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0년 하계 패럴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한민국은 2021년 8월 24일부터 9월 5일까지 일본 도쿄도에서 열린 제17회 하계 패럴림픽에 참가했다.[3][4] 14개 종목에 남자 58명 여자 28명 총 86명의 선수가 참가했다.[5] 금메달 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2개로 종합순위 41위를 기록하며 대회를 마감했다.[2]
Remove ads
메달 집계
종목별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Remove ads
종목별 성적
요약
관점
사격
남자
|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 스코어 | 순위 | 스코어 | 최종 순위 | ||
| 김수완 | R1 10m 공기소총 입사 SH1 | 604.8 | 17 | 진출 실패 | |
| 이장호 | 618.4 | 4Q | 161.2 | 6 | |
| 박진호 | 631.3 |
1Q | 224.5 | ||
| 서영균 | P1 10m 공기소총 SH1 | 557-11X | 13 | 진출 실패 | |
| 박진호 | R7 50m 소총 3자세 SH1 | 1171-59X | 2Q | 421.7 | 5 |
| 심영집 | 1161-54X | 5Q | 442.5 | ||
| 주성철 | 1173-59X |
1Q | 412.3 | 6 | |
여자
|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 스코어 | 순위 | 스코어 | 최종 순위 | ||
| 이윤리 | R2 10m 공기소총 입사 SH1 | 623.4 | 5 | 183.7 | 5 |
| 이유정 | 618.0 | 9 | 진출 실패 | ||
| 김연미 | P2 10m 공기소총 SH1 | 560-14X | 6 | 191.6 | 4 |
| 문예경 | 554-9X | 10 | 진출 실패 | ||
| 이유정 | R8 50m 소총 3자세 SH1 | 1138-44X | 11 | 진출 실패 | |
| 이윤리 | 1150-41X | 7 | 396.5 | 7 | |
사이클
| 선수 | 세부 종목 | 기록 | 순위 | 1위와의 차이 |
| 윤여근 | 남자 H4 도로 독주 | 50:13.05 | 11 | +12:44.13 |
| 남자 H4 개인 도로 | DNF | 10 | ||
| 이경화 | 여자 H1-3 도로 독주 | 42:14.22 | 9 | +10:32.75 |
| 여자 H1-4 개인 도로 | 1:00.34 | 10 | +4:19 | |
| 이도연 | 1:00.34 | 14 | +19:13 | |
| 여자 H4-5 도로 독주 | 55:42.91 | 10 | +10:02.86 | |
| 윤여근 이도연 이경화 |
혼성 H1-5 계주 | DNF | 10 |
수영
남자
|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 조기성 | 50m 평영 SB3 | 53.11 | 6Q | 51.58 | 6 |
| 100m 자유형 S4 | 1:30.41 | 5Q | 1:28.46 | 5 | |
| 200m 자유형 S4 | 3:13.77 | 7Q | 3:13.81 | 7 | |
| 50m 자유형 S4 | 41.78 | 9 | 진출 실패 | ||
| 50m 배영 S4 | 53.48 | 14 | |||
| 조원상 | 100m 접영 S14 | 58.37 | 8Q | 58.45 | 7 |
| 100m 배형 S14 | 1:05.71 | 15 | 진출 실패 | ||
| 이인국 | 100m 접영 S14 | DSQ | 진출 실패 | ||
| 200m 자유형 S14 | 2:03.16 | 13 | 진출 실패 | ||
| 100m 배형 S14 | 1:00.62 | 3Q | 1:00.98 | 5 | |
| 이주영 | 200m 자유영 S14 | 2:03.68 | 14 | 진출 실패 | |
| 200m 혼영 SM14 | 2:18.75 | 13 | 진출 실패 | ||
여자
|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 강정은 | 100m 접영 S14 | 1:11.36 | 9 | 진출 실패 | |
| 100m 배영 SM14 | 1:15.86 | 11 | 진출 실패 | ||
보치아
6명의 선수가 BC1, BC2, BC3 등급에 출전했다.[6] 혼성 페어 BC3 종목에서 최예진, 정호원, 김한수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1988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9번째 연속 금메달이다.[7]
