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가봉에서 2017년 1월 14일부터 2월 5일까지 가봉에서 개최된 대회인 31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다. 이 대회의 우승팀은 러시아에서 개최되는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아프리카 대표로 참가한다. 또한 이 대회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첫 대회로부터 정확히 60년째 되는 해에 개최되었으며 아울러서 16개국이 참가하는 마지막 대회이기도 하다.
본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이 대회는 2011년 리비아 내전이 계속되어 2013년 대회를 리비아에서 개최하는 것이 곤란해지면서 처음 이 대회의 개최국으로 결정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개최권을 맞바꾸기로 하였다.[1] 그러나 2014년 8월 22일, 리비아가 계속되는 내전을 이유로 이 대회의 개최권을 반납하였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2014년 9월 30일까지 2017년 대회 유치 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개최국은 2015년 4월 8일에 가봉으로 선정되었다.[2]
Remove ads
개최국 선정
1차 개최국 선정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유치 신청은 2010년 9월 30일을 기해 마감되었으며 다음 국가들이 대회 유치를 신청했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2010년 9월 30일에 콩고 민주 공화국, 모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최종 후보에 선정되었다고 밝혔지만 콩고 민주 공화국이 아프리카 축구 연맹 시찰단의 방문 이후에 사퇴하면서 최종 후보 국가가 2개로 줄어들었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2011년 1월 29일에 모로코를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하지만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개최할 예정이던 리비아가 리비아 내전을 이유로 개최권을 반납함에 따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2013년 대회를, 리비아가 2017년 대회를 대신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2차 개최국 선정
다음은 유치권을 반납한 리비아를 대신하여,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유치하기 위해 신청한 나라들이다.
다음은 유치 신청을 했으나 나중에 최종 후보 4개국에 들지 못한 나라들이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 집행위원회는 2015년 4월 8일에 열린 회의에서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 선정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다. 투표 결과 가봉이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Remove ads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 도시와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예선
본선 진출국
-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를 의미한다.
시드 배정
조 추첨은 2016년 10월 19일, 가봉 리브르빌에서 열렸다. 시드 점수는 지난 3개 대회 본선(2015년, 2013년, 2012년)과 이 대회 예선을 포함한 3개 대회 예선(2017년, 2015년, 2013년), 그리고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과 본선을 기준으로 부여하였다.
Remove ads
선수 명단
조별 리그
요약
관점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01)을 따름
A조
스타드 당공제, 리브르빌
스타드 당공제, 리브르빌
B조
스타드 드 프랑스빌, 프랑스빌
스타드 드 프랑스빌, 프랑스빌
스타드 드 프랑스빌, 프랑스빌
스타드 드 프랑스빌, 프랑스빌
스타드 드 프랑스빌, 프랑스빌
스타드 당공제, 리브르빌
C조
스타드 드 오옘, 오옘
스타드 드 오옘, 오옘
스타드 드 오옘, 오옘
스타드 드 오옘, 오옘
D조
스타드 드 포르장티, 포르장티
스타드 드 포르장티, 포르장티
스타드 드 오옘, 오옘
Remove ads
결선 토너먼트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1월 28일 - 리브르빌 | ||||||||||
![]() | 2 | |||||||||
2월 1일 - 리브르빌 | ||||||||||
![]() | 0 | |||||||||
![]() | 1 (3) | |||||||||
1월 29일 - 포르장티 | ||||||||||
![]() | 1 (4) | |||||||||
![]() | 1 | |||||||||
2월 5일 - 리브르빌 | ||||||||||
![]() | 0 | |||||||||
![]() | 1 | |||||||||
1월 28일 - 프랑스빌 | ||||||||||
![]() | 2 | |||||||||
![]() | 0 (4) | |||||||||
2월 2일 - 프랑스빌 | ||||||||||
![]() | 0 (5) | |||||||||
![]() | 2 | |||||||||
1월 29일 - 오옘 | ||||||||||
![]() | 0 | 3위 결정전 | ||||||||
![]() | 1 | |||||||||
2월 4일 - 포르장티 | ||||||||||
![]() | 2 | |||||||||
![]() | 1 | |||||||||
![]() | 0 | |||||||||
8강전
스타드 드 오옘, 오옘
스타드 드 포르장티, 포르장티
준결승전
3·4위전
스타드 드 포르장티, 포르장티
결승전
Remove ads
우승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
![]() 카메룬 5번째 우승 |
수상
최종 순위
Remove ads
득점 선수
- 3골
- 2골
- 1골
소피안 한니
이수푸 다요
알랭 트라오레
베르트랑 트라오레
벵자맹 무칸조
세바스티앙 시아니
크리스티앙 바소고그
니콜라 은쿨루
뱅상 아부바카르
네스켄 케바노
은돔베 무벨레
윌프리드 보니
세레 디에
압델라 사이드
마무드 카라바
무함마드 엘네니
아사모아 잔
조르당 아유
주아리 소아르스
피케티 자시 브리투 실바
이브스 비수마
아지즈 부하두즈
로맹 사이스
유세프 엔네시리
라시드 알리위
카라 음보지
앙리 사이베
파파쿨리 디오프
무사 소우
마티외 도세비
코조 포 도 라바
유세프 므사크니
타하 야신 케니시
와흐비 카즈리
파루크 미야
쿠다콰셰 마하치
니아샤 무셰퀴
놀리지 무소나
텐다이 은도로
- 자책골
아이사 만디 (vs 튀니지)
후디닐송 실바 (vs 부르키나파소)
Remove ads
기록
팀 득점 기록
팀 실점 기록
기타 기록
- 시드 배정을 받은
가봉,
알제리,
코트디부아르가 각각 조 3위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 승점 2점을 받은
알제리,
코트디부아르,
말리는 골득실까지 -1점으로 같다. 그러나 다득점에서 갈라졌다.
가봉은 3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작년 개최된 유럽 축구 대회에서
포르투갈이 조별리그에서 3무승부를 기록한 이후로 두 번째이다.
- 3년 전에 월드컵에서 꼴찌를 했던
카메룬이 재치있게 이번 대회에서 우승했다.
가나 선수 중 앙드레 아유가 넣은 골은 모두 PK이었다.
- 8강 진출 팀 중 B조, C조 출신 팀 4팀 (
세네갈,
튀니지,
콩고 민주 공화국,
모로코)모두 8강에서 전멸했다.
-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를 매기면 1위는 우승을 차지한
카메룬이 아닌 3위를 차지한
부르키나파소이다.
- 2010년 대회 이후 7년 만에 본선에 진출한
이집트는 이번 대회 역시 결승전에 진출했다.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