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5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 문서에서는 2025년에 발생한 허리케인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Remove ads
통계
월별 허리케인 발생 개수
타임라인
SSHS

허리케인 이름
|
|
|
|
Remove ads
특징
- 활동 기간은 미국 날짜로 표시한다.
활동중인 허리케인
제10호 열대폭풍 제리
제11호 아열대폭풍 카렌
활동한 허리케인
요약
관점
제1호 열대폭풍 안드레아
2025년 제1호 허리케인 안드레아 (ANDREA)는 6월 24일 21시에 중심기압 1014hPa, 최대 풍속 18m/s의 열대폭풍으로 캐나다 세인트존스 남동남쪽 약 1,3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동북진하며 이동하였고, 이후 계속 건조 공기 유입과 낮은 수온, 온대저기압화, 매우 높았던 기압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급속도로 약화가 진행되었으며 발달한 지 몇시간이 채 되지않았음에도 6월 25일 9시에 그린란드 누크 남동남쪽 약 2,9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15hPa, 최대 풍속 15m/s의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제2호 열대폭풍 배리
이 허리케인은 6월 29일 아침 베라크루스 주 턱스판에서 남동쪽으로 약 140km 떨어진 곳에서 열대성 폭풍 배리로 발달하였고, 멕시코만 중부의 중저준위 능선을 타고 북서쪽으로 이동했다. 배리는 같은 날 저녁, 배리는 타마울리파스주 탐피코 남쪽에 상륙하여 열대 저기압으로 약화되었으나, 그 잔해가 미국 텍사스에 상륙해 52명이 숨졌다.
제3호 열대폭풍 샹탈
제4호 열대폭풍 덱스터
제5호 메이저 허리케인 에린
제6호 열대폭풍 페르난드
제7호 메이저 허리케인 가브리엘
제8호 메이저 허리케인 험베르토
제9호 허리케인 이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
이 글은 환경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