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1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1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대한민국 평창에서 개최된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이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번이 통산 18번째 동계 올림픽 대회 참가이다. 또한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의 개최국이며 사상 첫 동계 올림픽 개최이기도 하다. 또한 통산 18번째 동계 올림픽 참가였다.
이번 대회에서는 총 122명의 선수[1]가 15개 종목에 출전한다. 지난 대회보다 75명이 늘은 사상 최대 규모이다. 단체전인 아이스하키와 컬링, 그리고 쇼트트랙 종목에 출전하는 선수가 가장 많다. 대한민국은 메달 17개(금메달 5개, 은메달 8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하여 밴쿠버 대회 당시 기록하였던 14개 기록을 경신하였다. 그 중 6개는 쇼트트랙, 7개는 스피드스케이팅에서 나왔다. 스켈레톤에서는 윤성빈이 역사상 최초로 금메달을 수확하였고, 컬링에서는 여자 대표팀이 역대 두번째 출전만에 첫 메달 획득에 성공하였다. 또한, 스노보드에서 이상호가 출범 후 58년 만에 첫 메달을 안겼다. 봅슬레이에서도 남자 4인승 경기에서 최초로 메달을 획득하는데 성공하였다.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23인의 경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과 남북공동팀을 이루어 경기에 임하게 되었다.
Remove ads
메달 집계
종목별 참가 선수 및 메달 수
메달리스트 명단
Remove ads
종목별 성적
요약
관점
노르딕복합
노르딕 복합 종목에 대한민국이 참가한 것은 이 대회가 처음이었다.
선수 | 세부 종목 | 스키점프 | 크로스컨트리 | 합계 | ||||
거리 | 점수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박제언 | 10km 개인 노멀힐 | 86.0 | 73.3 | 42 | 27:07.5 | 47 | 30:56.5 | 46 |
10km 개인 라지힐 | 104.5 | 60.4 | 48 | 26:14.8 | 45 | 31:28.8 | 47 |
루지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4차 시기 | 합계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임남규 | 1인승 | 49.461 | 31 | 48.591 | 28 | 48.620 | 29 | 진출 못 함 | 2:26.672 | 30 | |
조정명 박진용 |
2인승 | 46.396 | 10 | 46.276 | 9 | 빈칸 | 1:32.672 | 9 | |||
에일린 프리쉐 | 1인승 | 46.350 | 5 | 46.456 | 9 | 46.751 | 13 | 46.843 | 11 | 3:06.400 | 11 |
성은령 | 1인승 | 46.918 | 18 | 46.851 | 20 | 47.205 | 18 | 47.276 | 18 | 3:08.250 | 18 |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합계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에일린 프리쉐 임남규 조정명 박진용 |
단체 계주 | 47.211 | 6 | 49.854 | 13 | 49.478 | 8 | 2:26.543 | 9 |
바이애슬론
선수 | 세부 종목 | 기록 | 사격 실수 | 순위 |
티모페이 랍신 | 남자 스프린트 | 24:22.6 | 1 (0+1) | 16 |
남자 추적 | 35:50.7 | 4 (1+0+2+1) | 22 | |
남자 개인 | 50:28.6 | 1 (0+1+0+0) | 20 | |
남자 매스스타트 | ||||
예카테리나 아바쿠모바 | 여자 스프린트 | 26:24.9 | 6 (3+3) | 87 |
여자 개인 | 44:25.3 | 1 (0+0+1+0) | 16 | |
안나 프롤리나 | 여자 스프린트 | 22:56.9 | 3 (2+1) | 32 |
여자 추적 | 36:14.2 | 8 (1+2+2+3) | 50 | |
여자 개인 | 47:50.4 | 5 (1+0+1+3) | 61 | |
정주미 | 여자 개인 | 53:32.8 | 6 (2+2+0+2) | 78 |
고은정 | 여자 스프린트 | 25:12.1 | 2 (1+1) | 78 |
문지희 | 여자 스프린트 | 25:26.6 | 6 (2+4) | 82 |
여자 개인 | 50:21.5 | 7 (0+3+2+2) | 78 |
봅슬레이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4차 시기 | 합계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서영우 원윤종* |
남자 2인승 | 49.50 | 11 | 49.39 | 9 | 49.15 | 5 | 49.36 | 5 | 3:17.40 | 6 |
김동현 서영우 원윤종* 전정린 |
남자 4인승 | 48.65 | 2 | 49.19 | 4 | 48.89 | 3 | 49.65 | 10 | 3:16.38 | ![]() |
김민성 김유란* |
여자 2인승 | 51.24 | 15 | 51.20 | 13 | 51.55 | 15 | 51.20 | 11 | 3:25.31 | 15 |
* 표시가 붙은 선수는 봅슬레이 파일럿이다.
