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열린 제9회 FIFA 여자 월드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Remove ads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영어: 2023 FIFA Women's World Cup)은 2023년 7월 20일부터 8월 20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에서 공동 개최된 제9회 FIFA 여자 월드컵이다. 2019년 7월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은 여자 월드컵의 상금 2배 증액과 24개국에서 32개국으로 확장을 2023년 대회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제안했고[1] 결국 2019년 7월 31일 FIFA 평의회는 총 32개국으로 대회 확대를 결정하였다.[2]

간략 정보 개최국, 개최기간 ...
Remove ads

개최 희망 국가

개최국은 2020년 6월 25일에 결정되었다.

자세한 정보 유치, 투표수 ...

예선

요약
관점
Thumb
  본선 진출 팀
  지역 예선 탈락 팀
  기권 또는 참가 금지
  불참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본선 진출하였다. 예선은 2021년 초반에 시작하고 2022년 후반에 끝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대륙별 본선 참가팀수 배분은 2020년 12월 24일에 FIFA 평의회 사무국에 의해 승인되었다. 공동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를 위한 슬롯은 각 소속 대륙 축구연맹인 아시아 축구 연맹과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으로부터 직접 얻어졌다.(대륙별 참가팀 수 쿼터에 여자 월드컵 개최국들이 포함된다.)[3]

10개팀 플레이오프 토너먼트는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 최종 3팀을 결정하였다. 플레이오프 슬롯 배분은 아래와 같다.:

  • 아시아: 2 장
  • 아프리카: 2 장
  • 북중미: 2 장
  • 남미: 2 장
  • 대양주: 1 장
  • 유럽: 1 장

세계 반도핑 기구(WADA)는 2019년 12월 9일에 공개된 공식 성명을 통해 러시아 반도핑 기구(RUSADA)가 조작된 실험실 데이터를 조사관에게 넘겨준 사실을 확인하고 러시아에 대해 4년 동안 주요 스포츠 행사 참가를 금지하는 결정을 채택했다.[4] 하지만 세계 반도핑 기구의 결정은 FIFA 월드컵 본선에서만 적용되므로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 참가할 수 있다. WADA(세계 반도핑 기구) 통치부는 도핑이나 커버럽에 연루되지 않았던 운동선수들이 대회 참가를 허용했다. 그러나, 주요 국제 스포츠 행사에서 러시아의 국기국가의 사용을 금지하였다.[5]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제소는 접수되었다.[6] 그러나 WADA(세계 반도핑 기구)의 결정은 옹호되었고 2년-금지로 감경되었다.[7] CAS(스포츠 중재 재판소) 통치는 또한 만일 "중립 운동선수" 또는 "중립팀"이라는 단어들이 동일 비율로 유니폼 표시되면 "러시아"라는 이름 사용을 허용하였다.[8] 만일 러시아 대표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면, 러시아 여자 선수들(여자 국가대표팀)은 남자 선수들(남자 국가대표팀)과 달리 러시아 국가이름, 국기, 국가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2년간 제재가 2022년 12월 16일에 끝날 것이기 때문이다.[8][9] 그러나 국제 축구 연맹(FIFA)과 유럽 축구 연맹(UEFA)은 2022년 2월 28일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로 인하여 러시아가 FIFA 및 UEFA 주관 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결정했다.[10] 2022년 5월 2일에는 UEFA 집행위원회가 러시아를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실격 처리하는 한편 러시아와의 경기 결과를 모두 무효 처리한다고 결정했다.[11]

본선 진출국

자세한 정보 대륙, 참가국 ...
Remove ads

개최 도시

요약
관점

다음 개최 도시, 장소, 시설들은 FIFA에 제출된 유치서류에 포함되어 있었다.:[12]

오스트레일리아

자세한 정보 시드니, 브리즈번 ...

뉴질랜드

자세한 정보 오클랜드, 웰링턴 ...

