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5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2025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Remove ads

이 문서에서는 2025년에 발생한 허리케인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간략 정보 담당 기관,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Remove ads

통계

월별 허리케인 발생 개수

타임라인

SSHS

Saffir–Simpson scale

허리케인 이름

  • 제1호 허리케인 안드레아 (사용안함)
  • 제2호 허리케인 배리 (사용안함)
  • 제3호 허리케인 샹탈 (사용안함)
  • 제4호 허리케인 덱스터 (사용안함)
  • 제5호 허리케인 에린 (사용안함)
  • 제6호 허리케인 페르난도 (사용안함)
  • 제7호 허리케인 안드레아 (사용안함)
  • 제8호 허리케인 개브리엘 (사용안함)
  • 제9호 허리케인 움베르토 (사용안함)
  • 제10호 허리케인 이멜다 (사용안함)
  • 제11호 허리케인 제리 (사용안함)
  • 제12호 허리케인 카렌 (사용안함)
  • 제13호 허리케인 로렌초 (사용안함)
  • 제14호 허리케인 멀리사 (사용안함)
  • 제15호 허리케인 네스토르 (사용안함)
  • 제16호 허리케인 올가 (사용안함)
  • 제17호 허리케인 파블로 (사용안함)
  • 제18호 허리케인 레베카 (사용안함)
  • 제19호 허리케인 세바스티안 (사용안함)
  • 제20호 허리케인 타냐 (사용안함)
Remove ads

특징

  • 활동 기간은 미국 날짜로 표시한다.

활동중인 허리케인

활동한 허리케인

제1호 허리케인 안드레아

자세한 정보 열대폭풍 (SSHS) ...

2025년 제1호 허리케인 안드레아 (ANDREA)6월 24일 21시에 중심기압 1014hPa, 최대 풍속 18m/s의 열대폭풍으로 캐나다 세인트존스 남동남쪽 약 1,3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동북진하며 이동하였고, 이후 계속 건조 공기 유입과 낮은 수온, 온대저기압화, 매우 낮았던 기압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급속도로 약화가 진행되었으며 발달한 지 몇시간이 채 되지않았음에도 6월 25일 9시에 그린란드 누크 남동남쪽 약 2,9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5hPa, 최대 풍속 15m/s의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제2호 허리케인 배리

자세한 정보 열대폭풍 (SSHS) ...

이 허리케인은 6월 29일 아침 베라크루스 주 턱스판에서 남동쪽으로 약 140km 떨어진 곳에서 열대성 폭풍 배리로 발달하였고, 멕시코만 중부의 중저준위 능선을 타고 북서쪽으로 이동했다. 배리는 같은 날 저녁, 배리는 타마울리파스주 탐피코 남쪽에 상륙하여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되었으나, 그 잔해가 미국 텍사스에 상륙해 52명이 숨졌다.

제3호 허리케인 샹탈

자세한 정보 열대폭풍 (SSHS)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