쇼트트랙
-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최종 순위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서이라 | 500m | 40.438 | 1 Q | 1:17.779 | 4 | 진출못함 | |||||
1000m | 1:24.734 | 2 Q | 1:24.053 | 1 Q | 1:24.252 | 2 FA | 1:31.619 | 3 | ![]() | ||
1500m | 2:18.750 | 1 Q | 빈칸 | 2:11.126 | 3 FB | 2:26.346 | 2 | 9 | |||
임효준 | 500m | 40.418 | 1 Q | 40.400 | 1 Q | 40.132 | 2 FA | 39.919 | 3 | ![]() | |
1000m | 1:25.893 | 1 Q | 1:24.095 | 2 Q | 1:26.463 | 1 FA | 1:33.312 | 4 | 4 | ||
1500m | 2:13.891 | 1 Q | 빈칸 | 2:11.389 | 1 FA | 2:10.485 ![]() |
1 | ![]() | |||
황대헌 | 500m | 40.758 | 1 Q | 40.861 | 2 Q | 40.108 | 1 FA | 39.854 | 2 | ![]() | |
1000m | 1:24.457 | 1 Q | PEN | ||||||||
1500m | 2:15.56 | 1 Q | 빈칸 | 2:11.469 | 2 FA | PEN | |||||
곽윤기 김도겸 서이라 임효준 황대헌 |
5000m 계주 | 빈칸 | 6:34.510 ![]() |
1 FA | 6:42.118 | 4 | 4 |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최종 순위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김아랑 | 500m | 43.724 | 3 | 진출 못 함 | |||||||
1000m | 1:30.459 | 1 Q | 1:30.137 | 1 Q | 1:29.212 | 3 FB | 빈칸 | 5 | |||
1500m | 2:20.891 | 1 Q | 빈칸 | 2:22.691 | 1 FA | 2.25.941 | 4 | 4 | |||
심석희 | 500m | 43.048 | 3 | 진출 못 함 | |||||||
1000m | 1:34.940 | 1 Q | 1:29.159 | 1 Q | 1:3.974 | 2 FA | PEN | ||||
1500m | 2:39.984 | 5 | 빈칸 | 진출 못 함 | |||||||
최민정 | 500m | 42.870 ![]() |
1 Q | 42.996 | 2 Q | 42.422 ![]() |
1 FA | PEN | |||
1000m | 1:31.190 | 1 Q | 1:30.940 | 1 Q | 1:31.131 | 3 AA | 1:42.434 | 4 | 4 | ||
1500m | 2:24.595 | 1 Q | 빈칸 | 2:22.295 | 1 FA | 2:24.948 | 1 | ![]() | |||
김아랑 김예진 심석희 이유빈 최민정 |
3000m 계주 | 빈칸 | 4:06.387 | 1 FA | 4:07.361 | 1 | ![]() |
범례: FA – 메달 라운드 진출; FB – 하위 라운드 진출; AA – 다른 선수의 반칙으로 피해를 입어 메달 라운드 진출; DSQ - 실격
스노보드
- 평행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16강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시간 | 순위 | 상대 시간 |
상대 시간 |
상대 시간 |
상대 시간 |
순위 | ||
최보군 | 남자 평행대회전 | 1:26.78 | 26 | 진출 못함 | ||||
김상겸 | 1:25.88 | 15 Q | ![]() L +1.14 |
진출 못함 | ||||
이상호 | 1:25.06 | 3 Q | ![]() W –0.54 |
![]() W –0.94 |
![]() W –0.01 |
![]() L +0.43 |
![]() | |
정해림 | 여자 평행대회전 | 1:34.11 | 20 | 진출 못함 | ||||
신다해 | 1:36.04 | 25 | 진출 못함 |
- 프리스타일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1차 | 2차 | 최고 | 순위 | 1차 | 2차 | 최고 | 순위 | |||