| 선수 | 종목 | 그룹/예선 | 8강 | 준결승 | 결승/3위 결정전 | ||||||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
| 정성준 | 개인 BC1 | 승 (8-2) |
승 (4-2) |
패 (3-9) |
승 (2-3) |
3 | 진출 실패 | ||||
| 이용진 | 개인 BC2 | 패 (0-11) |
패 (0-6) |
승 (3-2) |
경기 없음 | 3 | 진출 실패 | ||||
| 김한수 | 개인 BC3 | 승 (4-2) |
패 (3-4) |
승 (6-0) |
경기 없음 | 1Q | 패 (0-8) |
진출 실패 | |||
| 정호원 | 승 (5*-5) |
승 (8-1) |
승 (3-1) |
경기 없음 | 1Q | 패 (3-7) |
진출 실패 | ||||
| 정성준 이용진 정소영 |
단체 BC1-2 | 승 (3(1)-3(0)) |
승 (6-5) |
패 (3-6) |
패 (4-6) |
4 | 진출 실패 | ||||
| 최예진 정호원 김한수 |
페어 BC3 | 승 (2(3)-2(0)) |
승 (4-1) |
승 (7-1) |
패 (2-3) |
2Q | 경기 없음 | 승 (5-2) |
승 (4(1)-4(0)) |
||
배드민턴
세계 장애인 배드민턴 랭킹에 의하여 총 7명의 선수가 배드민턴에 출전권을 획득했다.[8] 최종 결과 은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9]
남자
| 선수 | 종목 | 그룹/예선 | 8강 | 준결승 | 결승/3위 결정전 | ||||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
| 이삼섭 | 단식 WH1 | 패 (21-15, 13-21, 17-21) |
승 (21-18, 21-13) |
경기 없음 | 2Q | 승 (21-14, 21-16) |
승 (12-21, 21-7, 22-20) |
패 (6-21, 6r-11) |
|
| 이동섭 | 승 (23-21, 21-16) |
승 (17-21, 21-19, 21-17) |
경기 없음 | 1Q | 부전승 | 패 (21-12, 7-21, 20-22) |
승 (22-20, 17-21, 21-14) |
||
| 김정준 | 단식 WH2 | 승 (21-19, 21-15) |
승 (21-8, 21-9) |
경기 없음 | 1Q | 부전승 | 승 (15-21, 21-15, 21-15) |
패 (18-21, 19-21) |
|
| 김경훈 | 패 (19-21, 15-21) |
승 (21-8, 21-5) |
경기 없음 | 2Q | 승 (21-13, 21-12) |
패 (14-21, 15-21) |
패 (22-24, 10-21) |
4 | |
| 신경환 | 단식 SL4 | 패 (8-21, 9-21) |
패 (18-21, 21-15, 17-21) |
승 (21-17, 21-8) |
3 | 경기 없음 | 진출 실패 | ||
| 김정준 이동섭 |
복식 WH1-2 | 승 (21-19, 21-12) |
승 (21-11, 21-13) |
경기 없음 | 1Q | 경기 없음 | 승 (21-18, 21-13) |
패 (10-21, 14-21) |
|
여자
| 선수 | 종목 | 그룹/예선 | 8강 | 준결승 | 결승/3위 결정전 | |||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
| 강정금 | 단식 WH1 | 패 (12-21, 7-21) |
패 (16-21, 14-21) |
3 | 진출 실패 | |||
| 이선애 | 단식 WH2 | 패 (20-22, 16-21) |
패 (12-21, 21-9, 21-16) |
3 | 진출 실패 | |||
| 강정금 이선애 |
여식 WH1-2 | 패 (12-21, 5-21) |
패 (9-21, 16-21) |
3 | 경기 없음 | 진출 실패 | ||
양궁
남자
| 선수 | 세부 종목 | 랭킹 라운드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순위 결정전 | ||||
| 점수 | 시드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최종 순위 | ||||
| 김민수 | 리커브 | 628 | 6 | 승 (6-4) |
승 (6-2) |
승 (6-4) |
패 (5-6) |
패 (5-6) |
4 | ||
| 구동섭 | W1 | 625 | 8 | 경기 없음 | 패 (129(10+)–129(10)) |
패 6–5 |
