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구무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9무학(九無學, 산스크리트어: navâśaikṣāḥ, 영어: nine post-learners, nine grades of arhats), 9종아라한(九種阿羅漢) 또는 9종나한(九種羅漢)은 무학위 즉 아라한과를 증득한 성자인 아라한을 우열에 따라 9가지로 나눈 것이다.[1][2][3][4] 아라한과를 증득했다는 것은 모든 번뇌[漏]를 단멸했다는 것, 즉, 번뇌장 · 해탈장의 2장 중 번뇌장을 단멸했다는 것으로, 번뇌장의 멸진과 더불어 함께 발생하는 것으로 진지(盡智)가 생겨났다는 것을 뜻한다.[5]
달리 말해, 9무학은 진지를 증득한 이들에서 우열의 차이가 있어 9가지로 구분한 것이다. 여기서의 우열은 일시적 퇴실(退失, 물러남) 가능성 즉 둔근 · 이근의 근기의 차이, 무생지(無生智)의 증득, 해탈장의 단멸 즉 8해탈의 성취와 관련되어 있다.
9무학의 목록과 순서 그리고 개별 항목의 명칭은 경론에 따라 차이가 있다. 다음과 같은 출처에 따른 9무학은 아래의 표와 같다.
- 현대의 불교 사전[6]
- 《중아함경》제30권 제127경〈복전경〉(福田經)[7][8]
- 《아비담감로미론》상권[9][10]
- 《아비달마구사론》제25권[11][12]
- 《성실론》제1권[13][14]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