이민식 | 남자 남자 빅에어 | 68.75 | 72.25 | 72.25 | 14 | 진출 못함 | ||||
남자 슬로프스타일 | DNS | |||||||||
김호준 | 남자 하프파이프 | 54.50 | 10.25 | 54.50 | 24 | 진출 못함 | ||||
권이준 | 58.50 | 62.75 | 62.75 | 21 | 진출 못함 | |||||
이광기 | 75.00 | 72.00 | 75.00 | 14 | 진출 못함 | |||||
권선우 | 여자 하프파이프 | 19.25 | 35.00 | 35.00 | 20 | 진출 못함 |
범례: QF – 결선 자동 진출, QS – 준결선 진출
스켈레톤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4차 시기 | 합계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김지수 | 남자 | 50.80 | 4 | 50.86 | 6 | 50.51 | 4 | 50.81 | 6 | 3.22.98 | 6 |
윤성빈 | 50.28 | 1 | 50.07 | 1 | 50.18 | 1 | 50.02 | 1 | 3.20.55 | ![]() | |
정소피아 | 여자 | 52.47 | 13 | 52.67 | 15 | 52.47 | 15 | 52.28 | 12 | 3:29.89 | 15 |
스키점프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1차 시기 | 결선 2차 시기 | 합계 | ||||||||
거리 | 점수 | 순위 | 거리 | 점수 | 순위 | 거리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최서우 | 노멀힐 남자 개인 | 89.0 | 94.7 | 39 Q | 93.5 | 83.9 | 41 | 진출 못함 | |||||
김현기 | 노멀힐 남자 개인 | 84.0 | 83.1 | 52 | 진출 못함 | ||||||||
박규림 | 노멀힐 여자 개인 | 빈칸 | 56.0 | 14.2 | 35 | 진출 못함 | |||||||
최서우 김현기 최흥철 박제언 |
남자 단체 라지힐 | 빈칸 | 274.5 | 12 | 진출 못 함 |
스피드스케이팅
-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기록 | 순위 |
김민석 | 남자 1500m | 1:44.93 | ![]() |
김준호 | 남자 500m | 35.01 | 12 |
김태윤 | 남자 1000m | 1:08.22 | ![]() |
모태범 | 남자 500m | 35.15 | 16 |
정재웅 | 남자 1000m | 1:09.43 | 13 |
주형준 | 남자 1500m | 1:46.65 | 17 |
이승훈 | 남자 5000m | 6:14.15 | 5 |
남자 10000m | 12:55.54 | 4 | |
차민규 | 남자 500m | 34.42 | ![]() |
남자 1000m | 1:09.27 | 12 |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기록 | 순위 |
김현영 | 여자 500m | 38.25 | 10 |
여자 1000m | 1:16.366 | 18 | |
김민선 | 여자 500m | 38.53 | 14 |
노선영 | 여자 1500m | 1:58.75 | 14 |
박승희 | 여자 1000m | 1:16.11 | 11 |
이상화 | 여자 500m | 37.33 | ![]() |
- 팀 추월
선수 | 세부 종목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상대 팀 | 상대 팀 | 상대 팀 | 순위 | ||
김민석 이승훈 정재원 |
남자 단체 추월 | ![]() 승 3:39.29 |
![]() 승 3:38.82 |
![]() 패 3:38.52 |
![]() |
김보름 노선영 박지우 |
여자 단체 추월 | ![]() 패 3:03.76 |
진출하지 못함 | 파이널 D![]() 패 3:07.30 |
8 |
- 매스스타트
선수 | 세부 종목 | 준결선 | 결선 | ||||||||||||
S1 | S2 | S3 | S4 | 합계 | 기록 | 순위 | S1 | S2 | S3 | S4 | 합계 | 기록 | 순위 | ||
