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19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2019 North Indian Ocean cyclone season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Remove ads
타임라인
IMD

발생한 사이클론
요약
관점
벵골 만 (BOB)
제1호 사이클론 파북
2019년 제1호 사이클론 파북(PABUK)은 1월 1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30km,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호치민 남동쪽 약 6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타이만에서 서~서북서진하며 서서히 발달해서 1월 4일 오전 3시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북북동쪽 약 4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23m/s, 강풍 반경 390km(북서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의 열대 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타이만에서 최성기 세력을 유지하면서 계속 서~서북서진하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월 4일 오후 9시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북북서쪽 약 640km 부근 육상(태국 나콘시탐마랏 주 육상)에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250km(북서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의 열대 폭풍으로 상륙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월 4일 오후 9시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북북서쪽 약 614km 부근 해상(태국 나콘시탐마랏 주 동쪽 타이만 해상)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23m/s, 강풍 반경 390km(북서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의 열대 폭풍의 세력으로 도달하였고, 1월 5일 0시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북서쪽 약 643km 부근 육상(태국 나콘시탐마랏 주 육상)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23m/s, 강풍 반경 390km(북서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의 열대 폭풍으로 상륙하였다. 태국에 상륙하며 동경 100도를 통과해서 인도양 사이클론 구역으로 넘어가면서 일본 기상청과 한국 기상청의 태풍정보가 종료되었다. 그 후 사이클론 파북은 태국 크라비 주와 팡응아 주를 관통하여 벵골만으로 나갔으나, 1월 5일 오전 9시에 태국 라농 주 서쪽 약 25km 부근 해상에서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1월에 발생이 드문 북인도양 사이클론 구역에서 발생한 사이클론이 되었다. 파북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메콩강에 서식하는 민물고기 중 한 종류를 의미한다.
제2호 극도로 강한 사이클론 파니
제3호 매우 강한 사이클론 불불 (열대폭풍 마트모 잔해)
태풍 마트모에서 약화된 열대저압부에서 다시 사이클론으로 발달하였다. 콜카타 인근에 상륙해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인도 동부에서 소멸되었다.
아라비아 해 (ARB)
제1호 매우 강한 사이클론 바유
제2호 매우 강한 사이클론 히카
제3호 슈퍼 사이클론 키야르
제4호 극도로 강한 사이클론 마하
제5호 사이클론 파반
Remove ads
육상 저기압 (LAND)
제1호 육상 저기압
사이클론 이름
|
|
|
|
외부 링크
- 인도 기상청 지역기상특별센터
-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 보관됨 2015-08-09 - 웨이백 머신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