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2022 AFC Women's Asian Cup)은 2022년 1월 20일부터 2월 6일까지 인도에서 열린 20번째 AFC 여자 아시안컵이다. 이 대회는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의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이 대회부터는 출전팀 수가 기존 8개에서 12개로 확대되면서 3위 결정전도 전격 폐지되었다.
개최국 결정
아래 3개 국가축구협회들이 2019년 5월 31일까지 대회 개최에 관심을 제출했다.[1]
인도는 1980년 AFC 여자 아시안컵을 개최한 적이 있고 중화 타이베이는 1977년과 2001년에 개최한 적이 있다.[2]
2020년 2월 19일에, 인도가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추천되었다.[3]
개최지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을 위한 개최지들은 인도 내 삼 도시들에 위치한다. 그리고, 경기들은 3개의 경기장들에서 치뤄질 것이다.[4] 원래, 개최 도시들은 아흐메다바드, 부바네스와르, 그리고 나비 뭄바이였고, 아시아 축구 연맹은 2021년 6월에 대회 3개 개최 도시들을 확정했다.[5][6] 그러나, 2021년 7월 6일, 아시아 축구 연맹은 마하라슈트라주 소재 뭄바이, 나비뭄바이와 푸네가 이 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선언하였다.[7]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의 모든 경기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결승전을 제외한 전 경기를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었다.[8]
Remove ads
참가 팀
다음 4개국이 본선에 직행했다.
인도 (개최국)
일본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팀)
오스트레일리아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팀)
중화인민공화국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3위 팀)
다음 8개국이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시드 배정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 조 추첨은 2021년 10월 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AFC 본부에서 실시되었다. 시드 배정은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선수 명단
조별 리그
요약
관점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5:30)을 따른다.
A조
- 인도 여자 국가대표팀은 인도 대 중화 타이베이 경기 직전 대표팀 선수들 상당수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에 집단 감염되어서 환자를 제외한 남은 선수들의 숫자가 최소 인원수(골키퍼 포함) 13인보다 미달하면서 기권했다.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 대회 규칙에 따라 인도 여자 축구대표팀은 남은 경기들을 기권한 것으로 처리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 치렀던 인도 대 이란 경기 결과는 무효 처리되었고 인도 대 중화 타이베이 경기, 인도 대 중화인민공화국 경기는 모두 취소되었다.[9]
B조
C조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각 조 3위 팀들 가운데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한다. A조에 속해 있던 인도가 기권함에 따라 공정성을 위해 각 조 4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
출처: AFC
순위 결정방식: 1) points; 2) goal difference; 3) goals scored; 4) disciplinary points; 5) drawing of lots.
순위 결정방식: 1) points; 2) goal difference; 3) goals scored; 4) disciplinary points; 5) drawing of lots.
Remove ads
결선 토너먼트
요약
관점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1월 30일 - 나비 뭄바이 | ||||||||||
![]() | 3 | |||||||||
2월 3일 - 푸네 | ||||||||||
![]() | 1 | |||||||||
![]() | 2 (4) | |||||||||
1월 30일 - 나비 뭄바이 | ||||||||||
![]() | 2 (3) | |||||||||
![]() | 7 | |||||||||
2월 6일 - 나비 뭄바이 | ||||||||||
![]() | 0 | |||||||||
![]() | 3 | |||||||||
1월 30일 - 푸네 | ||||||||||
![]() | 2 | |||||||||
![]() | 0 | |||||||||
2월 3일 - 푸네 | ||||||||||
![]() | 1 | |||||||||
![]() | 2 | |||||||||
1월 30일 - 푸네 | ||||||||||
![]() | 0 | |||||||||
![]() | 1 (3) | |||||||||
![]() | 1 (4) | |||||||||
8강전
대한민국이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일본이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이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필리핀이 승부차기 승으로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준결승전
결승전
심판: 케이시 레이벨트 (오스트레일리아)
플레이오프
오스트레일리아가 8강전에서 대한민국에 0 - 1으로 져서, 8강전 패자 남은 3팀들이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 리그를 시행한다. 승점, 승자승, 득실차, 다득점 순으로 결정하여 최고 성적 1팀이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고, 나머지 2팀들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2022년 2월 6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AFC
베트남이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