골
페터르 제코프
라디슬라프 페트라시
쉬치 러요시
예호슈아 파이겐바움
- 3골
- 2골
- 1골
치앙
게오르기 흐리스타키에프
이반 자피로프
이바일로 게오르기에프
키릴 이브코프
미하일 교닌
알폰소 하라미요
파비오 모스케라
구스타보 산타
타마요 오요스
이리 베체레크
요제프 야라빈스키
미쿨라시 크르나츠
밀로시 헤르브슈트
후안 라몬 마르티네스
마우리시오 알론소 로드리게스
다니엘 올라비유
다니엘 페리고
제라르 아예
그바다모시 아모사
이브라힘 선데이
오세이 코피
새미 스티븐스 삼핀
다비드 스토케스
호르헤 롤단
카마라 마마두 막심
카마라 마마두바 은동고
유하시 이스트반
사르쾨지 이스트반
퍼제커시 라실로
모르데하이 슈피글러
라하밈 탈비
슈라가 바
세사레오 빅토리노
루이스 에스트라다
피터 아니케
새뮤얼 오코예
페르난도 오르투뇨
후안 페르난데스 빌렐라
우돔실프 스콘부트나크
- 자책골
최종 순위
축구의 통상적 통계에 따라, 연장전에 승부가 난 경기는 승패로 간주되며, 승부차기에서 승부가 난 경기는 무승부로 간주된다.
출처: Olympics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