팀 베이스 캠프

베이스캠프는 32개 국가대표팀이 여자 월드컵 대회 전과 대회 기간 동안 머물며 훈련하는 데 사용된다. FIFA는 2022년 12월 11일 본선 진출한 29개국의 호텔과 훈련 장소를 발표했으며 나머지 3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 토너먼트 후 베이스 캠프를 선택했다.[13] FIFA는 나중에 2023년 3월 21일에 대륙간 플레이오프 토너먼트 최종 승자들을 위한 마지막 남은 3개의 베이스 캠프를 확인했다.[14] 그것은 32개 참가국을 위한 전용 베이스캠프를 갖는 최초의 대회가 될 것이다.[15]

자세한 정보 팀, 호텔 ...
Remove ads

시드 배정

요약
관점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조 추첨은 32개 팀을 4개 팀씩 8개 조로 나누어 편성되었다. 본선 조 추첨은 2022년 10월 22일에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위치한 아오테아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본선에 참가하는 팀들은 2022년 10월 13일 FIFA 여자 랭킹에 따라 4개 포트에 배정되었다. 포트 1에는 공동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FIFA 여자 랭킹 상위 6개국이 편성되었는데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는 자동으로 각각 A1과 B1에 편성되었다. 그 다음으로 나머지 24개 팀이 2번, 3번, 4번 포트에 나누어 편성되었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3개 팀은 자동으로 포트 4에 편성되었는데 추첨 당시에는 어느 팀인지 정해져 있지 않았다.

유럽을 제외한 다른 대륙 팀들은 같은 조에 편성될 수 없으며 유럽 팀들은 같은 조에 최대 2개 팀끼리 편성되었다.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유럽 팀은 본선에 직행한 2개의 유럽 팀이 속한 조에 편성될 수 없다.

추첨은 포트 1부터 시작해서 포트 4에서 끝났다. 포트 1에 속한 팀은 자동으로 각 조의 1번째 위치에 배정되었고 나머지 포트에 속한 팀들은 추첨을 통해 위치가 결정되었다.

자세한 정보 포트 1, 포트 2 ...

1 추첨 당시에는 어느 팀인지 정해져 있지 않았다.

2 대륙간 플레이오프 A조 승자는 시드를 배정받은 유럽 팀인 포르투갈을 기준으로 하며 본선 조 추첨에서는 유럽 팀의 지리적 제약에 따른다.

3 대륙간 플레이오프 B조 승자는 시드를 배정받은 남아메리카 팀인 칠레를 기준으로 하며 본선 조 추첨에서는 남아메리카 팀의 지리적 제약에 따른다.

4 대륙간 플레이오프 C조 승자는 시드를 배정받은 아시아 팀인 중화 타이베이, 오세아니아 팀인 파푸아뉴기니를 기준으로 하며 본선 조 추첨에서는 아시아, 오세아니아 팀의 지리적 제약에 따른다.

Remove ads

선수 명단

조별 리그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순위 규정 ...

A조

자세한 정보 순위, 경기 ...
출처: FIFA
(H) 홈경기.
자세한 정보 뉴질랜드, 1 – 0 ...
관중: 42,137명
심판: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자세한 정보 필리핀, 0 – 2 ...
포시스 바 스타디움, 더니든
관중: 13,711명
심판: 뱅상티아 아메돔 (토고)

자세한 정보 뉴질랜드, 0 – 1 ...
관중: 32,357명
심판: 카티아 가르시아 (멕시코)
자세한 정보 스위스, 0 – 0 ...

자세한 정보 스위스, 0 – 0 ...
포시스 바 스타디움, 더니든
관중: 25,947명
심판: 토리 펜소 (미국)
자세한 정보 노르웨이, 6 – 0 ...
관중: 34,697명
심판: 마리-솔레이 보두앵 (캐나다)

B조

자세한 정보 순위, 경기 ...
출처: FIFA
(H) 홈경기.
자세한 정보 오스트레일리아, 1 – 0 ...
관중: 75,784명
심판: 이지나 아우비스 바티스타 (브라질)
자세한 정보 나이지리아, 0 – 0 ...
관중: 21,410명
심판: 리나 레흐토바라 (핀란드)

자세한 정보 캐나다, 2 – 1 ...
관중: 17,065명
심판: 라우라 포르투나토 (아르헨티나)
자세한 정보 오스트레일리아, 2 – 3 ...
관중: 49,156명
심판: 에스터 슈타우블리 (스위스)

자세한 정보 캐나다, 0 – 4 ...
자세한 정보 아일랜드, 0 – 0 ...
관중: 24,884명
심판: 카티아 가르시아 (멕시코)

C조

자세한 정보 순위, 경기 ...
출처: FIFA
자세한 정보 스페인, 3 – 0 ...
관중: 22,966명
심판: 케이시 레이벨트 (오스트레일리아)
자세한 정보 잠비아, 0 – 5 ...
관중: 16,111명
심판: 테스 올로프손 (스웨덴)

자세한 정보 일본, 2 – 0 ...
포시스 바 스타디움, 더니든
관중: 6,992명
심판: 마리아 솔레 페리에리 카푸티 (이탈리아)
자세한 정보 스페인, 5 – 0 ...
관중: 20,983명
심판: 오현정 (대한민국)

