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차제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9차제정(九次第定, 산스크리트어: navānupūrva-samāpattayaḥ, navânupūrva-vihāra-samāpattayaḥ, 팔리어: avānupubba-vihāra-samāpattiyo, 영어: nine graduated concentrations, samādhi of the nine degrees)은 유루의 선정인 4선 · 4무색정 · 멸진정의 9가지 선정을 차례 대로 간격 없이[無間] 수행하여 최후의 멸진정(滅盡定)에 드는 것을 말한다. 즉, 색계의 초선에서 시작하여 차례대로 제2선 · 제3선 · 제4선으로 들어가고, 계속하여 더 나아가 무색계의 공무변처정 · 식무변처정 · 무소유처정 · 비상비비상처정으로 들어가고, 다시 계속하여 더 나아가 멸진정에 드는 것이다.[1][2][3][4][5]
무간선(無間禪), 연선(鍊禪), 9차정(九次定) 또는 9차제사유정정(九次第思惟正定)이라고도 한다.[1][2]
멸진정은 유루의 선정이지만 열반 즉 열반의 적정과 아주 유사한 상태의 선정이다.[6][7] 그렇기 때문에 9차제정의 마지막 종착지이다.
유루의 선정인 9차제정은 유루의 해탈인 8해탈(八解脫)과 관련이 깊다. 9차제정이 선정 그 자체라면 8해탈은 선정을 바르게 즉 선하게 사용하는 것 그리고 그렇게 사용하여 획득 · 성취하는 결과이다. 8해탈과 그것의 의지처로서의 선정은 다음과 같다.[8]
번호 | 8해탈 | 선정 |
---|---|---|
1 | 내유색상관외색해탈 (內有色想觀外色解脫) | 색계 초선과 제2선 |
2 | 내무색상관외색해탈 (內無色想觀外色解脫) | 색계 초선과 제2선 |
3 | 정해탈신작증구족주 (淨解脫身作證具足住) | 색계 제4선 |
4 | 공무변처해탈(空無邊處解脫) | 무색계 공무변처정 |
5 | 식무변처해탈(識無邊處解脫) | 무색계 식무변처정 |
6 | 무소유처해탈(無所有處解脫) | 무색계 무소유처정 |
7 | 비상비비상처해탈 (非想非非想處解脫) | 무색계 비상비비상처정 |
8 | 멸수상정해탈(滅受想定解脫) | 무색계 멸진정 |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