이승훈 | 남자 매스스타트 | 5 | 5 | 8:45.37 | 6 Q | 60 | 60 | ![]() | |||||||
정재원 | 남자 매스스타트 | 5 | 5 | 8:17.02 | 6 Q | 1 | 1 | 8 | |||||||
김보름 | 여자 매스스타트 | 3 | 1 | 4 | 6 Q | 40 | 40 | ![]() | |||||||
박지우 | 여자 매스스타트 | 1 | 1 | 8:33.43 | 9 | 진 출 못 함 |
아이스하키
- 남자
체코 2-1
대한민국
대한민국 0-8
스위스
캐나다 4-0
대한민국
핀란드 5-2
대한민국
- 여자
알파인스키
대한민국에는 국가별 쿼터 두 명과 개최국 쿼터 두 명으로, 남녀 선수 각각 두 명씩 총 네 명의 선수가 배정됐다.[2] 2018년 1월 25일 대한스키협회는 동계올림픽 알파인스키 출전 선수 명단을 확정 발표하였다.[3]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합계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정동현 | 남자 대회전 | DNF | |||||
남자 회전 | 51.79 | 31 | 53.28 | 28 | 1:45.07 | 27 | |
김동우 | 남자 활강 | 빈칸 | 1:47.99 | 48 | |||
남자 슈퍼대회전 | 빈칸 | 1:31.64 | 44 | ||||
남자 알파인 복합 | 1:24.02 | 56 | 53.02 | 31 | 2:17.04 | 33 | |
남자 대회전 | 1:14.49 | 43 | 1:15.56 | 41 | 2:30.05 | 39 | |
남자 회전 | DNF | ||||||
김소희 | 여자 대회전 | 1:19.13 | 48 | 1:16.24 | 45 | 2:35.37 | 45 |
여자 회전 | DNF | ||||||
강영서 | 여자 대회전 | 1:19.67 | 50 | 1:17.39 | 48 | 2:37.06 | 47 |
여자 회전 | DNF |
- 혼성
선수 | 세부 종목 | 16강 | 준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동메달 결정전 | |
상대 기록 |
상대 기록 |
상대 기록 |
상대 기록 |
순위 | ||
정동현 김동우 김소희 강영서 |
알파인스키 단체전 | ![]() L 0–4 |
진출 못함 |
컬링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의 개최국으로서 자동 진출권을 부여받았다.
이번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남녀종목 다섯 명씩, 믹스더블 두 명으로 총 12명이 참가한다.[4]
- 4인조
팀 | 종목 | 조별경기 | 준결승 | 결승 / 3위 |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순위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최종 순위 | ||
김창민 서세연 오은수 이기복 김민찬 |
남자 | ![]() |
![]() |
![]() |
![]() |
![]() |
![]() |
![]() |
![]() |
![]() |
||||
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
여자 | ![]() |
![]() |
![]() |
![]() |
![]() |
![]() |
![]() |
![]() |
![]() |
- 2인조
팀 | 종목 | 조별경기 | 준결승 | 결승 / 3위 |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순위 | 상대팀 점수 |
상대팀 점수 |
최종 순위 | ||
장혜지 이기정 |
믹스더블 | ![]() |
![]() |
![]() |
![]() |
![]() |
![]() |
![]() |
- 남자 토너먼트
- 리그전
대한민국팀은 3차, 7차, 11차전이 부전승 처리된다.
2월 14일 수요일 오전 9시 5분
2월 14일 수요일 오후 8시 5분
2월 16일 금요일 오후 2시 5분
2월 16일 금요일 오전 9시 5분
2월 17일 토요일 오후 2시 5분
|
2월 18일 일요일 오후 8시 5분
2월 19일 월요일 오후 2시 5분
2월 20일 화요일 오전 9시 5분
2월 21일 수요일 오후 2시 5분
|
- 여자 토너먼트
- 리그전
대한민국팀은 1차, 5차, 9차전이 부전승 처리된다.