자세한 정보 일본, 4 – 0 ...
관중: 20,957명
심판: 에카테리나 코롤레바 (미국)
자세한 정보 코스타리카, 1 – 3 ...
관중: 8,117명
심판: 부슈라 카르부비 (모로코)

D조

자세한 정보 순위, 경기 ...
출처: FIFA
자세한 정보 잉글랜드, 1 – 0 ...
관중: 44,369명
심판: 에미카르 칼데라스 바레라 (베네수엘라)
자세한 정보 덴마크, 1 – 0 ...
관중: 16,989명
심판: 마리-솔레이 보두앵 (캐나다)

자세한 정보 잉글랜드, 1 – 0 ...
관중: 40,439명
심판: 테스 올로프손 (스웨덴)
자세한 정보 중화인민공화국, 1 – 0 ...
관중: 12,675명
심판: 마르타 우에르타 데 아사 (스페인)

자세한 정보 중화인민공화국, 1 – 6 ...
관중: 13,497명
심판: 케이시 레이벨트 (오스트레일리아)
자세한 정보 아이티, 0 – 2 ...
관중: 17,897명
심판: 오현정 (대한민국)

E조

자세한 정보 순위, 경기 ...
출처: FIFA
자세한 정보 미국, 3 – 0 ...
관중: 41,107명
심판: 부슈라 카르부비 (모로코)
자세한 정보 네덜란드, 1 – 0 ...
포시스 바 스타디움, 더니든
관중: 11,991명
심판: 카테리나 몬줄 (우크라이나)

자세한 정보 미국, 1 – 1 ...
관중: 27,312명
심판: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자세한 정보 포르투갈, 2 – 0 ...
관중: 6,645명
심판: 살리마 무칸상가 (르완다)

자세한 정보 포르투갈, 0 – 0 ...
관중: 40,958명
심판: 레베카 웰치 (잉글랜드)
자세한 정보 베트남, 0 – 7 ...
포시스 바 스타디움, 더니든
관중: 8,215명
심판: 이바나 마르틴치치 (크로아티아)

F조

자세한 정보 순위, 경기 ...
출처: FIFA
자세한 정보 프랑스, 0 – 0 ...
관중: 39,045명
심판: 마리아 카르바할 (칠레)
자세한 정보 브라질, 4 – 0 ...
관중: 13,142명
심판: 셰릴 포스터 (웨일스)

자세한 정보 프랑스, 2 – 1 ...
관중: 49,378명
심판: 케이트 야체위치 (오스트레일리아)
자세한 정보 파나마, 0 – 1 ...
관중: 15,987명
심판: 카테리나 몬줄 (우크라이나)

자세한 정보 파나마, 3 – 6 ...
관중: 40,498명
심판: 라우라 포르투나토 (아르헨티나)
자세한 정보 자메이카, 0 – 0 ...
관중: 27,638명
심판: 에스터 슈타우블리 (스위스)

G조

자세한 정보 순위, 경기 ...
출처: FIFA
자세한 정보 스웨덴, 2 – 1 ...
관중: 18,317명
심판: 에카테리나 코롤레바 (미국)
자세한 정보 이탈리아, 1 – 0 ...
관중: 30,889명
심판: 멜리사 보르하스 (온두라스)

자세한 정보 아르헨티나, 2 – 2 ...
포시스 바 스타디움, 더니든
관중: 8,834명
심판: 앤-메리 킬리 (뉴질랜드)
자세한 정보 스웨덴, 5 – 0 ...
관중: 29,143명
심판: 세릴 포스터 (웨일스)

자세한 정보 아르헨티나, 0 – 2 ...
관중: 17,907명
심판: 살리마 무칸상가 (르완다)
자세한 정보 남아프리카 공화국, 3 – 2 ...
관중: 14,967명
심판: 마리아 카르바할 (칠레)

H조

자세한 정보 순위, 경기 ...
출처: FIFA
자세한 정보 독일, 6 – 0 ...
관중: 27,256명
심판: 토리 펜소 (미국)
자세한 정보 콜롬비아, 2 – 0 ...
관중: 24,323명
심판: 레베카 웰치 (잉글랜드)

자세한 정보 대한민국, 0 – 1 ...
관중: 12,886명
심판: 이지나 아우비스 바치스타 (브라질)
자세한 정보 독일, 1 – 2 ...
관중: 40,499명
심판: 멜리사 보르하스 (온두라스)

