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의 남자 축구 대표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어: サッカー日本代表 삿카 닛폰 다이효[*]→축구 일본 대표)은 일본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일본 축구 협회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사무라이 블루'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는 아시아 최고의 강팀 중 하나이다. 일본은 1990년대가 되어서야 프로 리그가 생겼을 만큼 그 이전까진 축구에 큰 관심을 보이는 국가가 아니었으나 2000년대부터는 야구 다음 가는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1917년 5월 9일 대만과의 경기에서 첫 경기를 치렀지만 이는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기이며 공식적인 첫 경기는 1930년 5월 25일 열린 필리핀과의 경기로 7-2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현재 도쿄 국립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본 대표팀 자체의 엠블럼이 삼족오 와 비슷하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FIFA 월드컵
1998년 FIFA 월드컵 이전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시작으로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까지 월드컵 본선의 문을 계속 두드렸지만 번번이 예선에서 탈락했고 특히 1994년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는 9승 3무 1패의 높은 승률에도 불구하고 이라크와의 최종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2-1로 앞선 후반 막판 상대팀인 자파르 움란에 통한의 동점골을 허용하며 같은 시각 북한을 3-0으로 이긴 대한민국에게 본선 티켓을 내주고 말았는데 이를 두고 대한민국에서는 도하의 기적이라고 불리고 있지만 일본 입장에서는 도하의 비극으로 불리고 있다.
1998년 FIFA 월드컵 이후
1994년 대회까지 번번이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다가 1998년 FIFA 월드컵에서야 사상 첫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은 이후 7회 연속 월드컵 본선에 출전하여 이 중 4번의 대회(2002년, 2010년, 2018년, 2022년)에서 16강에 진출했지만 2002년 대회에서는 튀르키예, 2010년 대회에서는 파라과이, 2018년 대회에서는 벨기에, 2022년 대회에서는 크로아티아에 밀려 4번 모두 다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AFC 아시안컵
아시안컵 본선에는 9번 출전하여 이 중 4번의 대회(1992년, 2000년, 2004년, 2011년)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본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이다. 또한 첫 출전해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던 1988년 대회를 제외하고 이후 8번의 대회에서 모두 8강 이상의 성적을 달성했다.
아시안 게임
성인 대표팀 시절에는 13번의 대회에 모두 출전했고 1951년 대회와 1966년 대회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리고 U-23 대표팀으로는 5번 출전하여 201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02년 대회, 2018년 대회,2022년 대회 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하계 올림픽
성인 대표팀 시절에는 4번 출전하여 1968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세계 대회 첫 성과를 거두었고 이에 앞서 처음으로 출전한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924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에 빛나는 북유럽의 강호 스웨덴과의 1라운드에서 3-2로 꺾고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는데 당시 이 경기는 '베를린의 기적'으로 불렸으며 이후 자국에서 열린 196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28년 만에 올림픽 8강에 진출했다. 그리고 U-23 대표팀으로는 7번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1968년 이후 44년만에 준결승에 올랐지만 준결승에서는 멕시코에게, 3위 결정전에서는 대한민국에게 연달아 패하며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전신인 다이너스티컵을 비롯해 13번 출전하여 이 중 5번의 대회(1992년, 1995년, 1998년, 2013년, 2022년)에서 우승했다.
코파 아메리카
코파 아메리카에는 초청국 자격으로 2번(1999년, 2019년) 출전했지만 2번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1]
Remove ads
팀 이미지 유니폼
유니폼 변천사
위키미디어 공용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최근 경기 결과 및 일정
2024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4년 9월 5일 | 일본 ![]() |
7 - 0 | ![]() |
사이타마, (![]() |
||
19:35 UTC+9 | 엔도 와타루 ![]() 미토마 가오루 ![]() 미나미노 다쿠미 ![]() 이토 준야 ![]() 마에다 다이젠 ![]() 구보 다케후사 ![]() |
경기장: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수: 52,398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4년 9월 10일 | 바레인 ![]() |
0 - 5 | ![]() |
리파, (![]() |
||
19:00 UTC+3 | 우에다 아야세 ![]() 모리타 히데마사 ![]() 오가와 고키 ![]() |
경기장: 바레인 국립경기장 관중 수: 22,729 심판: 루스탐 루트풀린 (우즈베키스탄) |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4년 10월 10일 | 사우디아라비아 ![]() |
0 - 2 | ![]() |
지다, (![]() |
||
21:00 UTC+3 | 가마다 다이치 ![]() 오가와 고키 ![]() |