2월 15일 목요일 오전 9시 5분
2월 15일 목요일 오후 8시 5분
2월 16일 금요일 오후 2시 5분
2월 17일 토요일 오후 8시 5분
2월 18일 일요일 오후 2시 5분
|
2월 19일 월요일 오전 9시 5분
2월 20일 화요일 오후 2시 5분
2월 19일 월요일 오후 8시 5분
2월 21일 수요일 오후 8시 5분
|
- 믹스더블 토너먼트
- 리그전
2월 8일 목요일 오전 9시 5분
2월 8일 목요일 오후 8시 4분
2월 9일 화요일 오후 8시 35분
2월 9일 금요일 오후 1시 35분
|
2월 10일 토요일 오전 9시 5분
2월 10일 토요일 오후 8시 4분
2월 11일 일요일 오후 9시 5분
|
크로스컨트리
대한민국에는 남녀 선수 각각 두 명씩 총 네 명의 선수가 배정됐다.[5]
- 스키애슬론
선수 | 세부 종목 | 결선 | ||
시간 | 차이 | 순위 | ||
김은호 | 남자 30km 스키애슬론 | LAP | 68 | |
이채원 | 여자 15km 스키애슬론 | 46:44.5 | +5:59.6 | 57 |
- 프리
선수 | 세부 종목 | 결선 | ||
시간 | 차이 | 순위 | ||
김마그너스 | 남자 15km 프리 | 36:38.0 | +2:55.1 | 45 |
김은호 | 39:07.9 | +5:24.0 | 85 | |
이채원 | 여자 10km 프리 | 28:37.5 | +3:37.0 | 51 |
주혜리 | 31:27.1 | +6:26.6 | 79 |
- 스프린트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준준결선 | 준결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김마그너스 | 남자 스프린트 | 3:22.36 | 49 | 진 출 못 함 | |||||
김마그너스 김은호 |
남자 단체 스프린트 | 빈칸 | 17:56.71 | 13 | 진 출 못 함 | ||||
주혜리 | 여자 스프린트 | 4:11.92 | 67 | 진 출 못 함 | |||||
이채원 주혜리 |
여자 단체 스프린트 | 빈칸 | 19:19.17 | 11 | 진 출 못 함 |
- 클래식
선수 | 세부 종목 | 결선 | ||
시간 | 차이 | 순위 | ||
김마그너스 | 남자 50km 클래식 | 2:24:14.0 | +15:51.9 | 47 |
김은호 | LAP | 63 |
프리스타일
- 모글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1차 시기 | 2차 시기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김지현 | 남자 모글 | 69.85 | 24 | 68.17 | 17 | 진 출 못 함 | |||||
서명준 | 68.45 | 26 | 69.51 | 18 | 진 출 못 함 | ||||||
최재우 | 72.95 | 20 | 81.23 | 1 Q | 78.26 | 10 Q | DNF | 진 출 못 함 | |||
서정화 | 여자 모글 | 16.57 | 30 | 71.58 | 6 Q | 72.31 | 14 | 진 출 못 함 | |||
서지원 | 68.46 | 19 | 64.61 | 14 | 진 출 못 함 |
- 에어리얼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1차 시기 | 2차 시기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이미현 | 여자 스키 슬로프스타일 | 35.67 | 25 | 72.80 | 13 | 진 출 못 함 |
- 하프파이프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1차 시기 | 2차 시기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이강복 | 남자 하프파이프 | 5.80 | 26 | 13.00 | 27 | 진 출 못 함 | |||||
장유진 | 여자 하프파이프 | 64.40 | 16 | 60.00 | 18 | 진 출 못 함 |
피겨스케이팅
2017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2017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대회에서 대한민국은 피겨스케이팅 여자 종목에 두 명의 선수 출전권이 배정됐다.[6] 이후 2017년 CS 네벨본 트로피 대회를 거치며 남자 종목과 아이스댄싱 종목 출전권도 추가로 따냈다. 한편으로 이번 대회 주최국으로서 페어 종목에도 선수 출전권을 부여받은 상태이다.[7]
선수 | 세부 종목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합계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차준환 | 남자 싱글 | 83.43 | 15 | 165.16 | 14 | 248.59 | 15 |
최다빈 | 여자 싱글 | 67.77 | 8 | 131.49 | 8 | 199.26 | 7 |
김하늘 | 54.33 | 21 | 121.38 | 10 | 175.71 | 13 | |
김규은 / 감강찬 | 페어 | 42.93 | 22 | 진출못함 | |||
민유라 / 알렉산더 겜린 | 아이스댄싱 | 61.22 | 16 | 86.52 | 19 | 147.74 | 18 |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영어) “South Korea at the 2018 Winter Games”. SR/Olympic Sport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