자세한 정보 대한민국, 1 – 1 ...
관중: 38,945명
심판: 애나-메리 킬리 (뉴질랜드)
자세한 정보 모로코, 1 – 0 ...
관중: 17,342명
심판: 마리아 솔레 페리에리 카푸티 (이탈리아)
Remove ads

결선 토너먼트

대진표

 
16강전8강전준결승전결승전
 
              
 
8월 5일 – 오클랜드
 
 
스위스1
 
8월 11일 – 웰링턴
 
스페인5
 
스페인 ()2
 
8월 6일 – 시드니 (풋볼)
 
네덜란드1
 
네덜란드2
 
8월 15일 – 오클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0
 
스페인2
 
8월 5일 – 웰링턴
 
스웨덴1
 
일본3
 
8월 11일 – 오클랜드
 
노르웨이1
 
일본1
 
8월 6일 – 멜버른
 
스웨덴2
 
스웨덴 ()0 (5)
 
8월 20일 – 시드니 (AUS)
 
미국0 (4)
 
스페인1
 
8월 7일 – 시드니 (AUS)
 
잉글랜드0
 
오스트레일리아2
 
8월 12일 – 브리즈번
 
덴마크0
 
오스트레일리아 ()0 (7)
 
8월 8일 – 애들레이드
 
프랑스0 (6)
 
프랑스4
 
8월 16일 – 시드니 (AUS)
 
모로코0
 
오스트레일리아1
 
8월 7일 – 브리즈번
 
잉글랜드3 3위 결정전
 
잉글랜드 ()0 (4)
 
8월 12일 – 시드니 (AUS)8월 19일 – 브리즈번
 
나이지리아0 (2)
 
잉글랜드2 스웨덴2
 
8월 8일 – 멜버른
 
콜롬비아1 오스트레일리아0
 
콜롬비아1
 
 
자메이카0
 

16강전

자세한 정보 스위스, 1 – 5 ...
관중: 43,217명
심판: 셰릴 포스터 (웨일스)

자세한 정보 일본, 3 – 1 ...
관중: 33,042명
심판: 이지나 아우비스 바치스타 (브라질)

자세한 정보 네덜란드, 2 – 0 ...
관중: 40,223명
심판: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관중: 49,461명
심판: 멜리사 보르하스 (온두라스)

자세한 정보 오스트레일리아, 2 – 0 ...
관중: 75,784명
심판: 레베카 웰치 (잉글랜드)

자세한 정보 콜롬비아, 1 – 0 ...
관중: 27,706명
심판: 케이트 야체비치 (오스트레일리아)

자세한 정보 프랑스, 4 – 0 ...
관중: 13,557명
심판: 토리 펜소 (미국)

8강전

자세한 정보 스페인, 2 – 1 (연장전) ...

자세한 정보 일본, 1 – 2 ...
관중: 43,217명
심판: 에스터 슈타우블리 (스위스)

관중: 49,461명
심판: 마리아 카르바할 (칠레)

자세한 정보 잉글랜드, 2 – 1 ...
관중: 75,784명
심판: 에카테리나 코롤레바 (미국)

준결승전

자세한 정보 스페인, 2 – 1 ...
관중: 43,217명
심판: 이지나 아우비스 바치스타 (브라질)

자세한 정보 오스트레일리아, 1 – 3 ...
관중: 75,784명
심판: 토리 펜소 (미국)

3위 결정전

자세한 정보 스웨덴, 2 – 0 ...
관중: 49,461명
심판: 셰릴 포스터 (웨일스)

결승전

자세한 정보 스페인, 1 – 0 ...
관중: 75,784명
심판: 토리 펜소 (미국)
Remove ads

우승국

자세한 정보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

수상

최종 순위

자세한 정보 순위, 조 ...
출처: [출처 필요]
(C) 우승; (H) 홈경기.
Remove ads

득점 선수

요약
관점

48경기에서 126골이 기록되었다. 경기당 평균 2.39골. 굵은 글씨는 소속 국가대표팀이 아직도 치룰 경기들이 남아 있다라는 뜻이다. {{ |updated=complete |source=ESPN

|5 골=

|4 골=

|3 골=

|2 골=

|1 골=

|1 자책골=

}}

도움

{{ |assists=yes |source=ESPN

|3 도움=

|2 도움=

|1 도움=

}}

Remove ads

기록

팀 득점 기록

팀 실점 기록

마케팅

스폰서

자세한 정보 FIFA 파트너, FIFA 여자 월드컵 파트너 ...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