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영어: 2015 Africa Cup of Nations)은 2015년 1월 17일부터 2월 8일까지 적도 기니에서 개최된 대회인 30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다.[1]
이 대회는 당초 모로코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4년 10월 모로코가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에 따른 우려로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 대회 개최 연기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11월 2일 집행위원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한 차례 논의를 거쳤다.[2]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이 대회의 개최를 2016년으로 연기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며 11월 8일까지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에 2015년 개최 의사를 전달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이 이에 응하지 않아 11월 11일에 이사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다시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에 이 대회의 개최권을 박탈함과 동시에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음을 통보하는 한편 모로코를 대신하여 이 대회를 개최할 국가를 선정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그리고 11월 14일, 적도 기니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Remove ads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
여기에서 모로코가 개최 국가로 결정되었으나 모로코가 에볼라 유행을 이유로 개최를 연기하기를 원하자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모로코의 개최권을 박탈하고 다른 국가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대체 개최국으로 거론되었던 국가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몇 개 회원국을 선정하여 모로코를 대신하여 이 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사전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 5개국은 개최 불가 의사를 전달하였다.
다음 1개국은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다음 3개국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서 협상되었던 국가이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적도 기니에서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Remove ads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 도시와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예선
본선 진출 팀
-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를 의미한다.
시드 배정
이번 시드 배정은 2013년 대회와는 다르게 지난 3개 대회의 전적, 2012년 예선(0.5배의 가중치), 2013년 예선, 2015년 예선(2배의 가중치),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의 점수를 합산하여 시드를 배정했다.[3] 그 결과, 15년 만에 본선에 진출한 콩고 공화국은 최하위 시드를 배정받았다.
이 기준에 근거한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추첨은 2014년 12월 3일, 적도 기니 말라보에서 열렸다.
조 추첨 결과
Remove ads
선수 명단
조별 리그
-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01)을 따름.
A조
B조
C조
- 가나와 알제리는 승점이 동률을 이루어 승자승 원칙에 따른 동률 팀간 전적에 따라 가나가 1위, 알제리가 2위가 되었다. (가나 1 – 0 알제리)
D조
- 기니와 말리는 승점을 비롯하여 상대 전적에 따른 골 득실, 상대 전적에 따른 득점, 전체 골 득실, 전체 득점이 모두 동률을 이루어 추첨으로 8강 진출이 결정된다. 추첨 결과, 기니가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Remove ads
결선 토너먼트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1월 31일 - 바타 | ||||||||||
![]() | 2 | |||||||||
2월 4일 - 바타 | ||||||||||
![]() | 4 | |||||||||
![]() | 1 | |||||||||
2월 1일 - 말라보 | ||||||||||
![]() | 3 | |||||||||
![]() | 3 | |||||||||
2월 8일 - 바타 | ||||||||||
![]() | 1 | |||||||||
![]() | 0(9) | |||||||||
2월 1일 - 말라보 | ||||||||||
![]() | 0(8) | |||||||||
![]() | 3 | |||||||||
2월 5일 - 말라보 | ||||||||||
![]() | 0 | |||||||||
![]() | 3 | |||||||||
1월 31일 - 바타 | ||||||||||
![]() | 0 | 3위 결정전 | ||||||||
![]() | 1 | |||||||||
2월 7일 - 말라보 | ||||||||||
![]() | 2 | |||||||||
![]() | 0(4) | |||||||||
![]() | 0(2) | |||||||||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
Remove ads
우승국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
![]() 코트디부아르 2번째 우승 |
수상
올스타 팀
최종 순위
Remove ads
득점 선수
- 3골
티에비 비푸마
디외메르시 음보카니
하비에르 발보아
앙드레 아유
아흐메드 아카치
- 2골
- 1골
나빌 벤탈렙
파우지 굴람
리야드 마레즈
이슬람 슬리마니
엘 아르비 힐렐 수다니
아리스티데 반체
벵자맹 무칸조
앙브루아즈 오용고
헬돈 라모스
페레보리 도레
파브리스 온다마
프린스 오니앤구에
야니크 볼라시
조엘 킴와키
에밀리오 은수에
이반 에듀
피에르에메리크 오바메양
말리크 에부나
크웨시 아피아
조르당 아유
존 보예
아사모아 잔
와카소 무바라크
케빈 콘스탄트
이브라히마 트라오레
모하메드 야타라
세이두 둠비아
윌프리드 카농
야야 투레
바카리 사코
모디보 마이가
삼부 야타바레
맘 비람 디우프
카라 음보지
무사 소우
오우파 마니사
만들라 마상고
투소 팔라
야시네 치하우이
모하메드 알리 망세
이매뉴얼 마유카
기븐 싱굴루마
- 자책골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