경기장: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관중 수: 56,283 심판: 김종혁 (대한민국) |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4년 10월 15일 | 일본 ![]() |
1 - 1 | ![]() |
사이타마, (![]() |
||
19:35 UTC+9 | 캐머런 버지스 ![]() |
다니구치 쇼고 ![]() |
경기장: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수: 58,730 심판: 아흐메드 알 알리 (쿠웨이트) |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4년 11월 15일 | 인도네시아 ![]() |
0 - 4 | ![]() |
자카르타, (![]() |
||
19:00 UTC+7 | 저스틴 허브너 ![]() 미나미노 다쿠미 ![]() 모리타 히데마사 ![]() 스가와라 유키나리 ![]() |
경기장: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관중 수: 60,304 심판: 무드 보냐디파르드 (이란) |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4년 11월 19일 | 중화인민공화국 ![]() |
1 - 3 | ![]() |
샤먼, (![]() |
||
20:00 UTC+8 | 린량밍 ![]() |
오가와 고키 ![]() 이타쿠라 고 ![]() |
경기장: 샤먼 이그렛 스타디움 관중 수: 45,336 심판: 무하맛 타키 (싱가포르) | |||
2025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5년 3월 20일 | 일본 ![]() |
2 - 0 | ![]() |
사이타마, (![]() |
||
19:35 UTC+9 | 가마다 다이치 ![]() 구보 다케후사 ![]() |
경기장: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수: 58,137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5년 3월 25일 | 일본 ![]() |
0 - 0 | ![]() |
사이타마, (![]() |
||
19:35 UTC+9 | 경기장: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수: 58,003 심판: 아흐메드 알 알리 (쿠웨이트) |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5년 6월 5일 | 오스트레일리아 ![]() |
1 - 0 | ![]() |
퍼스, (![]() |
||
19:10 UTC+8 | 아지즈 베히치 ![]() |
경기장: 퍼스 스타디움 관중 수: 57,226 심판: 카셈 알 하트미 (오만) |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5년 6월 10일 | 일본 ![]() |
6 - 0 | ![]() |
스이타, (![]() |
||
19:35 UTC+9 | 가마다 다이치 ![]() 구보 다케후사 ![]() 모리시타 료야 ![]() 마치노 슈토 ![]() 호소야 마오 ![]() |
경기장: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관중 수: 33,661 심판: 김종혁 (대한민국) | ||||
202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5년 7월 8일 | 일본 ![]() |
6 - 1 | ![]() |
용인, (![]() |
||
19:24 UTC+9 | 저메인 료 ![]() 이나가키 쇼 ![]() 나카무라 소타 ![]() |
맷 오르 ![]() |
경기장: 용인미르스타디움 관중 수: 687 심판: 토릭 알카티리 (인도네시아) | |||
202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5년 7월 12일 | 일본 ![]() |
2 - 0 | ![]() |
용인, (![]() |
||
19:24 UTC+9 | 호소야 마오 ![]() 모치즈키 헨리 히로키 ![]() |
경기장: 용인미르스타디움 관중 수: 1,661 심판: 시와콘 푸 우돔 (태국) | ||||
202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5년 7월 15일 | 대한민국 ![]() |
0 - 1 | ![]() |
용인, (![]() |
||
19:24 UTC+9 | 저메인 료 ![]() |
경기장: 용인미르스타디움 관중 수: 18,418 심판: 투안 야신 (말레이시아) | ||||
Remove ads
코칭스태프
역대 감독
Remove ads
선수
요약
관점
현재 선수 명단
다음 명단은 2025년 7월 3일 일본축구협회에서 발표한 7월 202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하는 선수들 명단이다.
참가경기 수와 골 수는 2025년 7월 15일 대한민국과 맞대결한 경기 기준이다.
최근 차출된 선수
아래 명단은 최근 1년 사이에 차출된 일본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 범례
정지: 출전 정지
부상: 소집 당시 또는 소집 이후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징계: 징계로 인해 국가대표팀에서 제외
기타: 소집 당시 또는 소집 이후 개인적인 사유로 인해 선수단에서 제외
Remove ads
개인 기록
선수 기록
Remove ads
국제대회 기록
요약
관점
FIFA 월드컵
- 자세한 사항은 일본의 FIFA 월드컵 성적 문서 참조.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하계 올림픽
AFC 아시안컵
- 자세한 사항은 일본의 AFC 아시안컵 성적 문서 참조.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남미 대회이지만 일본은 특별 초청팀으로 1993년 이후 일부 대회에 참가했다.
아시안 게임
EAFF 동아시안컵
Remove ads
같이 보기
일본 남자 대표팀
-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19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18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17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16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15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풋살 국가대표팀
- 일본 U-23 풋살 국가대표팀
- 일본 U-19 풋살 국가대표팀
- 일본 비치사커 국가대표팀
일본 여자 대표팀
-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19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16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15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여자 풋살 국가대표팀
기타
- 일본 e스포츠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