진출 실패 | ||||
여자
| 선수 | 세부 종목 | 랭킹 라운드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순위 결정전 | ||||
| 점수 | 시드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최종 순위 | ||||
| 최나미 | 컴파운드 | 652 | 20 | 패 (121-140) |
진출 실패 | ||||||
| 조장문 | 리커브 | 505 | 20 | 패 (1-7) |
진출 실패 | ||||||
| 김란숙 | 461 | 24 | 패 (3-7) |
진출 실패 | |||||||
| 김옥금 | W1 | 598 | 4 | 경기 없음 | 부전승 | 패 (125-127) |
진출 실패 | ||||
혼성
| 선수 | 세부 종목 | 랭킹 라운드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순위 결정전 | ||
| 점수 | 시드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최종 순위 | ||
| 김민수 조장문 |
리커브 | 1133 | 12 | 승 (5-4) |
패 (2-6) |
진출 실패 | ||
| 구동섭 김옥금 |
W1 | 1223 | 3 | 경기 없음 | 승 (133-115) |
패 (126-141) |
패 (127-132) |
4 |
유도
남자
| 선수 | 세부 종목 | 16강전 | 8강전 | 4강전 | 패자부활전 | 결승 / 3,4위전 | |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순위 | ||
| 이정민 | 81kg급 | 부전승 | 승 (10-00) |
패 (00-10) |
승 (10-00) |
||
| 최광근 | +100kg급 | 부전승 | 승 (01-00) |
패 (00-10) |
승 (10-00) |
||
육상
트랙 / 도로 경기
|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 전민재 | 여자 100m T36 | 15.41 | 3Q | 15.51 | 8 |
| 여자 200m T36 | 31.37 | 3Q | 31.17 | 4 | |
| 유병훈 | 남자 100m T53 | 15.37 | 6 | 진출실패 | |
| 남자 400m T53 | 49.29 | 3Q | 50.02 | 7 | |
| 남자 800m T53 | 1:41.55 | 6 | 진출실패 | ||
| 남자 마라톤 T54 | 1:41.44 | 14 | |||
조정
오스트리아 오텐스하임에서 열린 2019년 조정 세계선수권대회 장애인 여자 싱글스컬에서 김세정이 파이널B에서 1위를 기록하며 패럴림픽 진출권을 획득했다.[10] 파이널B에서 1위를 기록하며 최종순위 7위를 기록했다.[11]
- 여자
|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패자부활전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 정혜정 | 싱글스컬 | 12:19.02 | 3 | 11:04.59 | 3q | 12:18.83 | 7 |
탁구
11명의 선수는 세계랭킹으로 5명의 선수는 2019 ITTF 아시아 장애인 선수권 대회에서 패럴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12] 경기 결과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5개 동메달 6개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이중 주영대선수는 단식C1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해당 족목에서 김현욱과 남기원도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선수가 금은동을 모두 획득하여 화제가 되었다.[13]
- 남자
| 선수 | 종목 | 그룹/예선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
| 주영대 | 단식 C1 | 승 (3-0) |
승 (3-0) |
1Q | 경기 없음 | 승 (3-2) |
승 (3-0) |
승 (3-1) |
|
| 김현욱 | 승 (3-0) |
승 (3-0) |
1Q | 경기 없음 | 승 (3-0) |
승 (3-0) |
패 (1-3) |
||
| 남기원 | 패 (1-3) |
승 (3-0) |
2Q | 경기 없음 | 승 (3-0) |
패 (0-3) |
진출 실패 | ||
| 박진철 | 단식 C2 | 승 (3-0) |
승 (3-0) |
