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
산화환원효소의 종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영어: 3-hydroxyisobutyrate dehydrogenase) (EC 1.1.1.31)는 사람에서 HIBADH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효소이며[5]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6]
- 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산 + NAD+ ⇄ 2-메틸-3-옥소프로판산 + NADH + H+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의 2가지 기질은 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산, NAD+이며, 3가지 생성물은 2-메틸-3-옥소프로판산, NADH, H+이다.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는 산화환원효소 부류에 속하며, 특히 공여체가 CH-OH기이며, 수용체가 NAD+ 또는 NADP+인 효소에 속한다.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는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의 분해 과정에 참여한다.
Remove ads
명명법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의 계통명은 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산:NAD+ 산화환원효소(영어: 3-hydroxy-2-methylpropanoate:NAD+ oxidoreductase)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으로는 β-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영어: β-hydroxyisobutyrate dehydrogenase)가 있다.
기능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탈수소효소는 발린 대사의 중간생성물인 3-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을 메틸말론산 세미알데하이드로 가역적 산화를 NAD+ 의존적으로 촉매하는 사량체의 미토콘드리아 효소이다.[5]
구조 연구
2007년을 기준으로 이러한 부류의 효소에 대해 PDB 접근 코드 1WP4, 2CVZ, 2GF2, 2H78, 2I9P의 5가지 구조가 해결되었다.
같이 보기
각주
더 읽을거리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