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2년 칸 영화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제75회 칸 영화제는 2022년 5월 17일부터 5월 28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개최된다.[1] 이번 영화제는 프랑스의 코로나19 여파로 인하여 지난 2년 동안 영화제가 취소 및 관객 제한이라는 난관 겪은 이후 처음으로 전면 대면관람으로 돌아갔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게 되었다.
개막작으로는 프랑스의 미셸 하자나비시우스 감독이 연출한 《카메라를 멈추면 안돼! 프랑스에서도》이 선정되었다.
이밖에도 《탑 건: 매버릭》의 월드 프리미어와 그 주연을 맡은 배우 톰 크루즈의 명예 황금종려상 수상으로 주목받았다.[2][3] 이번 영화제의 공식 포스터로는 영화 《트루먼 쇼》 (1998년)의 마지막 씬을 오마주한 구성의 포스터가 채택되었다.[4]
Remove ads
심사위원
요약
관점




다음은 이번 영화제의 심사위원단이다.[5][6][7][8]
경쟁부문
주목할 만한 시선
황금카메라상
- 로시 데 팔마 - 스페인의 배우, 심사위원장
- 나타즈카 크로시츠키 - ARRI 프랑스 CEO
- 뤼시앵 장바티스트 - 프랑스의 감독, 각본가, 배우
- 장클로드 라리외 - 프랑스의 촬영감독
- 사뮈엘 르 비앙 - 프랑스의 배우
- 올리비에 펠리송 - 프랑스의 영화평론가
- 엘레노르 베베르 - 프랑스의 배우, 작가
시네파운데이션 및 단편영화
- 유스리 나스랄라 - 이집트의 감독, 각본가
- 모니아 쇼크리 - 캐나다의 배우, 감독
- 펠릭스 모아티 - 프랑스의 배우, 감독
- 장클로드 라스피앙자 - 프랑스의 기자, 평론가
- 라우라 반델 - 벨기에의 감독, 각본가
독립 부문
국제비평가주간 상 (Semaine de la Critique)
- 카우테르 벤 하니아 - 튀니지의 감독, 각본가, 심사위원장
- 브누아 데비 - 벨기에의 촬영감독
- 베네딕트 엘링손 - 아이슬란드의 감독
- 허문영 - 대한민국의 영화평론가,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
- 아리안 라베드 - 프랑스계 그리스 배우
황금눈상 (L'Œil d'or)
- 아그니에슈카 홀란트 - 폴란드의 감독, 심사위원장
- 피에르 들라동샹 - 프랑스의 배우
- 히캄 팔라 - 모로코의 아가디르 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총괄위원장
- 이리나 칠리크 - 우크라이나의 감독, 작가
- 알렉스 비센테 - 스페인의 영화평론가
퀴어종려상 (Queer Palm)
- 카트린 코르시니 - 프랑스의 감독, 각본가, 심사위원장
- 자니 부지야니 - 프랑스의 배우, 감독, 각본가
- 마릴루 두퐁셸 - 프랑스의 언론인
- 스테판 리타우저 - 스위스의 감독
- 폴 스트러더스 -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듀서
Remove ads
공식 부문 상영작
요약
관점
경쟁 부문
다음은 황금종려상 경쟁부문에 출품된 작품들이다.[9][10]
주목할 만한 시선
다음은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출품된 작품들이다.
- (CdO) - 장편영화 감독 데뷔작으로 황금카메라상 수여 기준을 충족.
비경쟁 부문
다음은 비경쟁 부문 출품작이다.
Remove ads
수상작
공식 부문
경쟁 부문
다음은 경쟁 부문 출품작의 수상 목록이다.
주목할 만한 시선
- 대상: 최악의 인간들 (리즈 아코카 & 로만 그레)
- 심사위원상:
- 감독상:
- 배우상:
- 특별심사위원상:
- 쿠프드쾨르 상:
황금카메라 부문
단편 부문
- 단편 황금종려상:
- 특별상:
시네파운데이션
- 1등상:
- 2등상:
- 3등상:
명예 황금종려상
독립 부문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 경쟁부문:
- 주목할 만한 시선:
- 페러럴 섹션:
에큐메니컬상
국제비평가주간
- 네스프레소 대상:
- 라이츠 신 디스커버리 단편부문상 :
- 루이스 로더러 재단 떠오르는 스타상:
- 간 재단 배급상 :
- SACD상:
- 카날+ 단편상:
디렉터스 포트나이트
황금눈상
- 황금눈상:
퀴어종려상
- 퀴어종려상: 조이랜드 (사임 사디크)
프랑수아 샬레 상
- 프랑수아 샬레 상: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