1Q | 부전승 | 승 (3-2) |
패 (1-3) |
진출 실패 | |
| 차수용 | 승 (3-0) |
승 (3-2) |
1Q | 부전승 | 승 (3-1) |
패 (1-3) |
진출 실패 | ||
| 백영복 | 단식 C3 | 패 (0-3) |
패 (2-3) |
3 | 진출 실패 | ||||
| 김영건 | 단식 C4 | 승 (3-1) |
승 (3-2) |
1Q | 부전승 | 승 (3-0) |
승 (3-1) |
패 (1-3) |
|
| 김정길 | 패 (1-3) |
승 (3-1) |
2Q | 패 (3-1) |
진출 실패 | ||||
| 박홍규 | 단식 C6 | 승 (3-0) |
승 (3-1) |
1Q | 부전승 | 패 (2-3) |
진출 실패 | ||
| 김기태 | 단식 C11 | 패 (1-3) |
승 (3-1) |
2Q | 경기 없음 | 패 (1-3) |
진출 실패 | ||
| 차수용 박진철 김현욱 |
단체 C1-2 | 경기 없음 | 승 (2-0) |
승 (2-1) |
패 (0-2) |
||||
| 남기원 주영대 |
단체 C3 | 경기 없음 | 패 (0-2) |
진출 실패 | |||||
| 김영건 김정길 백영복 |
단체 C4-5 | 경기 없음 | 승 (2-1) |
승 (2-0) |
패 (0-2) |
||||
- 여자
| 선수 | 종목 | 그룹/예선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
| 서수연 | 단식 C1-2 | 승 (3-2) |
승 (3-0) |
경기 없음 | 1Q | 경기 없음 | 승 (3-0) |
승 (3-1) |
패 (1-3) |
|
| 윤지유 | 단식 C3 | 승 (3-0) |
승 (3-0) |
경기 없음 | 1Q | 부전승 | 승 (3-1) |
패 (2-3) |
진출 실패 | |
| 이미규 | 승 (3-0) |
승 (3-1) |
경기 없음 | 1Q | 부전승 | 승 (3-0) |
패 (1-3) |
진출 실패 | ||
| 정영아 | 단식 C5 | 승 (3-2) |
승 (3-0) |
경기 없음 | 1Q | 경기 없음 | 승 (3-1) |
패 (0-3) |
진출 실패 | |
| 이근우 | 단식 C6 | 패 (1-3) |
승 (3-1) |
경기 없음 | 2Q | 경기 없음 | 패 (2-3) |
진출 실패 | ||
| 문성금 | 패 (1-3) |
패 (0-3) |
경기 없음 | 3 | 경기 없음 | 진출 실패 | ||||
| 김성옥 | 단식 C7 | 패 (0-3) |
승 (3-0) |
경기 없음 | 2Q | 경기 없음 | 패 (1-3) |
진출 실패 | ||
| 김군해 | 단식 C9 | 패 (1-3) |
패 (1-3) |
승 (3-1) |
3 | 경기 없음 | 경기 없음 | 진출 실패 | ||
| 서수연 윤지유 이미규 |
단체 C1-3 | 경기 없음 | 승 (2-1) |
승 (2-0) |
패 (0-2) |
|||||
| 김성옥 문성금 이근우 |
단체 C1-3 | 경기 없음 | 패 (0-2) |
진출 실패 | ||||||
태권도
주정훈선수가 아시아 최종예선에서 우승하며 대한민국 선수로서 유일하게 올림픽 진출권을 획득했다.[14] 75kg급(K44) 종목에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15]
남자
| 선수 | 세부 종목 | 16강전 | 8강전 | 4강전 | 패자부활전1 | 패자부활전2 | 결승 / 3,4위전 | |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순위 | ||
| 주정훈 | 75kg급 | 패 (31-35) |
진출 실패 | 승 (40-31) |
승 (46-32) |
승 (24-14) |
||
휠체어 농구
2019년 국제휠체어농구협회(IWBF) 아시아·오세아니아 챔피언십대회에서 준우승을 하며 상위 4팀까지 주어지는 패럴림픽 진출권을 획득했다. 이는 2000년 하계 패럴림픽 이후 21년 만이다.[16] 조별리그에서 5위를 기록했고 9-10위 결정전에서 이란에게 패배하며 최종순위 10위를 기록했다.[17]
조별 리그 : A조
- 8월 25일
스페인 65 : 53
대한민국 - 8월 26일
대한민국 70 : 80
튀르키예 - 8월 27일
일본 59 : 52
일본 - 8월 28일
대한민국 66 : 54
콜롬비아 - 8월 29일
캐나다 74 : 64
대한민국
9-10위 결정전
Remove ads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2020년 하계 패럴림픽 보관됨 2021-09-03 - 웨이백 머신 - 대한장애인체육회 공식 홈페이지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