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03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03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1회 대회이다. 동아시안컵의 전신 대회로, 일반적 의미의 "동아시아 축구 대회"의 시초는 아시아 축구 연맹의 승인을 바탕으로 4차례(1990년, 1992년, 1995년, 1998년) 개최된 다이너스티컵이다. 1998년 3월 7일을 끝으로 다이너스티컵은 폐지되었고, 2002년 5월 28일동아시아 축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의 축구 열기를 이어가면서 동아시아 축구 연맹이 직접 주관하는 "동아시아 축구 대회"를 위해 동아시안컵을 창설하였다.

간략 정보 개최국, 개최기간 ...
Remove ads

대회는 예선 대회와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예선 대회홍콩에서 2003년 2월 22일부터 2003년 3월 2일까지 개최되었다. 예선 대회에는 총 5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당해 대회에 기권하여 불참하였다.

결승 대회일본에서 2003년 5월 28일부터 2003년 6월 3일까지 열리기로 예정되었으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 확산의 여파로 연기되어 2003년 12월 4일부터 2003년 12월 10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대회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대회 공인구는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사용되었던 피버노바다.

Remove ads

출범 배경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동아시안컵)의 전신 대회로, 일반적 의미의 "동아시아 축구 대회"의 시초는 아시아 축구 연맹의 승인을 바탕으로 4차례(1990년, 1992년, 1995년, 1998년) 개최된 다이너스티컵이다. 1998년 3월 7일을 끝으로 다이너스티컵은 폐지되었고, 2002년 5월 28일동아시아 축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의 축구 열기를 이어가면서 동아시아 축구 연맹이 직접 주관하는 "동아시아 축구 대회"를 위해 동아시안컵을 창설하였다.

예선 대회

요약
관점

예선 대회홍콩에서 2003년 2월 22일부터 2003년 3월 2일까지 개최되었다. 예선 대회에는 총 5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당해 대회에 기권하여 불참하였다.

경기장

제1회 동아시안컵 예선 대회는 홍콩홍콩대구장(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에서 열렸다.

자세한 정보 홍콩대구장 ...

대회 순위

  결승 대회 진출
자세한 정보 순위, 국가 ...

일정 및 결과


1차전
자세한 정보 마카오, 2 – 0 ...
관중: 6,055명
심판: 홍콩 찬시우키
자세한 정보 홍콩, 2 – 0 ...
관중: 6,055명
심판: 일본 마쓰무라 가즈히코

2차전
자세한 정보 몽골, 2 – 0 ...
관중: 1,602명
심판: 중국 황쥔제
자세한 정보 홍콩, 3 – 0 ...
관중: 1,602명
심판: 대한민국 박상구

3차전
자세한 정보 괌, 0 – 2 ...
관중: 672명
심판: 홍콩 청임야우
자세한 정보 중화 타이베이, 4 – 0 ...
관중: 672명
심판: 홍콩 찬시우키

4차전
자세한 정보 괌, 0 – 7 ...
자세한 정보 홍콩, 10 – 0 ...

5차전
자세한 정보 마카오, 1 – 2 ...
관중: 6,862명
자세한 정보 홍콩, 11 – 0 ...
관중: 6,862명
심판: 중국 황쥔제

수상 내역

자세한 정보 최우수 골키퍼상, 최우수 수비수상 ...
Remove ads

결승 대회

요약
관점

결승 대회일본에서 2003년 5월 28일부터 2003년 6월 3일까지 열리기로 예정되었으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 확산의 여파로 연기되어 2003년 12월 4일부터 2003년 12월 10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대회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경기장

제1회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일본도쿄 국립경기장(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 사이타마 경기장(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홈구장) 및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요코하마 F. 마리노스 홈구장)에서 열렸다.

자세한 정보 도쿄 국립경기장, 사이타마 경기장 ...

선수 명단

대회 순위

자세한 정보 순위, 국가 ...

일정 및 결과


1차전
자세한 정보 홍콩, 1 – 3 ...
관중: 14,895명
심판: 인도네시아 지미 나피투풀루
자세한 정보 일본, 2 – 0 ...
관중: 41,742명
심판: 싱가포르 산탄 나가링감

2차전
자세한 정보 대한민국, 1 – 0 ...
관중: 27,715명
심판: 말레이시아 할림 압둘 하밋
자세한 정보 일본, 1 – 0 ...
관중: 45,145명
심판: 태국 찰라크 피로먀

3차전
자세한 정보 중화인민공화국, 3 – 1 ...
관중: 17,400명
심판: 태국 찰라크 피로먀
자세한 정보 일본, 0 – 0 ...
관중: 62,623명
심판: 싱가포르 산탄 나가링감

우승국

자세한 정보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대한민국 ...

최종 순위

자세한 정보 순위, 국가 ...
  1. 예선 대회에서 우승한 홍콩 홍콩의 경우 결승 대회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수상 내역

자세한 정보 페어플레이상, 최우수 골키퍼상 ...

기록과 통계

트리비아

Remove ads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